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글로벌 로고

코오롱글로벌 (003070) 주가 및 종목 정보

코오롱글로벌 실시간 주가

코오롱글로벌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8,880 원
변동량 0.00 원
변동률 0.00%
거래량 N/A
거래대금 N/A 원

코오롱글로벌 일별 주가

코오롱글로벌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12/2025 9,570 9,670 9,360 9,470 11,688 110,420,920
8/13/2025 9,380 9,470 9,270 9,350 7,554 70,573,280
8/17/2025 9,550 9,560 9,040 9,220 17,610 163,772,470
8/18/2025 9,320 9,470 9,280 9,400 9,067 85,161,800
8/19/2025 9,300 9,300 8,980 9,100 20,934 190,159,740
8/20/2025 9,210 9,370 9,020 9,200 11,057 101,371,040
8/21/2025 9,200 9,270 9,160 9,220 4,345 40,019,280
8/24/2025 9,190 9,270 9,150 9,260 5,270 48,503,140
8/25/2025 9,180 9,240 9,050 9,050 15,253 138,776,370
8/26/2025 9,200 9,200 8,860 8,880 38,602 345,050,760

관련 테마

  • 풍력 : 풍력 발전 사업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경주 풍력 발전(주), 양양 풍력 발전(주), 태백 가덕산 풍력 발전(주) 지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18년 전남 개발공사, 한국 서부 발전과 해상 풍력 발전 사업 협력 MOU 체결
  • 태양광 : Film형 PV 모듈을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건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을 국내 처음으로 상업용 건물인 코오롱 건설 연구소에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곳으로 기술 적용 확대
  • 가뭄 : 하수관, 하수 처리장 등 수처리 관련 사업과 플랜트 운영까지 물관련 사업을 수직계열화한 수처리 전문 기업
  • 수돗물 : 폐수, 하수처리, 폐기물 등 환경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음압병실 : 자회사인 코오롱 모듈러스로 모듈러 건축 사업을 사고 있고, 국립 중앙의료원에 음압 병실 건립을 해 관련 주로 부각
  • 건설/토목 : 토목, 건축, 주택사업, 환경사업, 플랜트사업 등을 영위하는 코오롱그룹 계열의 건설업체
  • 수자원 : 폐수, 하수 처리, 폐기물 등 환경사업 영위 중인 기업으로 특히 하수 처리 분야는 환경 신기술 지정 및 국내 최대의 고도 처리 공정 개선 사업에 선정되는 등 기술력을 대내외에 인정받고 있음

코오롱글로벌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681억 550위 18,932,713 0.73% 건설/인프라 건설 12,050 7,920

코오롱글로벌 기업 개요

코오롱글로벌은 1960년 설립된 기업으로 건설업, 유통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네이처브리지, 코오롱오토케어서비스, 코오롱아우토, 테크비전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건설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수입자동차 판매, 무역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주택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덕평 자연휴게소, 대구월드컵 경기장, 마곡 코오롱 미래기술원, 서귀포 크루즈 터미널, 카푸치노 호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능성과 미관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건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신 코오롱글로벌 관련 뉴스

경북 지역 전세가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세 가격이 다소 안정세를 찾는 분위기지만, 여전히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아 전세보다 매매 전환을 고려하는 실수요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여기에 금리 불안과 전세 계약 만료를 앞둔 세입자들의 수요가 겹치면서, 즉시 입주가 가능한 신축 아파트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경북 구미시 안동권역의 ‘구미인동 하늘채 디어반 2차’가 실수요자들에게 주목 받는다. 신축 단지의 깔끔한 마감과 최신 설계, 여기에 즉시 입주가 가능한 점까지 더해지면서 수요층의 관심을 받고 있다. 구미IC와 국도 25호선, 경부선 철도 등 주요 교통망이 가까워 시내외 이동이 편리하며, 인동초·인동중·구미고 등 우수 학군과 인근 학원가가 밀집해 있어 교육 여건도 갖췄다. 또한 대형마트, 병원, 관공서, 문화시설 등 생활 인프라가 단지 주변에 밀집해 있어 도보권 ‘원스톱 라이프’를 누릴 수 있다. ‘구미인동 하늘채 디어반 2차’는 지하 2층~지상 29층, 9개 동, 총 907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세대 구성은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전용 84㎡ 중심으로 설계됐으며, 채광과 통풍이 우수한 4베이 판

[IT동아 김영우 기자] 최근 로봇청소기(청소로봇) 시장의 경쟁이 치열하다. 단순히 청소를 잘하는 건 이제 기본이고, 여기에 더해 특별한 부가기능 및 우수한 관리 편의성, 그리고 세련된 디자인까지 갖춘 신제품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드리미(Dreame)는 그 중에서도 확실히 눈에 띄는 브랜드다. 2015년에 설립된 이 브랜드는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빠르게 성장했다. 시장조사기관 IDC의 올해 6월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글로벌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드리미는 11.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로보락(19.3%), 에코백스(13.6%)에 이은 TOP3를 차지했다.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2025 드리미 신제품 런칭쇼' / 출처=IT동아 드리미는 최근 한국 시장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코오롱글로벌과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의 유통 및 사후지원 채널을 강화했으며, 지난 4월에는 서울 한남동에 첫 플래그십 매장을 오픈하기도 했다. 그리고 8월 21일에는 신제품 런칭쇼를 열고 기존 제품을 한층 능가하는 새로운 플래그십 모델 2종을 공개했다.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드리미 본사의 메기 다이(Maggie Dai) 한국·일본·호주 지역 총괄 이사, 그리고 박문희 코오롱글로벌 부사장을 비롯한 주요인사가 참가했다. 이날 소개된 '매트릭스10 울트라(Matrix10 Ultra, 왼쪽)'와 '아쿠아10 울트라 롤러(Aqua10 Ultra Roller, 오른쪽)' / 출처=IT동아 이날 국내에 소개된 드리미 제품은 '매트릭스10 울트라(Matrix10 Ultra) '아쿠아10 울트라 롤러(Aqua10 Ultra Roller)'다. 이들 제품은 각각 8월과 9월 중 출시 예정이며 가격은 아직 미정이다. '3종 걸레 자동 교체' 매트릭스10 울트라 먼저 소개된 매트릭스10 울트라의 가장 큰 특징은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는 '3종 걸레 자동 교체 스테이션' 기능이다. 일반적인 로봇청소기는 1종류의 물걸레만 갖추고 있지만, 이 제품은 '기름때 전용', '물기 흡수 전용', 그리고 '일상 청소 전용'으로 구분되는 3종의 물걸레를 스테이션에 구비하고, 이를 상황에 따라 자동 교체해가며 청소를 진행한다. 매트릭스10 울트라의 가장 큰 특징은 '3종 걸레 자동 교체 스테이션' 기능이다 / 출처=IT동아 이를 통해 거실, 욕실, 주방 등의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걸레로 청소한다. 또한 걸레를 적시는 세정제 역시 청소 목적별로 3종류(데일리 바닥 클리너, 반려동물 전용 바닥 클리너, 목재 전용 바닥 클리너)를 탑재해 이 역시 상황에 따라 자동 투여하는 기능을 갖췄다. 이 외에도 매트릭스10 울트라는 올인원 자동 관리 스테이션을 통해 섭씨 100도 자동 물걸레 고온 세척, 물걸레 세척판 가열 건조, 먼지통 및 물걸레 열풍건조, 자동 세척액 보충, 먼지 자동 비움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해 관리 편의성을 높였다. '실시간 세척' 아쿠아10 울트라 롤러 함께 소개된 아쿠아10 울트라 롤러 제품은 이름 그대로 롤러 타입 물걸레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다른 제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른바 스핀형 물걸레와 확연히 다른 형태와 특성을 갖췄다. 다른 제품은 청소를 마친 후에 물걸레를 세척하지만, 아쿠아10 울트라 롤러는 청소와 물걸레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작업을 진행한다. 아쿠아10 울트라 롤러는 청소 중 실시간 세척이 이루어지는 롤러 타입 물걸레를 탑재했다 / 출처=IT동아 로봇청소기 내부에 실시간 물걸레 세척을 하는 정수 순환 세척 시스템 및 오수 자동회수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12개의 노즐로 실시간 정수 분사를 하며 최적의 수분량을 유지하고, 회전 중인 물걸레를 눌러 닦아내는 오수 제거 스크레이퍼, 역회전을 통해 물걸레 보풀을 보송하게 유지하는 'FluffRoll' 기술 등을 탑재했다. 이와 더불어 청소 중에 카펫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펫 구역 진입 시 롤러형 물걸레를 자동으로 덮는 실드(덮개)도 탑재한 것이 눈에 띈다. 아쿠아10 울트라 롤러는 2개의 AI HD 카메라 및 엔비디아 기반 장애물 인식 기술을 탑재하고 있어 카펫을 비롯한 240개 이상의 장애물을 1mm 정밀도로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도 특징이다. 업계 최고 수준 30000 PA 흡입력과 8cm 문턱 등반 기능에 눈길 한편 이날 소개된 매트릭스10 울트라와 아쿠아10 울트라 롤러 두 제품 모두 업계 최고 수준인 30000 PA의 흡입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확장형 로봇 다리를 이용해 최대 4cm의 단일 문턱을 넘을 수 있고, 이중 문턱이라면 최대 8(4+4)cm까지 넘을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한편, 이날 행사장에는 제품의 성능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시연 장소도 마련되었다. 이를 통해 매트릭스10 울트라의 문턱 등판 성능, 그리고 아쿠아10 울트라 롤러의 액체 청소능력 및 장애물 회피 능력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문턱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본체를 들어올려 간단히 문턱을 넘는다 / 출처=IT동아 그 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문턱을 넘는 능력이었는데, 전방에 문턱이 보이자 매트릭스10 울트라는 이동을 잠시 멈추고 문턱의 높이와 형태를 분석한 뒤, 확장형 로봇 다리를 이용해 본체 앞쪽을 들어올렸다. 그 후, 문턱을 손쉽게 넘은 후 청소를 이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턱을 넘을 때 '꽈당' 소리가 나면서 제법 큰 충격이 발생했는데, 이 정도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드리미 관계자는 강조했다. 다양한 장애물이 있는 상황에도 그 사이를 지나가며 청소를 계속한다 / 출처=IT동아 두 제품간 회피능력 차이? 해외 직구 제품 A/S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진행하면서 메기 다이 드리미 총괄 이사 및 박문희 코오롱글로벌 부사장이 답변하는 질의응답도 이어졌다. 이에 따르면, 매트릭스10 울트라와 아쿠아10 울트라 롤러 모두 드리미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제품이지만 각기 다른 특화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엔비디아 칩과 2개의 AI 카메라는 아쿠아10 울트라 롤러만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른 장애물 회피 능력에 차이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아쿠아10 울트라 롤러가 좀 더 높은 장애물 회피 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드리미는 밝혔다. 그리고 드리미가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이전부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드리미 제품을 직구해서 이용한 한국 소비자의 수도 적지 않았다. 이들도 공식 서비스센터를 통한 지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해외 직구 제품은 공식 서비스센터를 통한 A/S가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그 밖에 한때 드리미의 계열사였다가 최근 독립한 로봇청소기 브랜드 '모바(MOVA)'와 관련, 현재 모바에서도 드리미와 유사한 제품을 팔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는 질문도 있었다. 이에 대해 드리미는 "비슷해 보여도전반적인 스펙 면에서 드리미 제품이 앞선다"며 "최대 흡입력만 해도 모바 제품은 28000 PA, 우리는 30000 PA이며 온수 세척 온도 역시 모바 제품은 섭씨 80도에 그치지만 우리는 섭씨 100도까지 지원하는 등의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질의응답 중인 메기 다이 드리미 총괄 이사(왼쪽에서 두 번째)와 박문희 코오롱글로벌 부사장(맨 오른쪽) / 출처=IT동아 한편, 이날 행사장에서는 로봇청소기인 매트릭스10 울트라와 아쿠아10 울트라 롤러 외에도 물걸레 청소기인 'H15', 무선 청소기인 'X1 슬림'과 'X1 에어', 그리고 음식물처리기인 'LIVO' 등도 소개되어 눈길을 끌었다. 특히 드리미 음식물처리기의 경우, 제품의 기획 및 개발 과정에 코오롱글로벌을 비롯한 한국 측의 전폭적인 협력이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행사를 진행한 메기 다이 드리미 한국·일본·호주 지역 총괄 이사는 "드리미는 한국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2024년 점유율 4.1% 수준이었으나, 2025년 초에 12.8%를 기록해 전년대비 3배 수준을 기록할 정도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2026년에는 200%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로봇청소기 외에도 다양한 제품을 한국 소비자에게 소개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IT동아 김영우 기자 (pengo@itdonga.com)

메기 다이 드리미 한국·일본·호주 지역 총괄 이사가 21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기념 간담회에서 자사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사진=드리미중국 가전 기업 드리미가 플래그십 로봇청소기 신제품을 국내에서 최초 공개하며 한국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2026년까

코오롱글로벌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911,960,747,188 9.33% -56,668,787,248 -543.11% 22,516,469,837 19320.96%
2023.4Q 2,663,480,259,991 2.36% 12,788,879,964 -92.33% -117,145,427 -100.08%
2022.4Q 2,602,077,000,000 -45.21% 166,687,310,000 -30.98% 142,130,140,000 3.77%
2021.4Q 4,749,508,000,000 20.91% 241,515,940,000 36.95% 136,960,475,000 70.15%

순매수량

개인: -723

기관: -10,819

외인: 11,330

누적 순매수량

개인: -91,572

기관: 5,615

외인: 85,829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7 -723 -10,819 11,330
2025-08-26 2,784 -46 -2,738
2025-08-25 1,057 -18 -1,033
2025-08-22 1,194 -26 -1,180
2025-08-21 -3,450 162 3,389
2025-08-20 8,829 9 -8,954
2025-08-19 103 237 -166
2025-08-18 1,131 2,407 -3,397
2025-08-14 1,123 185 -1,314
2025-08-13 2,234 205 -2,804
2025-08-12 -2,362 141 2,207
2025-08-11 -1,390 -233 1,623
2025-08-08 86 417 -502
2025-08-07 -1,351 -24 1,353
2025-08-06 -4,880 -21 4,904
2025-08-05 -5,703 -42 5,745
2025-08-04 333 488 -560
2025-08-01 -3,221 6,698 -3,699
2025-07-31 -145 28 92
2025-07-30 1,378 -300 -1,078
2025-07-29 -148 -12 122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7 -3,121 -564 3,340
2025-08-26 -2,398 10,255 -7,990
2025-08-25 -5,182 10,301 -5,252
2025-08-22 -6,239 10,319 -4,219
2025-08-21 -7,433 10,345 -3,039
2025-08-20 -3,983 10,183 -6,428
2025-08-19 -12,812 10,174 2,526
2025-08-18 -12,915 9,937 2,692
2025-08-14 -14,046 7,530 6,089
2025-08-13 -15,169 7,345 7,403
2025-08-12 -17,403 7,140 10,207
2025-08-11 -15,041 6,999 8,000
2025-08-08 -13,651 7,232 6,377
2025-08-07 -13,737 6,815 6,879
2025-08-06 -12,386 6,839 5,526
2025-08-05 -7,506 6,860 622
2025-08-04 -1,803 6,902 -5,123
2025-08-01 -2,136 6,414 -4,563
2025-07-31 1,085 -284 -864
2025-07-30 1,230 -312 -956
2025-07-29 -148 -12 122

코오롱글로벌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2,711,751,563,624 79.52% 20.48%

코오롱글로벌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건설, 주택, 토목 등 [건설] 82.99%
철강재, 화학재, 산업소재 등 [상사] 14.78%
스포츠센터 운영 등 [스포렉스] 2.23%

코오롱글로벌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6 (0.01%)

최근 공매도 잔고: 0 (0%)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27 8,880 6 0.01%
2025-08-26 9,050 8 0.03%
2025-08-25 9,260 16 0.22%
2025-08-22 9,220 13 0.10%
2025-08-21 9,200 18 0.08%
2025-08-20 9,100 0 0.00%
2025-08-19 9,400 1 0.01%
2025-08-18 9,220 52 0.22%
2025-08-14 9,350 28 0.19%
2025-08-13 9,470 49 0.15%
2025-08-12 9,570 0 0.00%
2025-08-11 9,550 0 0.00%
2025-08-08 9,460 0 0.00%
2025-08-07 9,560 24 0.20%
2025-08-06 9,510 23 0.20%
2025-08-05 9,440 44 0.22%
2025-08-04 9,450 0 0.00%
2025-08-01 9,350 0 0.00%
2025-07-31 9,600 0 0.00%
2025-07-30 9,600 47 0.45%
2025-07-29 9,600 12 0.08%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25 9,260 0 0.00%
2025-08-22 9,220 0 0.00%
2025-08-21 9,200 0 0.00%
2025-08-20 9,100 0 0.00%
2025-08-19 9,400 0 0.00%
2025-08-18 9,220 0 0.00%
2025-08-14 9,350 0 0.00%
2025-08-13 9,470 0 0.00%
2025-08-12 9,570 0 0.00%
2025-08-11 9,550 0 0.00%
2025-08-08 9,460 0 0.00%
2025-08-07 9,560 0 0.00%
2025-08-06 9,510 0 0.00%
2025-08-05 9,440 0 0.00%
2025-08-04 9,450 0 0.00%
2025-08-01 9,350 0 0.00%
2025-07-31 9,600 0 0.00%
2025-07-30 9,600 0 0.00%
2025-07-29 9,600 0 0.00%
2025-07-28 9,540 0 0.00%
2025-07-25 9,720 0 0.00%

코오롱글로벌 업종 내 비교

건설 업종(57개) 연간 기준

항목 코오롱글로벌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713.411 4,723.37 20위
PER(최근4분기) 16.672 25.07 14위
PBR 0.317 0.72 41위
ROE(최근4분기) 4.148 -8.16 27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4.42 3.13 6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946 -0.51 4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0.773 -8.06 36위
부채비율(최근연도) 356.408 241.7 7위
매출액(최근연도) 29,119.607 19,888.35 8위
영업이익(최근연도) -566.688 215.5 5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225.165 88.17 1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