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 로고

SK케미칼 (285130) 주가 및 종목 정보

SK케미칼 실시간 주가

SK케미칼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58,300 원
변동량 ▼ 400.00 원
변동률 -0.68%
거래량 27,695
거래대금 1,597,440,450 원

SK케미칼 일별 주가

SK케미칼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22/2025 63,100 63,900 61,600 62,500 42,276 2,633,556,600
9/23/2025 62,000 63,400 61,100 61,600 43,454 2,697,338,550
9/24/2025 61,700 62,000 60,600 60,700 21,547 1,313,256,150
9/25/2025 60,100 60,900 59,200 59,300 27,081 1,615,202,450
9/28/2025 60,500 61,200 59,100 59,500 16,122 959,193,100
9/29/2025 59,000 59,500 57,700 57,900 45,159 2,628,035,250
9/30/2025 58,500 58,500 56,400 56,600 47,363 2,701,527,300
10/1/2025 57,600 58,600 56,600 58,000 41,335 2,398,357,450
10/9/2025 57,400 59,000 57,000 58,700 36,421 2,122,877,800
10/12/2025 58,700 58,700 56,900 58,300 27,695 1,597,440,450

관련 테마

  • 대북의료지원 : 세포배양 방식의 1억4천만 도즈 생산이 가능한 공장 보유로 독감 백신 및 대상포진 백신 등 생산
  • 치매 : 패치형 치매 치료제 SID710(국내명: 원드론)을 국내, 유럽, 호주, 캐나다 등에서 판매하고 있음
  • 코로나백신 : 자회사인 SK 바이오사이언스가 노바백스,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을 국내 위탁 생산 계약한 바 있음
  • A형간염 : A형 간염 백신인 MSD의 "박타프리필드시린지"의 판매 및 유통을 담당하고 있음
  • 독감 : 세계 최초로 개발한 4가 세포 배양 독감 백신 및 사노피에 독감 백신 기술을 수출하고 있음
  • 홍역 :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관련주로 편입
  • 층간소음 : SK 건설과 공동 개발로 4겹 흡음 소재와 특수 슬라브를 층간 소음 방지재를 판매하는 기업
  • 합성수지 : 고투명 소재 코폴리에스터와 리스이클 페트를 혼합한 화장품 용기 에코트리아를 개발하여 기존 플라스틱의 투명도 저하 및 색상 문제를 해결한 기업
  • 노바백스 : 자회사인 SK 바이오사이언스가 노바백스의 백신을 국내 위탁 생산 계약한 바 있음
  • 아스트라제네카 : 자회사인 SK 바이오사이언스가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을 국내 위탁 생산 계약한 바 있음

SK케미칼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0,058억 234위 17,253,783 10.72% 소재 화학 76,800 33,500

SK케미칼 기업 개요

SK케미칼은 2017년 12월 설립된 기업으로 친환경 소재사업 중심의 그린케미칼사업과 의약품과 백신을 생산ㆍ판매하는 제약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SK바이오사이언스(주)가 있다. 주요 매출은 그린케미칼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국내 최초의 신약 "선플라", 세계 최초의 필름형 발기부전치료제인 "엠빅스에스"를 개발 및 출시하였으며, 전 세계 17개국에 진출해 해외 선진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최신 SK케미칼 관련 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판결이 SK그룹의 유동성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법원이 1조3808억원의 재산분할을 결정한 2심 결정을 유지할 경우 최 회장과 SK그룹은 대규모 현금 조달을 위한 유동성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식의 원천? 父에게 받은 종잣돈 vs 노태우의 비자금9일 재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은 지난달 18일 전원 회의를 통해 최 회장과 노 관장의 이혼소송에 관한 재산분할액의 적절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법원이 해당 소송과 관련해 연내 선고를 준비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핵심 쟁점은 최 회장의 SK㈜ 지분을 '특유재산(特有財産)'으로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다. 특유재산은 부부 중 한 쪽이 혼인 전부터 가진 고유재산과 혼인 중 자신이 취득한 재산을 일컫는다. 원칙적으로 재산 분할 대상이 아니지만 상대가 재산 증식에 협력했다고 인정되는 경우엔 나눌 수가 있다. 1심 재판부는 최 회장이 보유한 SK㈜ 지분을 고(故) 최종현 SK선대회장으로부터 상속 받은 특유재산으로 보고, 주식을 재산분할 대상으로 판단하지 않았다. 반면 항소심 재판부는 최 회장이 SK㈜ 지분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노태우 대통령이 선경에 제공한 자금이 흘러들었고, 주식 형성에 부부의 공동 기여가 있다고 판단했다. 1심(665억원) 대비 20배 많은(1조3808억원) 재산분할이 결정된 이유다. SK주식의 뿌리가 된 '대한텔레콤'의 인수 자금이 된 2억8천만원을 두고도 최 회장 측은 최종현 선대 회장으로부터 증여받아 '종잣돈'을 마련했다고 주장했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최 회장 측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존재 여부도 관심사다. 노 관장은 모친 김옥숙 여사가 20년 전 남긴 '선경 300억'이 적힌 메모지와 SK가 발행한 약속어음 사진을 근거로 이 자금이 SK그룹 성장에 기여했다고 주장했고 항소심 재판부는 이런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에 대해 최 회장 측은 '비자금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고 SK 성장 등에 기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SK그룹의 성장 원천을 무엇으로 볼 것이냐를 두고 최 회장과 노 관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것이다. 재산분할이 최근 판례의 흐름을 따를지도 관심사다. 통상적으로 혼인기간이 20년 이상일 경우 특유재산도 재산분할 대상이 되어 왔다. 전업주부 역시 보살핌과 자녀 양육, 가사노동 등도 재산 형성에 기여했다고 보는 것이 최근 분위기다. SK그룹 지배구조 영향 가능성…최태원 지분 매각, 배당 강화 등 거론 판결 결과는 유동성을 포함한 SK그룹의 지배 구조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줄 전망이다. 지난해 최 회장의 이혼 소송 항소심 직후 본격화된 SK그룹의 대대적인 리밸런싱(사업구조재편) 작업으로 비핵심 자산 매각 등에 속도를 냈지만 SK하이닉스 등 주요 계열사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했고, 이혼 소송 결과에 따른 대규모 자금 조달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어서다. 대법원이 재산분할액을 큰 폭으로 조정한 취지로 파기환송을 주문하지 않거나 원심이 확정될 경우, 최 회장이 재산분할액 마련을 위해 보유 주식 매각을 포함한 대규모 현금 조달 압박에 내몰릴 전망이다. 최 회장은 SK그룹의 지주사인 SK㈜를 비롯해 다수의 계열사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최 회장은 올해 6월 30일 기준 △SK㈜ 17.9%(1297만5472주) △SK디스커버리 0.12%(보통주 2만1816주)·3.22%(우선주 4만2200주) △SK케미칼 3.21%(우선주 6만7971주) △SK텔레콤 0.0%(303주) △SK스퀘어 0.0%(196주) 등을 보유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안정적으로 경영권을 방어할 수 있는 지분 기준은 35% 수준이지만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최 회장측 SK㈜ 지분이 25%대다. 대법원이 노 관장의 손을 들어준다고 해도 최 회장이 SK㈜ 지분을 단기간 내 매각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이 경우 최 회장 측이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SK㈜의 배당 정책을 대폭 강화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대법원 판결은 SK그룹 리밸런싱의 '마지막 조각'으로 꼽히는 SK실트론 매각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국내 유일의 웨이퍼 제조 회사이자 매년 3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내는 SK실트론은 SK그룹의 자산 리밸런싱 과정에서 일찌감치 시장에 매물로 나왔지만 매각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매각가에 대한 SK(5조원)와 시장(2조원) 간 의견 차이가 크고, 무엇보다 이번 매각으로 지분 100%를 모두 보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매각 대상이 된 SK실트론 지분은 최 회장의 보유 지분(29.4%)을 뺀 SK그룹이 직접 보유한 지분(51.0%)과 SPC(특수목적법인)를 통해 간접 보유한 지분(19.6%) 등 70.6%다. 대법원 판단에 따라 최 회장의 실트론 지분이 재산분할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고 SK측의 SK실트론 매각가 산정 등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파기환송심이 열린다고 해도 SK그룹의 지배구조를 두고 리스크가 장기화될 공산이 크다. 이 경우 SK는 자사주(24.8%) 소각을 통해 최 회장의 지분율을 최대 33.9%까지 상승시키며 경영권 안정을 도모할 가능성이 크다. 재판 상황을 잘 아는 한 법조계 인사는 "(대법원 판결까지)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는다고 들었다"며 "결론에 어느 정도 가닥이 잡혀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 한국고분자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가해 '플라스틱의 새로운 패러다임: Recyclable, Recycled, and Renewable'을 주제로 특별 세션을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한국고분자학회 추계 학술대회는 학계·산업계·연구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고분자공학 및 과학의 기초부터 응용, 산업화까지 폭넓게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는 국내외 기업 및 연구소 70여곳과 72개 대학에서 약 2400명이 참석했다. SK케미칼은 이번 세션에서 △국내외 재활용 규제 동향 △페트(PET) 순환재활용 기술 △폐플라스틱 원료화 기술(r-BHET) △섬유 재활용 기술(T2T) △화학적 재활용 기반 코폴리에스터·r-TPA·PBT 등 총 9개 주제를 통해 자사의 기술력과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특히 화학적 재

SK케미칼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736,778,902,011 -0.69% -45,175,568,334 -154.23% -4,364,733,944 -109.12%
2023.4Q 1,748,777,740,387 -4.40% 83,302,487,079 -63.86% 47,837,893,778 -79.33%
2022.4Q 1,829,191,300,000 -12.46% 230,480,670,000 -58.49% 231,475,870,000 -13.87%
2021.4Q 2,089,631,900,000 72.03% 555,185,900,000 422.37% 268,743,340,000 5.32%

순매수량

개인: 3,687

기관: -4,083

외인: -155

누적 순매수량

개인: -96,663

기관: -190,322

외인: 294,093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3 3,687 -4,083 -155
2025-10-10 -3,494 -4,553 7,824
2025-10-02 -7,300 -6,781 14,024
2025-10-01 9,992 -5,655 -5,717
2025-09-30 15,826 -26,212 9,833
2025-09-29 2,646 -5,066 2,384
2025-09-26 8,757 -6,045 -5,442
2025-09-25 722 -305 -1,438
2025-09-24 -3,155 -2,939 6,026
2025-09-23 5,958 -11,430 4,581
2025-09-22 -2,449 -3,564 2,288
2025-09-19 -12,941 22,822 -9,880
2025-09-18 15,269 -8,058 -7,184
2025-09-17 3,856 13,587 -17,416
2025-09-16 -25,497 31,753 -5,725
2025-09-15 -3,849 6,657 -2,829
2025-09-12 -6,036 11,296 -4,602
2025-09-11 -361 -12,541 12,929
2025-09-10 12,291 -16,632 3,337
2025-09-09 -4,653 6,463 -1,887
2025-09-08 1,359 -2,232 673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3 10,628 -23,518 1,624
2025-10-10 6,941 -19,435 1,779
2025-10-02 10,435 -14,882 -6,045
2025-10-01 17,735 -8,101 -20,069
2025-09-30 7,743 -2,446 -14,352
2025-09-29 -8,083 23,766 -24,185
2025-09-26 -10,729 28,832 -26,569
2025-09-25 -19,486 34,877 -21,127
2025-09-24 -20,208 35,182 -19,689
2025-09-23 -17,053 38,121 -25,715
2025-09-22 -23,011 49,551 -30,296
2025-09-19 -20,562 53,115 -32,584
2025-09-18 -7,621 30,293 -22,704
2025-09-17 -22,890 38,351 -15,520
2025-09-16 -26,746 24,764 1,896
2025-09-15 -1,249 -6,989 7,621
2025-09-12 2,600 -13,646 10,450
2025-09-11 8,636 -24,942 15,052
2025-09-10 8,997 -12,401 2,123
2025-09-09 -3,294 4,231 -1,214
2025-09-08 1,359 -2,232 673

SK케미칼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5,679,061,824,288 45.96% 54.04%

SK케미칼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Green Chemicals Biz 67%
Life Science Biz 33%

SK케미칼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7,340 (22.38%)

최근 공매도 잔고: 37,991 (0.2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13 58,300 7,340 22.38%
2025-10-10 58,700 5,012 11.86%
2025-10-02 58,000 2,938 6.31%
2025-10-01 56,600 1,271 2.25%
2025-09-30 57,900 3,079 5.68%
2025-09-29 59,500 839 4.36%
2025-09-26 59,300 2,123 5.60%
2025-09-25 60,700 1,459 5.48%
2025-09-24 61,600 1,309 2.66%
2025-09-23 62,500 667 1.28%
2025-09-22 63,500 4,340 7.08%
2025-09-19 64,900 10,914 13.85%
2025-09-18 63,900 5,466 8.56%
2025-09-17 64,000 7,413 18.64%
2025-09-16 64,400 9,646 7.30%
2025-09-15 62,300 2,604 6.99%
2025-09-12 61,600 3,413 5.00%
2025-09-11 60,500 4,884 10.23%
2025-09-10 60,300 2,004 2.67%
2025-09-09 62,100 5,629 10.13%
2025-09-08 60,700 948 2.75%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0-02 58,000 37,991 0.22%
2025-10-01 56,600 51,021 0.30%
2025-09-30 57,900 51,553 0.30%
2025-09-29 59,500 50,593 0.29%
2025-09-26 59,300 50,483 0.29%
2025-09-25 60,700 48,216 0.28%
2025-09-24 61,600 47,622 0.28%
2025-09-23 62,500 47,185 0.27%
2025-09-22 63,500 47,020 0.27%
2025-09-19 64,900 45,985 0.27%
2025-09-18 63,900 44,781 0.26%
2025-09-17 64,000 37,859 0.22%
2025-09-16 64,400 32,847 0.19%
2025-09-15 62,300 31,409 0.18%
2025-09-12 61,600 31,289 0.18%
2025-09-11 60,500 25,424 0.15%
2025-09-10 60,300 28,052 0.16%
2025-09-09 62,100 33,452 0.19%
2025-09-08 60,700 33,567 0.19%
2025-09-05 60,500 37,868 0.22%
2025-09-04 61,400 37,502 0.22%

SK케미칼 업종 내 비교

화학 업종(123개) 연간 기준

항목 SK케미칼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0,127.971 7,765.63 15위
PER(최근4분기) 29.721 5.49 22위
PBR 0.51 1.7 84위
ROE(최근4분기) 0.409 -6.59 81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681 2.47 51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2.601 -6.5 97위
순이익률(최근연도) -0.251 -2.88 84위
부채비율(최근연도) 76.957 82.87 51위
매출액(최근연도) 17,367.789 13,616.81 15위
영업이익(최근연도) -451.756 156.37 112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43.647 -193.54 9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