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은 남북경제협력사업의 하나로 북측 지역인 개성시 봉동리 일대에 개발한 공업단지를 의미한다. 2004년에 개성공단이 준공되면서 많은 한국기업들이 입주했지만 이후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로 개성공단 추진을 잠정 중단했고 이때 많은 한국기업들이 개성공단에서 철수했다. 이에 남북관계 개선 시 개성공단 재개 기대감에 개성공단 입주 이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하지만 개성공단 재개의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 제재 면제를 허용해야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KEY POINT**
개성공단 입주 이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남북경협 이슈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개성공단 관련주로 연관되고 있다.
웹툰은 웹과 카툰의 합성어로 PC, 모바일 전용으로 제작된 만화를 의미한다. 웹툰 산업은 크게 플랫폼과 에이전시로 이루어져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 등으로 웹툰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웹툰의 지식재산권을 활용해 드라마, 영화, 게임 등 2차 판권의 영역으로 산업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국내 웹툰 플랫폼 업체들은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면서 웹툰 산업의 글로벌 확장을 이루고 있다. 💡**KEY POINT**
스마트폰 대충화와 웹툰 지식재산권 활용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에 속한다. 주로 웹툰, 웹 소설, 음악 등 콘텐츠 유통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패션/의류는 대표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에 속한다. 패션/의류 산업은 브랜드 인지도가 매우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다. 또한 내수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주요 유통망인 백화점의 실적과 상관성이 높다. 💡**KEY POINT**
패션/의류는 내수경기에 가장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해당 관련주들은 의류를 비롯해 신발, 가방, 악세사리 등 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리튬은 가장 밀도가 낮고 반응성이 강한 금속 중 하나로 배터리의 주요 원자재로 사용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주요 원재료인 리튬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리튬 중에서도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이 2차전지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KEY POINT**
리튬 관련 기술 보유 및 생산설비에 투자한 이력이 있는 기업들이 주로 관련주로 편입되고 있다.
케이팝데몬헌터스(K-Pop Demon Hunters, 케데헌)는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하여 2025년 6월 20일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로, K팝 걸그룹과 퇴마 액션이라는 독창적인 장르 융합을 통해 글로벌 문화 현상을 일으킨 작품이다. 작품은 K팝 아이돌 그룹이자 악령 사냥꾼인 걸그룹 '헌트릭스'와 보이그룹 '사자보이즈'가 악령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액션 판타지로, 공개 직후 전 세계 41개국 넷플릭스 1위를 기록하며 5주 연속 정상을 유지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OST의 폭발적인 성공이다. 헌트릭스의 '골든(Golden)'은 영국 오피셜 차트와 미국 빌보드 핫100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여 K팝 역사상 최초로 세계 양대 차트를 석권했으며, 사자보이즈의 'Your Idol'이 스포티파이 미국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실제 아이돌 그룹도 넘지 못한 기록을 세웠다. 애니메이션 속 가상 그룹들이 현실에서 BTS와 블랙핑크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케데헌은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K팝과 한국 문화를 글로벌하게 확산시키는 문화적 현상으로 발전했다. 작품 속 김밥 한 줄을 통째로 먹는 장면은 '김밥 챌린지'로 확산되었고, 신라면을 연상시키는 '신라면'과 '동심' 브랜드 등 한국 음식의 자연스러운 노출이 전 세계적인 K-푸드 관심 증대로 이어졌다. 현재 애니메이션 흥행을 계기로 다양한 파생 콘텐츠와 IP 확장 가능성이 기대되며, 관련 산업군 전반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KEY POINT** 케이팝데몬헌터스는 K팝과 애니메이션의 혁신적 결합을 통해 글로벌 문화 현상을 창조한 콘텐츠로, 실제 아이돌을 뛰어넘는 음악 차트 성과와 K-문화 확산 효과를 동시에 달성했다. 가상 IP의 현실화 가능성과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성이 투자 테마로서의 핵심 가치를 형성하고 있다.
스레드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메타가 개발한 소셜미디어이다. 메타가 개발한 스레드는 출시 사흘 만에 가입자가 1억 명을 돌파하면서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KEY POINT**
스레드 테마는 메타의 비즈니스 파트너로 광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광고 기업들이 관련주로 분류되어 수혜를 받고 있다.
남북경제협력은 통일을 대비하고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남한과 북한간의 경제협력을 의미한다. 해당 테마는 남북간 회담이나 교류 증진 시 시장의 주목을 받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실제 사업내용에 따른 수혜 여부보다는 심리적 측면에 따른 반응도가 높은편이다. **💡KEY POINT**
남북경협 테마는 남북간의 회담 및 이슈에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남북경협 활성화로 수혜가 기대되는 비료, 건설, 의약품 생산업체와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관련 업체들이 해당테마와 관련주로 연관되고 있다.
알래스카 관련주는 북극권 지역의 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에너지 기반 인프라 개발, 대규모 파이프라인 사업 등과 연계된 국내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특히, 미국 알래스카 주정부가 주도하는 천연가스 개발 및 수출 인프라 사업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와 연관된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북극해 북단 프루도베이(Prudhoe Bay)에서 남쪽 니키스키(Nikiski)까지 총 1,300km(800마일) 길이의 초대형 가스관, 가스처리 및 액화시설을 건설해 연 2,000만 톤의 LNG를 일본·한국 등 아시아 시장과 유럽에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총 투자비용은 약 450~650억 달러로 추정된다. 2025년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회 연설에서 한국 등이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2025년 5월 16일에는 미국 알래스카 주정부가 6월 3일 열리는 '알래스카 지속가능 에너지 회의'에 한국 정부를 초청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주들이 대거 상승세를 보인 이력이 있다. ## 💡 **KEY POINT** 알래스카 LNG 관련주는 주로 강관 제조, 철강 공급, 플랜트 및 저장탱크 제작 업체들이 주요 수혜주로 거론된다. 특히 파이프라인 건설에 필요한 강관 생산 기업이나 LNG 생산·운송과 관련된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다만, 프로젝트 실질적 진전 없이 단기 기대감만으로 급등한 종목에 대해서는 변동성이 크고 투자 리스크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정책 리스크, 경제성 문제, 시장 변동성 등 다양한 불확실성 요소를 고려하여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2차전지 소재부품은 2차전지를 생사하는데 필요한 소재와 부품을 의미한다. 주요 부품으로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이 있다. 2차전지 핵심부품은 이차전지 원가의 3/4를 차지하는 핵심 소재로서 기술개발과 투자가 요구되는 소재이다. 이 외의 소재는 동박, 도전체, 바인더 및 기재, 케이스, 포장재, 안전장치 등이 있다. 2차전지 소재부품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에 변화에 기업실적이 변동하는 특성을 보인다. 💡**KEY POINT**
2차전지 주요 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이 있다. 관련 기업들은 2차전지를 생산 판매 하는 삼성SDI, LG화학, CATL 등 기업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전기차 산업과 유사한 경기 흐름을 보이며,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 인산철 등 원자재 가격에 변화에 기업실적이 변동하는 특성을 보인다.
애플페이(Apple Pay)는 애플이 제공하는 모바일 결제 및 전자 지갑 서비스를 뜻한다. 애플이 현대카드와 손잡고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를 국내에 도입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주들이 관심받고 있다. 애플페이에는 NFC(근거리무선통신) 방식만 지원하고 있어 관련 부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 그 외 부가가치통신망 업체들이 시장에서 부각되고 있다. 💡 **KEY POINT**
애플페이 서비스에 필요한 NFC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거나 결제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수혜 기대감에 테마주로 분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