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20종목 총정리 | 우크라이나 재건 대장주, 수혜주, 테마주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관련 이미지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파괴된 인프라와 시설을 복구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국제기구들의 추산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재건에는 향후 10년간 약 750조원의 자금이 소요될 전망이며, 이는 우크라이나 GDP의 2.8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최근 유엔, 세계은행, EU, 우크라이나 정부가 공동 발표한 '4차 긴급 재건 피해 및 수요조사'에서는 직접 피해액만 176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코오롱글로벌, HD현대사이트솔루션, 현대로템, 포스코인터내셔널 등이 있으며, 이들 기업은 인프라, 에너지, 주택 재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투자 시 알아야 할 모든 핵심 정보를 제공합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개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을 복구한 '마셜 플랜'에 비교될 정도로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세계은행과 국제기구들의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재건에 필요한 총 비용은 524억 달러(약 750조원)로 추산되며, 이는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 규모를 반영합니다. 특히 주택 분야가 총 84억 달러로 가장 큰 재건 수요를 보이고 있으며, 교통(78억 달러), 에너지 및 광업(68억 달러), 상업 및 산업(64억 달러), 농업(55억 달러) 순으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025년 현재, 우크라이나 정부와 국제사회는 핵심 인프라 복구를 위해 73.7억 달러를 배정했지만, 여전히 99.6억 달러의 자금 부족이 발생하고 있어 민간 부문의 참여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는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을 위해 3억 달러 무상원조와 20억 달러 이상의 장기·저리 차관을 제공하기로 약속했으며, 2024년 2월에는 G7 주도의 '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MDCP)'에 신규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핵심 종목 리스트

삼성물산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기업개요:

  • 삼성그룹의 건설 및 무역 부문 계열사로, 글로벌 건설 및 EPC(설계·조달·시공) 사업 강점
  • 해외 인프라, 플랜트 건설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기술력 보유
  •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대형 프로젝트 수행 실적 보유

관련이유:

  •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에 참여하며 정부와 함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의지 표명
  • 인프라, 도시개발 등 대규모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 재건 사업 참여 가능성 높음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중 교통(22%), 주택 건설(17%) 분야에서 강점을 갖춤

최근실적:

  • 해외 건설 수주 실적 증가세 유지
  •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인프라 분야 진출 확대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
  • 중동,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인 매출 창출

투자포인트: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로 인한 대규모 수주 가능성
  • 건설, 플랜트,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 창출 기대
  • 정부의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정책에 따른 수혜 예상

현대건설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기업개요:

  • 국내 최대 건설사 중 하나로 토목, 건축, 플랜트, 전력 등 종합 건설 역량 보유
  • 해외시장에서 풍부한 경험과 높은 기술력으로 경쟁력 확보
  • 원전, 수처리 시설 등 특수 인프라 건설 분야 전문성 보유

관련이유:

  •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에 참여하며 소형 원전 사업 추진 의사 표명
  • 에너지 인프라 복구가 우크라이나 재건의 최우선 과제로 꼽히는 상황에서 경쟁력 보유
  • 특히 전력망 복구와 소형 원전 건설 분야에서 핵심 역할 기대

최근실적:

  • 해외 수주 실적 증가 및 수익성 개선
  •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인프라 분야 확대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 원전, 수소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 기술력 강화

투자포인트:

  • 우크라이나 에너지 인프라 재건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예상
  • 소형 원전 사업 확대로 인한 성장 모멘텀 확보
  • 폴란드 등 유럽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

코오롱글로벌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기업개요:

  • 코오롱그룹 계열 종합건설회사로 토목, 건축, 환경, 플랜트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 전개
  • 친환경 건설 및 에너지 분야 기술력 보유
  • 해외 프로젝트 경험 축적 및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중

관련이유:

  •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 참여 기업으로 정부의 재건 사업 참여 지원 대상
  • 우크라이나 주택 및 환경 인프라 복구 사업 참여 가능성 높음
  • 친환경 건설 기술을 활용한 우크라이나 도시 재건 프로젝트 참여 기대

최근실적:

  • 수주 실적 개선 및 사업 영역 확대
  • 친환경 건설, 신재생에너지 분야 진출 강화
  • 해외 프로젝트 참여 확대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투자포인트: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를 통한 해외 매출 증가 기대
  • 폐기물 관리, 수처리 등 환경 인프라 분야 수혜 예상
  • 정부 지원을 통한 안정적인 사업 참여 가능성

HD현대사이트솔루션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기업개요:

  • HD현대그룹 계열사로 플랜트 설계, 건설, 운영 등 토탈 솔루션 제공
  • 발전소, 석유화학 플랜트 등 산업 인프라 분야 강점
  • 스마트 시티, 친환경 에너지 등 미래 성장 분야 진출 확대

관련이유:

  •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에 참여한 기업으로 재건 사업 참여 의지 표명
  • 에너지 인프라 및 스마트 시티 개발 분야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가능성
  • 특히 에너지 발전 및 송배전 시설 복구 분야에서 경쟁력 보유

최근실적:

  • 플랜트 사업 수주 증가 및 수익성 개선
  •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사업 확대
  • 디지털 기술 접목한 스마트 인프라 분야 성장

투자포인트:

  • 우크라이나 에너지 인프라 재건 수요에 따른 수혜 예상
  • 스마트시티 개발 참여를 통한 신규 성장동력 확보
  • 정부 지원 및 기업 간 컨소시엄을 통한 안정적 수주 가능성

현대로템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기업개요:

  •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철도차량, 방산장비, 플랜트 전문 제조기업
  • 철도 시스템 설계, 제작, 유지보수 등 철도 산업 전반의 사업 영위
  •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기술력과 경쟁력 보유

관련이유:

  •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기업 간담회 참여 기업으로 철도 인프라 재건 참여 가능성 높음
  • 우크라이나 교통 인프라(22%) 재건 사업 중 철도 시스템 복구 분야 참여 예상
  • 특히 우크라이나-EU 연결 철도망 구축 프로젝트에서 중요 역할 기대

최근실적:

  • 해외 철도 수주 실적 증가
  • 방산 및 플랜트 사업 수익성 개선
  • 친환경 철도 기술 개발로 경쟁력 강화

투자포인트:

  • 우크라이나 철도 인프라 재건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예상
  • EU와의 연결성 강화를 위한 철도망 확충 사업 참여 기회
  • 폴란드 등 인접국과의 협력을 통한 시장 진출 용이성

포스코인터내셔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기업개요:

  • 포스코그룹의 글로벌 사업을 담당하는 종합상사
  • 자원 개발, 인프라, 에너지, 철강 등 다양한 사업 영역 보유
  • 해외 프로젝트 발굴 및 투자에 전문성 보유

관련이유:

  • 우크라이나 재건지원 관계기관 협의회 참석 기업으로 재건 사업 참여 의지 표명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서 자원 개발, 에너지 인프라, 물류 분야 참여 가능성
  •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 발굴 및 컨소시엄 구성 역량 보유

최근실적:

  • 에너지, 자원 개발 사업 확대로 수익 다변화
  • 글로벌 철강 트레이딩 사업 안정적 성장
  • 신사업 발굴 및 투자 확대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

투자포인트:

  • 우크라이나 에너지, 자원 개발 프로젝트 참여 기회
  • 글로벌 기업과의 컨소시엄을 통한 대형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
  • 정부 지원 및 국제 협력을 통한 안정적 사업 기반 확보

에디터 의견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는 국제사회의 대규모 재건 지원이 본격화됨에 따라 중장기적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쟁 종식 이후 약 750조원 규모의 재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진행된 마셜플랜에 비견될 정도의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특히 한국 정부가 G7 주도의 '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MDCP)'에 가입하고 23억 달러 이상의 지원을 약속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사업 참여 기회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재건 사업 착수 시점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전쟁 종식 시기에 따라 재건 사업의 규모와 일정이 변동될 수 있으며, 국제 정세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EU 가입을 목표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특성상 재건 사업에서 EU 기준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 유럽 기업들과의 경쟁이나 협력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적인 수익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한국과 폴란드 간 협력 강화,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국제 컨소시엄 참여 등 정부 정책과 기업들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재건 사업 참여가 확실시되는 건설, 에너지, 교통 인프라 분야의 대형 기업들을 중심으로 투자하는 것이 안정적인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작성자의 개인적 견해이므로, 투자 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투자 유의사항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에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사항들이 있습니다. 먼저, 재건 사업의 실제 착수 시점은 전쟁 종식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며, 이는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입니다. 따라서 투자 시에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재건 사업 참여에는 국제 경쟁이 불가피합니다. 특히 GDP 대비 우크라이나 지원 규모가 한국(0.03%)은 일본(0.15%)이나 미국(0.33%)에 비해 낮은 편이라는 점에서, 단독 참여보다는 유럽 국가들, 특히 폴란드 등과의 협력을 통한 컨소시엄 구성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셋째,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은 단순한 건설이 아닌 EU 가입을 염두에 둔 현대화 사업의 성격을 띠고 있어, EU 기준과 규제를 충족할 수 있는 기업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입니다. 따라서 EU 시장에서의 사업 경험이나 기술력을 갖춘 기업들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넷째, 가장 시급한 재건 분야는 에너지 인프라(특히 전력망), 주택, 교통 인프라로 분석되고 있어, 이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을 중심으로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부문에서는 RDNA3 이후 손상 또는 파괴된 자산이 70% 증가했다는 점에서 관련 기업들의 참여 기회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재건 사업은 국제 정세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지정학적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투자자들은 국제 사회의 우크라이나 지원 동향, 러시아와의 관계 변화, 우크라이나 내부 정치 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FAQ

Q: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총 규모는 얼마나 되나요?

A: 유엔, 세계은행, EU, 우크라이나 정부의 공동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재건에는 향후 10년간 약 5,240억 달러(약 750조원)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우크라이나 2024년 명목 GDP의 약 2.8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Q: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서 가장 우선시되는 분야는 무엇인가요?

A: 우크라이나 재건에서 가장 시급한 분야는 주택(84억 달러), 교통(78억 달러), 에너지 및 광업(68억 달러), 상업 및 산업(64억 달러), 농업(55억 달러) 순입니다. 특히 전력망 복구가 최우선 과제로 꼽히며, 주택의 경우 전체 주택 스톡의 약 13%가 파괴되어 250만 가구 이상이 영향을 받은 상황입니다.

Q: 한국 기업들은 어떤 방식으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나요?

A: 한국 기업들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첫째, 한국 정부의 원조 패키지(3억 달러 무상원조, 20억 달러 이상 차관)를 통한 참여, 둘째, 폴란드 등 유럽 국가들과의 컨소시엄을 통한 공동 참여, 셋째, 우크라이나 정부와 직접 계약을 통한 참여입니다. 특히 정부는 G7 주도의 '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MDCP)'에 가입하여 우리 기업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Q: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시 가장 큰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A: 가장 큰 리스크는 전쟁의 지속 여부와 종전 시점의 불확실성입니다. 또한 재건 과정에서 EU 기준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규제와 기준 충족이 필요하며, 러시아와의 관계 변화, 우크라이나 내부 정치 상황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고려해야 합니다. 자금 조달의 불확실성도 리스크 요인 중 하나로, 2025년 현재 약 99.6억 달러의 자금 부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Q: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중 가장 유망한 분야는 무엇인가요?

A: 현재로서는 에너지 인프라(특히 전력망 복구), 주택 재건, 교통 인프라가 가장 유망한 분야로 평가됩니다. 특히 에너지 부문은 RDNA3 이후 손상이 70% 증가했고, 전력망 복구가 최우선 과제로 꼽히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참여 기회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EU와의 연결성 강화를 위한 철도, 도로, 항만 등 교통 인프라와 250만 가구 이상이 영향을 받은 주택 재건 분야도 유망합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관련주 테이블
관련주명 관련주 편입 사유 현재가 변동률 거래량
KH 건설 KH 건설 종목 로고 이미지 파일공사 및 축조관련 기초 공사업체로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공법의 개발 및 개선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 판매/시공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재건 공동대책위원회에 참여, 우크라이나 지원 공동대책 세미나를 통해 유라시아 경제인협회와 상호협력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음 2,555 0.00% 0 주
대모 대모 종목 로고 이미지 건설기계 종합 전문 제조/판매업체로 굴삭기 어태치먼트(부착물)인 유압브레이커, 퀵커플러 등을 제조하여 세계 80여개국으로 판매 중 7,740 -0.26% 26,796 주
다산네트웍스 다산네트웍스 종목 로고 이미지 우크라이나 통신·전력망 복구 시범 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힌 바 있음 3,105 0.49% 96,307 주
에스와이 에스와이 종목 로고 이미지 과거 우크라이나에 컬러강판 수출 이력 시장에서 부각 3,540 1.87% 161,717 주
퍼스텍 퍼스텍 종목 로고 이미지 후성그룹 계열의 방위산업 전문업체로, 국방연구원 등과 함께 지뢰제거 로봇 개발을 진행중이며, 우크라이나 재건 지뢰 관련주로 부각 3,840 -0.26% 455,561 주
수산세보틱스 수산세보틱스 종목 로고 이미지 유압브레이커, 유압드릴, 크레인 등의 건설장비 제조업체로, 주요제품은 어태치먼트사업부문의 유압브레이커와 특수장비사업부문의 트럭크레인/유압드릴로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 1,811 0.72% 56,163 주
다스코 다스코 종목 로고 이미지 도로안전시설물 전문업체로 가드레일, 강재방호책, 차광망, 강재틀옹벽 등의 도로안전시설물 제조 및 설치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건축자재사업부문을 통해 Deck-Plate 사업도 영위 하고 있음 3,075 0.49% 35,527 주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건설기계 종목 로고 이미지 건설장비업체로 굴삭기, 휠로더, 지게차 등을 제작·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 품목은 건설기계, 산업차량, 부품 등으로 구성 83,800 -3.68% 414,925 주
스페코 스페코 종목 로고 이미지 재생아스콘 플랜트부문 설비 생산업체로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제조 등에 필요한 아스팔트 플랜트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3,085 1.15% 115,963 주
웰바이오텍 웰바이오텍 종목 로고 이미지 유로인베스트와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을 위한 JV설립 합의각서를 체결한 바 있음 545 0.00% 0 주
HD현대인프라코어 HD현대인프라코어 종목 로고 이미지 국내 최대 종합기계회사로 건설기계, 엔진 등을 생산, 판매 12,040 -8.72% 3,456,746 주
서암기계공업 서암기계공업 종목 로고 이미지 화천그룹 계열의 공작기계 핵심 요소부품인 각종 기어류와 척&실린더, 커빅커플링 등을 제조하는 기계부품업체 3,670 0.55% 34,094 주
현대코퍼레이션 현대코퍼레이션 종목 로고 이미지 국내 대표적인 종합상사로 우크라이나 내에서 상용차 판매와 고속철 판매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대코퍼레이션은 현대로템과 우크라이나에서 추진 중인 약 20조원대의 우크라이나 고속철 사업 참여를 타진한 바 있음 27,450 -1.08% 82,598 주
도화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종목 로고 이미지 2020년 4월 우크라이나 도로국이 발주한 키예프-오데사 구간 도로 재건의 감리 사업을 진행한 바 있으나, 러 침공 이후 해당 사업이 중단된 상태임 6,740 0.30% 21,771 주
현대에버다임 현대에버다임 종목 로고 이미지 건설중장비 및 소방차 제조업체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브레이커, 크러셔, 클램프 등), 타워크레인, 발전기, 락드릴(천공기), 락툴 등의 유압기계사업 및 콘크리트펌프카, 소방차 등의 차량사업, 굴삭기, 휠로더 등의 중장비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8,100 -0.25% 39,681 주
삼부토건 삼부토건 종목 로고 이미지 21년6월 디와이디, 유라시아경제인협회 등과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복구 재건 사업과 관련한 업무협력 양해각서를 체결 347 0.00% 0 주
혜인 혜인 종목 로고 이미지 건설기계 및 육상용 발전기, 선박 및 산업용 엔진, 발전기 수입판매 전문 업체 5,280 0.96% 58,305 주
TYM TYM 종목 로고 이미지 농기계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어 우크라이나 농업 재건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5,240 0.38% 52,927 주
서연탑메탈 서연탑메탈 종목 로고 이미지 건설용 중장비 부품사업(CABIN) 등을 영위하는 업체로 건설용 중장비 부품인 굴삭기의 CABIN 등은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볼보그룹코리아에 납품 3,955 0.00% 122,847 주
디와이디 디와이디 종목 로고 이미지 22년6월 삼부토건과 유라시아경제인협회 등 3자가 우크라이나 전쟁복구 재건 사업과 관련한 업무협력 양해각서를 체결 534 -2.20% 377,421 주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통계

최근 수익률: -0.48%

순위: 377위 (296위 하락)

관련 주식 수: 20개

상승 종목 수: 9개

하락 종목 수: 7개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수익률 흐름

기간 최근 수익률
1주일 0.50%
1개월 0.50%
3개월 0.50%
6개월 0.50%
1년 0.50%

3개월 수익률 상세

날짜 수익률
2025. 4. 3. -5.74%
2025. 4. 4. -5.54%
2025. 4. 7. -10.57%
2025. 4. 8. -9.07%
2025. 4. 9. -10.27%
2025. 4. 10. -6.57%
2025. 4. 11. -4.97%
2025. 4. 14. -4.40%
2025. 4. 15. -3.46%
2025. 4. 16. -4.53%
2025. 4. 17. -4.08%
2025. 4. 18. -3.30%
2025. 4. 21. -3.48%
2025. 4. 22. -2.52%
2025. 4. 23. -1.95%
2025. 4. 24. -2.48%
2025. 4. 25. -2.20%
2025. 4. 28. -2.89%
2025. 4. 29. -2.57%
2025. 4. 30. -3.18%
2025. 5. 2. -2.70%
2025. 5. 7. -2.20%
2025. 5. 8. -2.35%
2025. 5. 9. -3.03%
2025. 5. 12. -0.99%
2025. 5. 13. -0.48%
2025. 5. 14. -0.24%
2025. 5. 15. -1.70%
2025. 5. 16. -2.62%
2025. 5. 19. -2.89%
2025. 5. 20. -1.32%
2025. 5. 21. -1.67%
2025. 5. 22. -3.15%
2025. 5. 23. -3.06%
2025. 5. 26. -3.52%
2025. 5. 27. -4.39%
2025. 5. 28. -4.14%
2025. 5. 29. -2.60%
2025. 5. 30. -3.01%
2025. 6. 2. -3.36%
2025. 6. 4. -3.02%
2025. 6. 5. -2.82%
2025. 6. 9. -1.65%
2025. 6. 10. -0.74%
2025. 6. 11. -0.45%
2025. 6. 12. 0.98%
2025. 6. 13. 0.26%
2025. 6. 16. 0.83%
2025. 6. 17. 2.08%
2025. 6. 18. 1.45%
2025. 6. 19. 2.12%
2025. 6. 20. 1.93%
2025. 6. 23. 0.11%
2025. 6. 24. 2.59%
2025. 6. 25. 2.01%
2025. 6. 26. 0.85%
2025. 6. 27. 0.25%
2025. 6. 30. 0.04%
2025. 7. 1. 0.00%
2025. 7. 2. 1.00%
2025. 7. 3. 0.50%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정보 개선 제안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정보 업데이트나 새로운 종목 제안이 있으시면 알파스퀘어 리서치팀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