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글로벌 로고

코오롱글로벌 (003070) 주가 및 종목 정보

코오롱글로벌 실시간 주가

코오롱글로벌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9,200 원
변동량 ▼ 30.00 원
변동률 -0.33%
거래량 3,104
거래대금 28,401,760 원

코오롱글로벌 일별 주가

코오롱글로벌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12/2025 9,100 9,150 8,990 9,060 5,586 50,414,910
11/13/2025 8,990 9,050 8,890 8,930 8,452 76,016,255
11/16/2025 9,070 9,180 9,000 9,070 14,625 132,958,710
11/17/2025 9,000 9,060 8,900 8,920 5,139 46,033,390
11/18/2025 9,120 9,120 8,850 9,010 6,683 59,734,070
11/19/2025 8,930 9,110 8,930 9,050 9,085 82,372,670
11/20/2025 8,990 9,210 8,930 9,110 14,473 131,725,150
11/23/2025 9,110 9,230 9,030 9,190 18,092 165,630,550
11/24/2025 9,230 9,240 9,050 9,090 8,960 81,696,990
11/25/2025 9,130 9,250 9,130 9,230 9,855 90,662,310

관련 테마

  • 풍력 : 풍력 발전 사업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경주 풍력 발전(주), 양양 풍력 발전(주), 태백 가덕산 풍력 발전(주) 지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18년 전남 개발공사, 한국 서부 발전과 해상 풍력 발전 사업 협력 MOU 체결
  • 태양광 : Film형 PV 모듈을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건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을 국내 처음으로 상업용 건물인 코오롱 건설 연구소에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곳으로 기술 적용 확대
  • 가뭄 : 하수관, 하수 처리장 등 수처리 관련 사업과 플랜트 운영까지 물관련 사업을 수직계열화한 수처리 전문 기업
  • 수돗물 : 폐수, 하수처리, 폐기물 등 환경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음압병실 : 자회사인 코오롱 모듈러스로 모듈러 건축 사업을 사고 있고, 국립 중앙의료원에 음압 병실 건립을 해 관련 주로 부각
  • 건설/토목 : 토목, 건축, 주택사업, 환경사업, 플랜트사업 등을 영위하는 코오롱그룹 계열의 건설업체
  • 수자원 : 폐수, 하수 처리, 폐기물 등 환경사업 영위 중인 기업으로 특히 하수 처리 분야는 환경 신기술 지정 및 국내 최대의 고도 처리 공정 개선 사업에 선정되는 등 기술력을 대내외에 인정받고 있음

코오롱글로벌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747억 546위 18,932,713 0.52% 건설/인프라 건설 10,860 7,920

코오롱글로벌 기업 개요

코오롱글로벌은 1960년 설립된 기업으로 건설업, 유통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네이처브리지, 코오롱오토케어서비스, 코오롱아우토, 테크비전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건설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수입자동차 판매, 무역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주택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덕평 자연휴게소, 대구월드컵 경기장, 마곡 코오롱 미래기술원, 서귀포 크루즈 터미널, 카푸치노 호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능성과 미관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건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신 코오롱글로벌 관련 뉴스

[파이낸셜뉴스] 코오롱글로벌이 계열사 흡수합병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풍력발전 등 신사업에 투입할 여력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합병으로 안정적 이익 기반을 다진 만큼 종합 에너지 사업자로서의 기능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코오롱글로벌은 다음달 1일 자산관리 전문기업 '코오롱엘에스아이(LSI)', 골프·리조트·호텔 전문기업 '엠오디(MOD)'와 합병 절차를 마무리한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코오롱글로벌은 합병을 통해 선순환 구조의 밸류체인을 확대해 '부동산·환경·에너지 토탈 프로바이더'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이번 합병은 LSI와 MOD의 안정적 이익을 기반으로 육해상풍력 등 미래 성장동력을 키우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LSI와 MOD의 매출은 각각 1489억원, 305억원이다. 단순 합산 기

코오롱글로벌이 건설업 부진의 돌파구로 선택한 풍력 발전이 되레 발목을 잡고 있다. 본업 악화로 부채비율이 400%대를 오가는 상황에서 풍력 자회사들은 사업장 건설 단계에 머물고 있어 재무적 이중고가 심화되고 있다.다른 대기업 계열 풍력 발전 사업의 선례에 비춰볼 때, 코오롱글로벌의 자회사들 역시 상업운전을 개시하더라도 상당 기간 적자를 지속할 전망이다. 코오롱글로벌은 부채 부담을 덜고자 계열사 흡수 합병이라는 '묘수'를 내놓은 상태인데, 결과..

국내 주요 대기업에서 세대교체 흐름이 빨라지고 있다. 경영 후계자로 일찍이 낙점되거나 유력하게 거론되는 오너일가 구성원이 이에 맞춰 차근차근 존재감을 쌓고 있다. 이들은 빨라지는 시대적 변화 속에 그룹 안팎에서 경험을 쌓거나 역할을 점차 확대하며 차기 경영승계를 위해 역량을 키우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는 한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주요 대기업 후계자들의 2026년 행보를 짚어본다. 이들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혈연이 아닌

코오롱글로벌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911,960,747,188 9.33% -56,668,787,248 -543.11% 22,516,469,837 19320.96%
2023.4Q 2,663,480,259,991 2.36% 12,788,879,964 -92.33% -117,145,427 -100.08%
2022.4Q 2,602,077,000,000 -45.21% 166,687,310,000 -30.98% 142,130,140,000 3.77%
2021.4Q 4,749,508,000,000 20.91% 241,515,940,000 36.95% 136,960,475,000 70.15%

순매수량

개인: -3,657

기관: -969

외인: 4,735

누적 순매수량

개인: 44,691

기관: -16,427

외인: -33,693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6 -3,657 -969 4,735
2025-11-25 3,189 42 -2,230
2025-11-24 -3,511 1,942 1,569
2025-11-21 -8,806 49 8,705
2025-11-20 -6,621 1,291 5,335
2025-11-19 2,349 -710 -1,584
2025-11-18 -94 39 277
2025-11-17 -3,267 2,352 669
2025-11-14 1,939 60 -2,027
2025-11-13 1,697 -65 -1,637
2025-11-12 -3,355 1,476 1,871
2025-11-11 2,898 3,739 -5,721
2025-11-10 -5,625 7,944 -2,354
2025-11-07 5,615 -1,537 -4,119
2025-11-06 4,520 -4,425 -403
2025-11-05 11,814 -573 -11,822
2025-11-04 -1,536 -499 1,976
2025-11-03 7,034 -1,377 -6,590
2025-10-31 5,236 -2 -5,168
2025-10-30 4,049 25 -4,349
2025-10-29 7,654 -35 -7,620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6 21,522 8,767 -30,487
2025-11-25 25,179 9,736 -35,222
2025-11-24 21,990 9,694 -32,992
2025-11-21 25,501 7,752 -34,561
2025-11-20 34,307 7,703 -43,266
2025-11-19 40,928 6,412 -48,601
2025-11-18 38,579 7,122 -47,017
2025-11-17 38,673 7,083 -47,294
2025-11-14 41,940 4,731 -47,963
2025-11-13 40,001 4,671 -45,936
2025-11-12 38,304 4,736 -44,299
2025-11-11 41,659 3,260 -46,170
2025-11-10 38,761 -479 -40,449
2025-11-07 44,386 -8,423 -38,095
2025-11-06 38,771 -6,886 -33,976
2025-11-05 34,251 -2,461 -33,573
2025-11-04 22,437 -1,888 -21,751
2025-11-03 23,973 -1,389 -23,727
2025-10-31 16,939 -12 -17,137
2025-10-30 11,703 -10 -11,969
2025-10-29 7,654 -35 -7,620

코오롱글로벌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2,669,154,675,171 78.74% 21.26%

코오롱글로벌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건설, 주택, 토목 등 [건설] 82.99%
철강재, 화학재, 산업소재 등 [상사] 14.78%
스포츠센터 운영 등 [스포렉스] 2.23%

코오롱글로벌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28 (0.11%)

최근 공매도 잔고: 0 (0%)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26 9,230 28 0.11%
2025-11-25 9,090 93 0.50%
2025-11-24 9,190 0 0.00%
2025-11-21 9,110 0 0.00%
2025-11-20 9,050 14 0.10%
2025-11-19 9,010 26 0.25%
2025-11-18 8,920 0 0.00%
2025-11-17 9,070 0 0.00%
2025-11-14 8,930 0 0.00%
2025-11-13 9,060 41 0.34%
2025-11-12 9,090 104 0.44%
2025-11-11 8,900 306 1.64%
2025-11-10 8,900 111 0.52%
2025-11-07 8,750 166 0.79%
2025-11-06 8,720 5 0.03%
2025-11-05 8,730 214 0.50%
2025-11-04 8,820 114 0.46%
2025-11-03 8,890 68 0.24%
2025-10-31 9,040 9 0.04%
2025-10-30 8,940 0 0.00%
2025-10-29 9,020 5 0.03%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24 9,190 0 0.00%
2025-11-21 9,110 0 0.00%
2025-11-20 9,050 0 0.00%
2025-11-19 9,010 0 0.00%
2025-11-18 8,920 0 0.00%
2025-11-17 9,070 0 0.00%
2025-11-14 8,930 0 0.00%
2025-11-13 9,060 0 0.00%
2025-11-12 9,090 0 0.00%
2025-11-11 8,900 0 0.00%
2025-11-10 8,900 0 0.00%
2025-11-07 8,750 0 0.00%
2025-11-06 8,720 0 0.00%
2025-11-05 8,730 0 0.00%
2025-11-04 8,820 0 0.00%
2025-11-03 8,890 0 0.00%
2025-10-31 9,040 0 0.00%
2025-10-30 8,940 0 0.00%
2025-10-29 9,020 0 0.00%
2025-10-28 9,130 0 0.00%
2025-10-27 9,120 0 0.00%

코오롱글로벌 업종 내 비교

건설 업종(57개) 연간 기준

항목 코오롱글로벌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720.984 4,500.92 19위
PER(최근4분기) 2.292 77 34위
PBR 0.318 0.6 40위
ROE(최근4분기) 4.148 -7.3 27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4.4 3.02 5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946 -0.12 4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0.773 -7.69 36위
부채비율(최근연도) 356.408 250.24 8위
매출액(최근연도) 29,119.607 19,891.56 8위
영업이익(최근연도) -566.688 219.3 5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225.165 91.69 1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