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은 어떤 작업이나 조작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기계 장치이다. 삼성, 현대, LG 등 국내 대기업들이 로봇분야를 전략 사업으로 선정하며 주목 받았다. 특히 삼성전자는 조직개편으로 로봇 사업팀을 본격적으로 추진 후 가정용 로봇 "핸디"를 공개한 바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2년 경제정책방향 계획에 지능형로봇 관련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KEY POINT**
로봇은 미래 먹거리 신사업으로 꼽히면서 국내 대기업이 로봇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시키고 있다. 주로 로봇 솔루션, 부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이 해당 테마의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지능형로봇은 산업용 로봇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능화된 로봇을 의미한다. 지능형로봇 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산업전반의 파급효과가 큰 차세대 핵심산업이다. 이에 소득수준의 향상, 고령화 사회의 도래 등으로 향후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 육성·지원 정책 추진 이슈 및 대기업의 로봇 산업 진출로 인한 시장 확대 가속화, 인수합병 기대감에 부각되는 경향이 있다. 💡**KEY POINT**
지능형로봇은 고령화 등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테슬라, 삼성전자 등 글로벌 대기업들도 로봇 사업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주로 로봇 구축 솔루션 및 AI 소프트웨어 영위 기업이 해당 테마의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금은 노란빛을 띄는 무른 금속으로 전도성을 지닌 금속이다. 금은 바위, 돌맹이, 토양 등 충적토의 알갱이를 모아 재가공한다. 염소, 플루오린, 염산 외 화학물질과 반응을 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경제적 가치로는 장신구, 치아 보철물, 전자 제품 등에 활용되며,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자산 가치를 지니고 있다. 💡**KEY POINT**
해당 테마 관련 기업들은 금 제련 기술을 보유하거나, 시장에 금을 유통하는 기능을 하며, 국제 금값과 국내 금값 변동에 따라 실적이 영향을 받는다.
탈원전 테마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북한의 비핵화 기대감으로 부각받고 있는 테마이다. 탈원전은 원전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천연가스로 에너지 생산을 전환하는 정책이다. 정부는 2034년까지 원자력발전을 현재 24기에서 단계적으로 17기로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을 4배 가까이 늘리는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대한민국을 제외한 원자력 발전 주요국가들이 탄소중립 실현 수단으로 원자력 발전을 활용하고 있어 국제 동향과 역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탈원전 이슈 발생 시 원전 해체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영향을 받는다. 💡**KEY POINT**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발표하며 기대감을 받았으나 미국 등의 주요국들이 탄소중립의 실현 수단으로 원자력 발전을 활용하고 있어 국제 동향과 역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로 핵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술을 보유, 원전 설비 해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탈원전 테마의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페라이트는 산화철 (Fe2O3)에 바륨, 망간, 니켈, 아연 등 소량의 금속 원소를 섞은 후 소결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세라믹 물질을 의미한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모터에 들어가는 희토류 대신 ‘페라이트’로 소재를 변경한다는 소식에 테마가 부각받았다. 기존에 테슬라는 기차 모터를 제조할 때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등 일부 희토류가 사용한 바 있다. 페라이트는 네오디뮴 자석보다 자력은 비교적 약하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고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KEY POINT**
테슬라가 희토류 대체품으로 페라이트를 사용한다는 소식에 페라이트 코어를 기반으로 한 국내의 전기차 부품 업체들이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다.
원전(원자력 발전소)은 원자핵의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원자력은 적은 연료 소모로 대량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석탄 및 석유 에너지와 비교하여 환경오염이 적은 편이다. 하지만 핵 폐기물 처리와 방사능 누출 등에 대한 위험을 지니고 있다. 원자력 발전을 위해서는 발전소와 관련된 설계, 전기 설비, 정비, 폐기물 처리, 설치, 해체, 폐쇄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해당 테마는 정부 정책에 따라 산업의 경기가 변동 하는 특성이 있다. 💡**KEY POINT**
원전은 핵분열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원자력 발전소를 의미한다. 다른 에너지와 비교하여 환경오염이 적고, 발전 효율성이 높지만 에너지 발전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관련 기업들은 발전소 설계, 전기 설비, 정비, 폐기물 처리, 설치 해체 등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기업 실적이 변동 하는 특성이 있다.
온디바이스 AI란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 개별 기기에 탑재되는 AI를 의미한다. 기존의 클라우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는 시스템이다. 기기 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응답 시간이 줄어들고, 외부 서버로 개인정보가 흘러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 **KEY POINT**
대형 IT 기업들이 온디바이스 AI를 적용한 제품을 선보이면서 관련주들이 급등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비핵화는 핵무기를 폐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남북관계 개선 시 핵폐기 추진 등의 기대감에 해당 테마가 수혜를 받게 된다. 남북경협테마들이 본격적으로 수혜를 받기 위해서는 비핵화가 우선시 되야하기 때문에 비핵화 테마는 대북관련 테마 중에서 핵심테마로 불리우고 있다. 또한 북한이 비핵화 조건으로 주한미군 철수 등을 요구한 바 있어 미국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KEY POINT**
비핵화 테마는 남북관계 개선 시 핵폐기 추진의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방사선 폐기물 처리 및 계측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이 관련주로 연관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란 반도체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회로장치다. 자기 및 광학 디스크와 비교하여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속도가 빠르며, 소비전력이 낮으며, 진동에 강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전원 차단시 기억 내용이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인 SRAM, DRAM과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Nand Flash, FeRAM, EPROM EEPROM으로 분류할 수 있다. 메모리 반도체는휴대폰, 컴퓨터, 전자기기·장비의 부품으로 사용되며, 해당 산업의 경기 순환주기가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KEY POINT**
메모리 반도체 후방 산업으로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산업과 연관되고 있으며, 해당 산업과 경기 순환주기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메모리반도체 관련 기업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회로장치 제조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해당 테마에 연관되고 있다.
시스템반도체는 다양한 기능이 집약된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만든 반도체로 데이터를 해석·계산·처리 하는 역할을 한다. 비메모리 반도체라고 불리며, 컴퓨터의 CPU, 모바일기기의 AP, 통신기기의 모뎀, 이미지센서, 라이다센서 등에 활용된다. 시스템반도체 산업은 반도체 설계기술과 인프라가 필요한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으로 볼 수 있다. 시스템반도체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자동차 등 미래산업의 핵심부품으로 경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표적인 산업이다. 💡**KEY POINT**
시스템반도체는 데이터를 해석·계산·처리 하는 역할을 한다.관련 기업들은 반도체 설계, 전공정, 후공정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래산업의 핵심부품으로 사용되어 산업 경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