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 약효지속성 의약품 연구개발 및 생명공학관련 첨단기술소재의 제조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비만치료제(위고비) : GLP-1 유사체 기반으로 지속형 비만치료제를 개발 중인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이 활발히 진행되며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부각됨.
비만치료제(마운자로) : 일라이 릴리와 플랫폼 기술평가 계약을 체결하여 스마트데포 기술을 마운자로에 적용하는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며, 주 1회 투여를 월 1회로 개선할 수 있는 장기지속형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기에 마운자로 관련주로 분류된 바 있음
펩트론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59,109억
5위
23,317,350
6.92%
헬스케어
생명과학/공학
359,000
73,700
펩트론 기업 개요
펩트론은 1997년 11월 설립된 기업으로 생명공학관련 첨단기술소재의 제조 및 약효지속성 의약품 연구개발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표적 항암 항체 치료제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미래 성장성 확보를 위해 당사의 SmartDepot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할 수 있는 신규 파이프라인 후보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있으며 임상시험용 의약품으로 파킨슨병 임상시험 및 전립선암 치료제 생동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7일 코스닥 지수가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사흘 만에 하락하며 850선으로 밀려났다. 시장의 무게중심이 코스피 대형주들로 쏠린 가운데 코스닥 지수는 뚜렷한 모멘텀(상승동력) 없이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만 1300종목이 하락하는 전형적인 약세장 속에 2차전지주와 개별 이슈 종목을 제외하고 대부분 하락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차전지주 중 에코프로비엠이 12.59% 급등했고 에코프로는 27.04% 치솟았다. 또 엔켐(4.55%), 천보(21.02%), 더블유씨피(18.39%), 대주전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이 76조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7월 사상 처음으로 70조원을 돌파한 후 2개월만에 기록을 경신했다. 16일 대전테크노파크(대전TP)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66개 상장기업 시가총액은 76조2563억원이다. 전달과 비교해 1조5697억원 늘었다.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2023년 55개 기업 39조314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6일 코스닥 지수가 개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소폭 상승하며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이날 한미 무역협상 기대감 속에 코스피 지수가 3740선을 돌파하며 이틀째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코스닥 지수는 상대적으로 소외된 흐름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하락 종목은 1000개 사를 넘었다. 업종별로는 2차전지주들이 급등한 반면 제약바이오, 반도체, 로봇, 통신장비주 등은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차전지주 중 에코프로비엠(14.22%), 에코프로(14.03%), 엔켐(8.68%), 천보(1
코스피가 장중 3,7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59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63% 오른 3,717.01를 기록 중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0.51% 높아진 3,675.92에 개장한 뒤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에 장을 마감했다. 장 중 한때 3,659.91까지 치솟으며 장중과 종가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457억 원, 994억 원 사고 있고 개인만 홀로 3,420억 원 팔고 있다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KB금융을 제외한 대다수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무역협상 기대감 영향으로 현대차(8.95%), 기아(7.42%) 등이 큰 폭으로 상승 중이다. 삼성전자도 장 중 한때 9만 6,900원까지 올라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0.18% 오른 866.30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1,835억 원 순매수하는 가운데 외국인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