건설/토목 관련주 34종목 총정리 | 건설/토목 대장주, 수혜주, 테마주

건설/토목 테마 관련 이미지

건설/토목 관련주란?

2025년 건설업계는 국내외 인프라 투자 확대와 친환경 건설 수요 증가로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와 민간 부문의 부동산 개발 확대가 예상되면서, 건설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적인 건설 관련주로는 GS건설,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HDC현대산업개발, 삼부토건 등이 있으며, 이 글을 통해 건설 관련주 투자 시 알아야 할 모든 핵심 정보를 제공합니다.

건설 테마의 개요

건설업계는 2025년 현재 여러 긍정적인 요인들로 인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부의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와 공공 건설사업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친환경 및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인프라 시장 확대로 해외 수주 증가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특히 건설업은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 수요와, 친환경 건설 트렌드, 스마트 시티 개발 사업 등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건설 관련주는 부동산 경기, 금리 등의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형 건설사들은 해외 개발 수주 규모에, 중소형 건설사들은 내수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핵심 종목 리스트

GS건설 (006360)

기업개요:

  • 국내외 인프라, 주택, 플랜트,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수행하는 종합 건설 기업
  • 시가총액 약 4조 694억원으로 국내 주요 건설사 중 하나
  • 대형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관련이유:

  • 건축, 주택 개발, 플랜트,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건설 분야 포괄
  • 국내 주요 건설 관련주로서 건설업 경기 변화에 직접적 영향을 받음

최근실적:

  • 2025년 초 기준으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유지 중
  • 친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증가로 수익성 개선

투자포인트:

  • 대형 프로젝트 수주 능력과 해외 시장 확대 전략
  •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로 리스크 분산 효과

삼성물산 (028260)

기업개요:

  • 삼성그룹의 건설 회사로, 건설/상사/패션/리조트 등 다양한 사업 영위
  • 시가총액 약 21조 248억원으로 건설 관련주 중 최대 규모
  • 브랜드 파워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경쟁력 보유

관련이유:

  • 대형 인프라 및 건축 프로젝트 수행 역량 보유
  • 그룹사와의 시너지를 통한 안정적 수주 기반 확보

최근실적:

  • 최근 주가는 약 139,500원 수준으로 거래 중
  • 배당 수익률이 높아 안정적 투자처로 인식됨

투자포인트:

  •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브랜드 가치
  • 해외 대형 프로젝트 수주 경쟁력

현대건설 (000720)

기업개요:

  • 국내 대형 건설사로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 시가총액 약 5조 3,562억원으로 건설업계 선두그룹
  • 우리나라 원전의 대부분을 시공하며 원전 시공기술 자립도 100% 달성

관련이유:

  • 토목공사와 건축공사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하는 종합 건설기업
  • 국가 프로젝트와 대형 민간 공사를 수행하며 안정적 매출 기반 보유

최근실적:

  •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해외 수익 증가 추세
  •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0% 증가하여 5,000억 원 이상 기록

투자포인트:

  • 해외 진출 확대 전략을 통한 성장 가능성
  • 원전 및 인프라 건설 분야의 기술적 우위

대우건설 (047040)

기업개요:

  • 도로,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 건설, 주택건축, 플랜트사업 영위
  • 시가총액 약 2조 9,634억원 규모의 종합 건설회사
  • 국내 최대 수심 및 최장 침매 터널 공사 수행 경험 보유

관련이유:

  • 토목, 건축, 주택사업, 플랜트사업 등 건설 전 분야 영위
  • 국내외 인프라 개발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안정적 수주 확보

최근실적:

  • 주가는 3,980원 수준으로 거래되며 최근 1.02% 상승
  • 부동산 경기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투자포인트:

  • PBR이 낮은 편으로 저평가 가능성 존재
  • 중동 및 아프리카 등 해외 프로젝트 경쟁력

HDC현대산업개발 (294870)

기업개요:

  • 현대에서 운영하는 건설 회사로 2018년 5월 설립됨
  • 시가총액 약 1조 1,237억원 규모
  • 건설사업, PC사업, 호텔 및 콘도 사업부문 운영

관련이유:

  • 국내 주택 및 인프라 건설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
  • 도시 개발 및 리모델링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 보유

최근실적:

  • 재개발·재건축 시장 확대로 수혜 기대
  • 강력한 브랜드 파워로 프리미엄 주택시장에서 경쟁력 유지

투자포인트:

  • 리모델링 사업 확대로 인한 성장 가능성
  • 부동산 시장 규제와 금리 변동성에 대한 대응 능력

삼부토건 (001470)

기업개요:

  • 토목, 건축, 주택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중견 건설사
  • 시가총액 약 4,714억원 규모
  • 국내외 인프라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풍부한 업체

관련이유:

  • 삼부토건의 사업부문은 국내건설업, 해외건설업, 스틸사업, 기타사업으로 구성
  • 도로공사, 발전소, 철구조물 제작 및 설치 분야 전문성 보유

최근실적:

  • 국내 인프라 사업 참여를 통한 안정적 수주 확보
  • 기술력과 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 강화

투자포인트:

  • 국내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
  • 정부 정책 변화 및 경기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 관리 필요

건설 테마 투자 전망

건설업 테마는 2025년 현재 여러 호재와 리스크 요인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SOC 투자 확대 정책이 지속되고 있으며, 친환경 및 스마트 건설 기술의 도입 확대로 새로운 성장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인프라 시장의 확대로 해외 수주 증가도 기대됩니다.

다만 건설 경기 변동성, 원자재 가격 상승, 금리 정책 변화, 부동산 시장 규제 등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원자재 가격 변동이 건설업체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대형 건설사 중 해외 수주 능력과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투자를 고려해볼 만합니다. 특히 GS건설,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은 재무건전성과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소형 건설사의 경우 각 기업의 특화 분야와 재무상태를 면밀히 분석한 후 선별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본 내용은 작성자의 개인적 견해이므로, 투자 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건설 관련주 투자 유의사항

건설 관련주에 투자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1. 프로젝트 수주 현황: 대형 프로젝트 수주 여부가 기업의 실적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최근 수주 실적과 수주잔고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재무 건전성: 건설사의 부채 비율 및 현금 흐름을 분석하여 안정적인 기업을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유동성 위기에 취약한 업종이므로 재무상태가 튼튼한 기업을 우선 고려하세요.
  3. 건설 경기 변동성: 금리 변화 및 정부 정책이 건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부동산 규제 정책과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해외 사업 비중: 국내 건설경기 둔화 시에도 해외 사업이 안정적인 기업은 리스크가 분산됩니다. 해외 수주 비중과 지역별 포트폴리오를 확인하세요.
  5. 기술력과 특화 분야: 친환경 건설, 스마트 건설 등 미래 성장성 있는 특화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해 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Q: 2025년 건설업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A: 2025년 건설업은 국내외 인프라 투자 확대와 친환경 건설 수요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정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와 민간 부문의 부동산 개발 확대, 글로벌 인프라 시장의 성장이 건설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Q: 건설 관련주에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A: 건설 관련주 투자 시 대형 프로젝트 수주 여부, 재무 건전성, 정부 정책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수주잔고, 부채비율, 현금흐름 등의 재무지표와 함께 기업의 기술력과 특화 분야도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Q: 건설 관련주 중 어떤 종목이 유망한가요?

A: 2025년 기준으로 GS건설,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의 대형 건설사와 특화 기술을 보유한 중소형 건설사가 유망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각 기업의 재무상태, 수주 현황, 해외사업 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인의 투자 성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건설 경기의 주요 변동 요인은 무엇인가요?

A: 건설 경기는 정부의 SOC 투자 정책, 금리 변동, 부동산 시장 규제, 원자재 가격 변동, 글로벌 경제 상황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의 변화를 주시하며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친환경 건설과 스마트 건설은 어떤 기업에 유리한가요?

A: 친환경 및 스마트 건설 분야에서는 관련 기술에 투자하고 역량을 갖춘 기업들이 유리합니다. 대형 건설사 중에서는 GS건설,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이 친환경 기술과 스마트 건설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관련 특화 기술을 보유한 중소형 건설사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설/토목 테마 관련주 테이블
관련주명 관련주 편입 사유 현재가 변동률 거래량
서희건설 서희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중견 건설업체로, POSCO의 포항사업소와 광양사업소의 토건정비공사를 시작으로 다수의 관급 및 민간공사를 수주한 바가 있음 1,879 0.05% 1,379,059 주
동원개발 동원개발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 건축공사업 및 주택공급업을 영위하는 주택사업 중심의 건설업체로, 비스타동원, 동원로얄듀크 등의 브랜드를 보유 2,895 -0.69% 124,548 주
HL D&I HL D&I 종목 로고 이미지 국내외 토목 공사/건축 공사/주택 건설 등을 영위하는 종합 건설업체 2,770 -1.07% 107,561 주
금호건설 금호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어울림" 브랜드를 보유한 금호아시아나그룹 계열의 업체로, 건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 3,415 -1.30% 75,072 주
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벌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 건축, 주택사업, 환경사업, 플랜트사업 등을 영위하는 코오롱그룹 계열의 건설업체 10,340 -1.99% 26,934 주
우원개발 우원개발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수중/철근 콘크리트/상하수도 비계 구조물 해체/보링그라우팅 전문 건설업체 2,970 -2.62% 127,284 주
계룡건설 계룡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건축, 토목, 분양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건설회사 21,100 -0.94% 253,497 주
남화토건 남화토건 종목 로고 이미지 광주와 전남지역에 기반을 둔 종합건설업체로, 토목공사와 건축공사, 조경, 전기공사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4,305 -0.69% 6,655 주
삼일기업공사 삼일기업공사 종목 로고 이미지 건축공사, 토목공사, F.E.D(미국육군 극동공병단)공사, 임대사업 등을 영위하는 종합건설업체 3,590 -0.14% 36,742 주
현대건설 현대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과 건축 공사를 주사업으로 하고 있는 기업으로 우리나라 원전의 대부분을 시공했으며 토목, 건축 산업 분야 국내 시장에서도 탄탄한 입지를 구축함 71,300 -3.26% 1,177,507 주
대원 대원 종목 로고 이미지 아파트 브랜드 "칸타빌(Cantavil)" 보유한 건설업체로, 아파트, 주상복합 위주의 주택건설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4,740 -0.52% 8,057 주
HS화성 HS화성 종목 로고 이미지 건축사업 및 토목사업, 분양사업 등을 영위하는 대구지역 기반의 건설 전문업체 11,400 0.00% 15,378 주
DL이앤씨 DL이앤씨 종목 로고 이미지 기존 대림산업(현 DL)에서 건설사업 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로, 토목, 건축, 플랜트, 발전/환경사업 등을 영위 49,700 -3.12% 376,527 주
GS건설 GS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인프라, 건축, 주택 신축 판매, 플랜트, 전력 및 해외 종합 건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는 기업 20,800 -2.35% 420,465 주
삼성물산 삼성물산 종목 로고 이미지 건설 부문, 상사 부문(자원 개발과 국제 무역), 패션 부문, 리조트 부문(에버랜드, 골프장, 식자재 유통 등), 바이오시밀러 등 사업을 하는 기업 162,500 -0.12% 546,501 주
범양건영 범양건영 종목 로고 이미지 건축 및 토목부문에서 도급공사 및 자체공사를 실시하는 종합건설업체 1,935 0.00% 0 주
까뮤이앤씨 까뮤이앤씨 종목 로고 이미지 건설, 토목공사 등의 종합건설업을 영위하는 업체 1,118 0.45% 49,669 주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 종목 로고 이미지 도급 방식의 건설 공사를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익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개발형 건설 사업에 주력해 온 종합 건설회사 22,200 -4.10% 303,614 주
대우건설 대우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세계 최대 수심, 최장 및 국내 최초 침매 터널 공사인 거가대로, 국내 최장 도로 터널인 인제 터널을 성공리에 관통시키는 등 첨단 기술력을 입증한 기업 4,095 -2.03% 1,047,721 주
신원종합개발 신원종합개발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건축,플랜트 등의 종합건설업을 영위하는 업체 2,785 -2.79% 151,751 주
남광토건 남광토건 종목 로고 이미지 아파트 브랜드 "Haustory"를 보유한 건설업체로, 토목, 건축, 주택, 해외사업 등을 영위 9,120 -1.72% 15,588 주
태영건설 태영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2020년 토건 시공 능력 평가 순위 13위의 종합 건설업체로서 토목 사업, 건축 사업, 주택 사업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 2,835 -0.70% 175,706 주
서한 서한 종목 로고 이미지 대구, 경북 지역의 중견 건설업체로 건축, 토목, 기타(부동산임대업 외)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911 0.22% 102,625 주
삼부토건 삼부토건 종목 로고 이미지 국내 토목건축공사업 면허 제1호 취득업체로서 국내외에서 토목, 건축, 주택사업 및 기타 관련사업을 영위하는 건설업체 347 0.00% 0 주
상지건설 상지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고급빌라 및 고급아파트 등 고급주거시설과 사무용빌딩 등 상업시설을 건설하여 판매 및 공급하는 건설업을 영위 15,050 -4.44% 3,653,359 주
동부건설 동부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공사, 플랜트공사, 건물 및 아파트(센트레빌) 신축공사 등의 건설업을 영위하는 업체 5,380 -0.74% 65,429 주
이화공영 이화공영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플랜트/호텔업/주택업/소방 설비 등을 영위하는 건설 개발 전문업체 1,616 0.00% 0 주
삼호개발 삼호개발 종목 로고 이미지 아스콘 공사/건설 기계/골재 등을 영위하는 토목 시공 전문 건설업체 3,505 0.00% 60,638 주
한신공영 한신공영 종목 로고 이미지 건축과 토목 및 국내외 종합건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한신 브랜드의 건설업체 8,330 -3.70% 30,709 주
일성건설 일성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공사, 건축공사, 조경공사 및 아파트분양사업 등을 영위하는 종합건설업체 1,775 -2.74% 412,962 주
동신건설 동신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토목사업, 건축사업 등의 건설업을 영위하는 국내도급공사 위주의 건설업체 23,200 -2.11% 30,981 주
KCC건설 KCC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KCC 계열사로 토목공사, 건축공사, 분양공사 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5,390 -4.43% 56,149 주

건설/토목 관련주 통계

최근 수익률: -1.49%

순위: 258위 (36위 상승)

관련 주식 수: 34개

상승 종목 수: 3개

하락 종목 수: 24개

건설/토목 관련주 수익률 흐름

기간 최근 수익률
1주일 0.86%
1개월 -0.82%
3개월 18.93%
6개월 20.71%
1년 24.57%

3개월 수익률 상세

날짜 수익률
2025. 4. 4. 0.00%
2025. 4. 7. 0.43%
2025. 4. 8. 5.23%
2025. 4. 9. 5.62%
2025. 4. 10. 7.87%
2025. 4. 11. 8.98%
2025. 4. 14. 11.61%
2025. 4. 15. 12.45%
2025. 4. 16. 14.55%
2025. 4. 17. 18.65%
2025. 4. 18. 19.60%
2025. 4. 21. 18.93%
2025. 4. 22. 19.39%
2025. 4. 23. 17.42%
2025. 4. 24. 15.77%
2025. 4. 25. 15.66%
2025. 4. 28. 14.67%
2025. 4. 29. 15.59%
2025. 4. 30. 19.45%
2025. 5. 2. 16.35%
2025. 5. 7. 21.23%
2025. 5. 8. 25.03%
2025. 5. 9. 24.73%
2025. 5. 12. 27.60%
2025. 5. 13. 24.75%
2025. 5. 14. 22.75%
2025. 5. 15. 17.57%
2025. 5. 16. 18.66%
2025. 5. 19. 14.18%
2025. 5. 20. 15.69%
2025. 5. 21. 16.32%
2025. 5. 22. 15.22%
2025. 5. 23. 17.37%
2025. 5. 26. 16.86%
2025. 5. 27. 16.07%
2025. 5. 28. 16.53%
2025. 5. 29. 19.53%
2025. 5. 30. 18.63%
2025. 6. 2. 17.65%
2025. 6. 4. 17.25%
2025. 6. 5. 18.96%
2025. 6. 9. 19.57%
2025. 6. 10. 19.65%
2025. 6. 11. 20.13%
2025. 6. 12. 23.32%
2025. 6. 13. 21.14%
2025. 6. 16. 23.15%
2025. 6. 17. 21.86%
2025. 6. 18. 20.84%
2025. 6. 19. 20.38%
2025. 6. 20. 19.26%
2025. 6. 23. 17.20%
2025. 6. 24. 19.39%
2025. 6. 25. 21.07%
2025. 6. 26. 19.31%
2025. 6. 27. 17.68%
2025. 6. 30. 17.39%
2025. 7. 1. 19.07%
2025. 7. 2. 20.03%
2025. 7. 3. 20.88%
2025. 7. 4. 18.93%

건설/토목 테마 정보 개선 제안

건설/토목 관련주 정보 업데이트나 새로운 종목 제안이 있으시면 알파스퀘어 리서치팀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