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뱅크 로고

인포뱅크 (039290) 주가 및 종목 정보

인포뱅크 실시간 주가

인포뱅크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5,680 원
변동량 ▲ 60.00 원
변동률 1.07%
거래량 21,821
거래대금 123,024,160 원

인포뱅크 일별 주가

인포뱅크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2/2025 5,960 6,140 5,720 5,750 69,793 414,613,520
11/3/2025 5,670 5,770 5,430 5,550 58,709 328,797,550
11/4/2025 5,430 5,540 5,310 5,440 38,536 208,528,775
11/5/2025 5,430 5,730 5,400 5,590 16,237 89,736,070
11/6/2025 5,590 5,590 5,400 5,570 29,391 160,274,550
11/9/2025 5,570 5,710 5,460 5,690 13,435 75,067,665
11/10/2025 5,690 5,790 5,480 5,600 15,266 85,333,010
11/11/2025 5,750 5,750 5,530 5,610 12,815 71,996,450
11/12/2025 5,610 5,670 5,580 5,620 25,419 142,646,715
11/13/2025 5,570 5,780 5,530 5,680 21,821 123,024,160

관련 테마

  • 황교안 : 인포뱅크의 박태형 대표와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경기고 동문이라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 이재명 : 인포뱅크의 장준호 등기이사가 이재명 성남 시장 시절 성남 창조 경영 포럼의 운영 위원직으로 역임한 바 있음
  • 스마트카 : 스마트카 분야 자동차 전장 부품 S/W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주요 서비스로 Smart Car 서비스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솔루션 및 서비스 사업이 있음
  • 자율주행 : Smart Car서비스(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솔루션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현대차그룹에 스마트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음
  • 핀테크 : 전자 결제 서비스 업체로 "엠앤뱅크"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음
  • 최재형 : 인포뱅크의 박태형 대표이사가 경기고, 서울대 동문
  • 애플카 :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모바일메시징서비스를 영위중 이며, 애플 카플레이를 개발한 기업
  • 카카오뱅크 : 카카오뱅크 알림 위탁계약을 체결해 대고객 메시지 발송, MO문자 서비스, 휴대폰 본인 확인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된 바 있음
  • SNS : 양방향 미디어 서비스를 통한 문자 투표 기술을 보유
  • 전자결제 : 메시지전송 시스템, 인증시스템과 더불어 전자 결제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업체
  • 챗GPT : 모바일솔루션 AI챗봇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21년 챗복 구독 서비스 ‘아보카’를 공식 출시함

인포뱅크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493억 1262위 8,693,978 0.54% IT/ICT IT서비스 9,520 5,310

인포뱅크 기업 개요

인포뱅크는 1995년 6월 설립된 기업으로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통합한 정보서비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주)아이하트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기업용메시징서비스, 양방향미디어서비스, 스마트카서비스 등의 서비스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양방향 미디어서비스는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신규서비스를 개발 및 인프라를 구축하였고 애플 "카플레이", 구글 "안드로이드오토" 솔루션 기술개발에 성공하였다.

최신 인포뱅크 관련 뉴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차세대 농식품 유통기술 혁신 스타트업 에코기어가 500글로벌, 인포뱅크, 소풍커넥트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7일 밝혔다. 투자금액과 기업가치는 비공개다. 에코기어는 천연 바이오소재 기반의 식용 나노코팅제를 개발한 기업이다. 이 코팅제를 농산물 표면에 적용하면 머리카락 굵기의 수천 분의 1 수준의 얇은 보호층이 형성돼 신선도가 유지되고 소비기한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또 저장·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름·갈변, 해충·곰팡이 오염 등으로 장기 저장이나 해상 수출이 어려웠던 농산물의 품질 저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나노코팅층에는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원료도 추가할 수 있다. 비타민, 무기질, 면역 강화 성분 등 건강증진 소재를 손쉽게 더해 '기능성 과채류'로 확장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에코기어의 기술력은 2022년 산업단지 오픈이노베이션 우수...

[동국대 캠퍼스타운 x 스케일업]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이 스케일업팀과 함께 ‘2025년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동국대 캠퍼스타운과 스케일업팀은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스타트업들이 진행 중인 사업 전반을 소개하고, 이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합니다. 이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도전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를 연결해 도우려 합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과 IT동아는 지난 5월부터 ‘2025년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스케일업 프로그램은 유망한 스타트업을 선정해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성장에 필요한 전문가 멘토링, 언론 홍보 전략 교육, 기업 홍보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넥톤 ▲도미노이펙트 ▲릿툰 ▲아틀로 ▲안심하이 ▲우트스킨케어 ▲키라앤컴퍼니 ▲퍼슬리 ▲포플러플래닛 ▲프론트웍스(가나다순) 등 10개 스타트업이 참여했다. IT동아는 스타트업 전문 컨설팅 기업 패스파인더넷과 함께 각 스타트업의 사업 분야, 주요 솔루션, 사업 진행 상황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현재 직면한 문제와 고민 사항을 파악했다. 이후 성장에 필요한 전문가를 섭외해 멘토링을 진행했고, 스타트업과 주력 솔루션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사를 지원했다. 언론 대응, 보도자료 작성 등 홍보 전략 교육을 진행하며 보도자료 작성 기회도 제공했다. 2025 스케일업 D. 코리아 성과공유회에 참가한 스타트업 대표 / 출처=IT동아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과 IT동아는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모두 마친 후 ‘2025 스케일업 D. 코리아 성과공유회’를 열고 우트스킨케어, 키라앤컴퍼니, 퍼슬리, 포플러플래닛, 프론트웍스 대표에게 프로그램 참여 소감과 그간의 성과, 앞으로의 성장 계획에 대해 물었다. 우트스킨케어 “기업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됐습니다” 우트스킨케어는 생태계 교란 식물인 단풍잎돼지풀에서 추출한 원료로 기능성 미백 앰플 ‘우트 풀로 미백 앰플’을 개발했다. 김나래 우트스킨케어 대표는 브랜드 정체성 및 방향성, 판매 전략 등을 고민했다. 이에 IT동아는 브랜드 및 마케팅 전문가 최수정 매드해터 대표를 멘토로 주선했다. 또한 우트스킨케어 생태계 교란 식물 업사이클링 사례의 의의를 조명하는 기사를 지원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나래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은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기업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성장 단계와 업종 특성을 반영한 진단과 멘토링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화했고, 저희 핵심 메시지를 기사화하면서 대외 신뢰도와 인지도를 모두 높일 수 있었습니다. 저희처럼 지속 가능성과 바이오 소재를 결합한 뷰티 브랜드의 경우 시장 확장 이전에 브랜드 기반 다지기가 필요한데, 이번 프로그램이 그 토대를 정교하게 다듬는 계기가 됐습니다. 또한 전문 멘토링과 언론 인터뷰 과정을 통해 우트스킨케어의 존재 이유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었고, 다음 단계로 나아갈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김나래 우트스킨케어 대표 / 출처=IT동아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 기간 중 얻은 성과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나래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 기간 동안 리브랜딩과 마케팅 체계 고도화,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정립에 집중했습니다. 브랜딩 측면에서는 생태계 교란 식물 업사이클링 원료를 중심으로 브랜드 스토리를 재정립하고, ‘피부 본연의 힘을 회복한다’라는 철학을 중심으로 브랜드 메시지를 강화했습니다. 사업 측면에서는 청년창업사관학교와 첨단 바이오 소재 제품화 지원 사업 등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해 제품 개발 체계 및 공공 납품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이와 함께 다양한 마케팅 채널에서 지속적으로 A/B 테스트를 진행하며 광고 수익률(ROAS)을 점진적으로 높이고 있습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추가되길 희망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김나래 대표: 판로 개척 관련 프로그램이 있으면 합니다. IR 피칭 실습, 투자자와의 1:1 점검, 글로벌 전시회 및 수출 상담회 연계 등이 추가된다면 프로그램 완성도가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또한 멘토링 후 브랜드 인지도, 매출, 협업 건수 등 실제 성과를 추적하는 후속 관리 세션이 있다면 기업 성장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T동아: 우트스킨케어의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나래 대표: 우트스킨케어는 단순히 친환경 화장품을 만드는 브랜드가 아니라 버려지는 자원을 순환시키는 지속 가능한 웰니스 기업을 지향합니다. 2026년 1분기에는 새로운 콘셉트의 리브랜딩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며, 동시에 뷰티 콘텐츠 플랫폼을 병행 운영해 웰니스 및 롱제비티(건강한 수명 연장) 중심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입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의 지속 가능한 건강 가치를 글로벌 시장에 확산시키고자 합니다. 천연 바이오 소재 기반 R&D, ESG 브랜드 제휴, 콘텐츠를 통한 글로벌 확장 전략을 지속적으로 실험하며, 환경과 인간의 균형 있는 공존을 실현하는 브랜드로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키라앤컴퍼니 “사업 방향을 명확히 설정했습니다” 키라앤컴퍼니는 금융 초보자를 위한 리워드형 금융 학습 및 상품 추천 플랫폼 캐츠비를 운영한다. 캐츠비는 퀴즈를 풀거나 미션을 달성하면, 커피, 간식, 상품권 등으로 교환할 수 있는 젬(Gem)을 제공한다. IT동아는 기업 지속 성장에 대해 고민하는 박혁 키라앤컴퍼니 대표를 위해 금융 분야 전문가 박원규 콜라이더 대표와의 멘토링을 진행했다. 이후 글로벌 금융 교육 트렌드와 캐츠비의 주요 특징을 소개하는 기사를 지원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박혁 대표: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일수록 속도만큼 방향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는 기회였습니다.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통해 캐츠비의 사업 구조와 전략을 근본적으로 점검했고, 사업 방향을 명확히 설정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비전이 쉽지 않지만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확신과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또한 성장 단계와 현황에 맞춘 1:1 피드백 중심 멘토링을 통해 실제 비즈니스 현안을 해결했습니다.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금융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저희 사업의 본질을 깊이 있게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박혁 키라앤컴퍼니 대표 / 출처=IT동아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 기간 중 얻은 성과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박혁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통해 캐츠비의 핵심 구조를 한층 고도화했습니다. 또한 교보생명과 기술검증(PoC)을 진행하며 실질적인 시장 검증을 마쳤고, 인포뱅크와 브이엔티지(VNTG)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달성하는데 스케일업 프로그램이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추가되길 희망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박혁 대표: 프로그램의 완성도가 높은 만큼, 후속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브릿지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더 큰 시너지가 날 것 같습니다. 실제 투자나 기업 간 협업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이 추가되면 참여 스타트업이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IT동아: 키라앤컴퍼니의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박혁 대표: 저희는 지난 6월 캐츠비 iOS 버전을 선보였는데, 올해 안에 안드로이드 버전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내년에는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글로벌 버전 최소기능제품(MVP)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중장기적으로는 금융사 및 공공기관과 협력해 더 많은 사용자가 금융을 배우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금융 상품을 추천받도록 사업을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아시아 금융 문해력 혁신의 표준을 만들고자 합니다. 캐츠비가 ‘돈이 되는 금융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속적으로 성장하겠습니다. 퍼슬리 “구체적인 사례와 실질적인 조언이 유용했습니다” 퍼슬리는 인공지능(AI) 챗봇 기반 의료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암 환자 등 중증 질환자가 카카오톡이나 퍼슬리 앱으로 질문하면 의학용어나 치료법 등 의료 정보를 쉽게 풀어서 답한다. 오상준 퍼슬리 대표는 사용자 확보 및 마케팅 방안에 대해 고민했다. 이에 IT동아는 시니어 헬스케어 플랫폼 케어닥을 이끌고 있는 박재병 대표를 멘토로 추천했다. 또한 퍼슬리 리뷰 기사를 통해 주요 기능과 사용법을 소개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오상준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은 저희처럼 이제 막 성장 궤도에 진입한 스타트업에게 꼭 필요한 ‘거울’ 같은 프로그램이었습니다. 각 분야 전문가와의 멘토링을 통해 저희가 놓치고 있던 운영 지표, 투자자 관점, 글로벌 진출 전략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평소 고민하던 AI 의료 서비스의 방향성과 확장 전략 부분에 대해서도 멘토들이 각자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와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했습니다. 덕분에 저희와 같은 AI 헬스케어 서비스의 경우 사업적으로, 사회적으로 균형감 있게 성장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오상준 퍼슬리 대표 / 출처=IT동아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 기간 중 얻은 성과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오상준 대표: 올해 초 MVP를 출시한 이후 6개월 만에 월간활성이용자(MAU) 1만 명, 누적 질문 50만 건을 달성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통해 ‘아플 때 쓰는 AI’라는 확고한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저희의 핵심 지표 또한 크게 개선됐습니다. 또한 중소벤처기업부의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TIPS) R&D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되며 기술 고도화 발판을 마련했고, B2C 중심 AI 건강 비서 서비스를 기반으로 보험사 및 지자체 등 B2B 파트너십까지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습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추가되길 희망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오상준 대표: 지금으로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사실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각 프로그램이 기업 성장에 많은 도움이 됐다는 점에서 너무 만족스럽습니다. IT동아: 퍼슬리의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오상준 대표: 단기적인 목표는 병원 추천, 진료 예약 등 암 환자가 투병 기간 동안 필요로 하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중장기적으로는 개인의 5년 치 의료 기록과 일별 증상을 바탕으로 ‘1인 1주치의’ 역할을 하는 AI 건강 비서로 성장하고, 그 과정에서 축적한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험사와의 유병자 보험 확대 ▲제약사와의 실제 임상 근거(RWE) 마련 생태계 구축 ▲병원과의 환자 일상 증상 데이터 수집 채널 구축 등을 달성해 헬스케어 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만들 계획입니다. 포플러플래닛 “사업을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포플러플래닛은 AI 기반 문해력 및 언어 교육 플랫폼을 개발한다. 현재 제공하는 서비스는 초등학생을 위한 문해력 기반 AI 글쓰기 진단 서비스 ‘생글방글’과 외국인을 위한 직업 특화 한국어 학습 서비스 ‘아이고 코리안’이다. 김예진 포플러플래닛 대표는 서비스 확장 전략에 대해 고민했다. 이에 IT동아는 온라인 지식 커뮤니티 서비스 홀릭스를 운영하는 박태영 홀릭스팩토리 대표와의 멘토링을 마련했다. 또한 유인근 인천 도담초등학교 교사를 만나 생글방글을 교육 현장에 활용한 소감을 기사화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예진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은 전문가 멘토링과 미디어 연계를 통해 사업을 객관적으로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멘토링의 경우 막연한 조언이 아닌 시장 진출, 투자 유치, 브랜드 홍보 등 저희에게 유용한 조언을 제공했고, 언론 기사를 통해 저희 서비스의 교육적 의미와 기술력을 대중에게 소개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포플러플래닛의 비전과 방향성을 정리하고, 외부에서 느끼는 강점과 보완점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스케일업 프로그램은 스타트업의 현재 성장 단계에 꼭 맞춘 지원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예진 포플러플래닛 대표 / 출처=IT동아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 기간 중 얻은 성과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예진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통해 미디어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동시에 강화한 것이 가장 값진 성과입니다. 기사 작성 요령과 핵심 메시지 전달 방식에 대해 교육받고 직접 보도자료를 작성하면서, 내부적으로 많은 논의를 했고 이를 통해 기술적 강점보다 ‘교육적 가치와 사람의 성장’이라는 본질적인 메시지를 중심으로 브랜드 스토리를 정리했습니다. 또한 해외 전시회에서 만난 업계 관계자를 통해 기사가 글로벌 현장에서도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실감했습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추가되길 희망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김예진 대표: 투자자나 해외 파트너를 직접 연결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저희처럼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의 경우 글로벌 시장 리포트 공유나 해외 IR 관련 멘토링이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T동아: 포플러플래닛의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예진 대표: 저희는 국내와 해외에서 각각 다른 방향의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생글방글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이 글쓰기를 통해 사고력과 표현력을 기르도록 돕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아이고 코리안과 코라이트를 중심으로 외국인이 일상 속 한국어 사용 경험을 개선하는 생활형 AI 한국어 학습 서비스를 지향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가의 대학 및 기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글로벌 데이터 협력 체계를 구축 중입니다. 앞으로도 교육, 기술, 사람의 성장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국내에서는 글쓰기 교육의 깊이를, 해외에서는 한국어 학습의 폭을 넓히는 기업으로 발전해 나가겠습니다. 프론트웍스 “명확한 홍보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프론트웍스는 영상 발주자와 전문가를 연결하고 영상 제작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영상 제작 종합 허브 ‘필름어스’를 운영한다. 현재 프론트웍스는 투자 유치와 TIPS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IT동아는 김용민 프론트웍스 대표에게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페인터즈앤벤처스의 김경숙 대표를 멘토로 추천했다. 또한 필름어스로 홍보 영상을 제작한 소상공인을 만나 필름어스 사용 소감을 기사로 전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미디어 연계를 통한 기사 게재, 보도자료 작성을 경험하면서 저희 사업의 여러 요소 중 어떤 부분을 홍보 포인트로 선정해야 하는지 배웠습니다. 언론, 투자사, 고객에게 강조해야 할 측면이 다르다는 것도 알게 됐습니다. 또한 저희 사업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그에 맞는 멘토링과 기사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던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저희 사업 단계에 꼭 맞는 기사와 멘토링을 지원받을 수 있었습니다. 김용민 프론트웍스 대표 / 출처=IT동아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 기간 중 얻은 성과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대표: 사업 방향성을 명확히 설정한 것이 가장 큰 성과입니다. 기존에는 매칭 플랫폼에 초점을 맞췄는데, 실제 유입 고객 분석, 투자자 관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영상 제작 워크플로 플랫폼으로 범위를 확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자동 세팅 기능 ‘블루프린트’와 프로젝트 관리 기능 ‘영상 제작 작업실’ 등 새로운 기능도 선보였습니다. IT동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 추가되길 희망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김용민 대표: 멘토링을 넘어 실제 투자 유치로 연결될 수 있는 핀포인트 투자 미팅, IR 발표, 투자 라운드가 있다면 기업과 서비스를 스케일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IT동아: 프론트웍스의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대표: 저희는 지난 10월 필름어스 대규모 업데이트와 서비스 확장을 진행했습니다. 이를 기점으로 진정한 영상 제작 워크플로 플랫폼으로 도약하고자 합니다. 영상 발주자와 제작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넘어 실제 영상 제작 업무 전반에 상시 활용되는 업무 툴로써 영상 산업의 시스템화를 이루고, 나아가 콘텐츠 제작 산업 전반의 표준을 제시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10월 4째주(27~31일)에는 △의식주컴퍼니 △피노바이오 △빅테크플러스 △온다 △티알 △가제트코리아 △직스테크놀로지 스냅컴퍼니 등 8개 스타트업이 투자유치 소식을 전했다. 특히 모바일 세탁 서비스 '런드리고'를 운영하는 의식주컴퍼니가 LG전자로부터 총 10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 의식주컴퍼니는 2019년 비대면 모바일 세탁 서비스 '런드리고'를 출시해 176개의 무인 스마트 세탁소 '런드리24'와 호텔세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런드리고 호텔앤비즈니스' 등을 운영 중이다. 이외에도 스냅컴퍼니(210억원), 피노바이오(130억원), 가제트코리아(110억원) 등이 100억원 이상 '메가딜'을 성사시켰다. ━빅테크플러스, 57억 시리즈A 투자유치…"부동산 마이데이터 박차"━ 부동산정보서비스 '홈큐'를 운영하는 빅테크플러스가 총 57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내에는 만성적으로 기침을 하고 가래가 생기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가 300만명에 달한다. 심한 경우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위험한 질환이지만 초기에 의원급 의료기관(1차 의료기관)에서 이를 진단하긴 쉽지 않다. 대부분 1차 의료기관들에 폐 기능 검사장비가 없어서다. 가장 큰 이유는 1차 의료기관 의료진 대부분이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가정의학과 전공인 만큼 호흡기내과에서 사용하는 전문 검사장비를 사용하기가 까다로워서다. 검사 장비들이 점차 고도화되면서 역설적으로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장비를 다루고 결과를 해석하는 게 더 어려워진 것으로 전해진다. 스타트업 티알은 AI(인공지능) 기반 폐 질환 검진기 '더 스피로킷'을 개발해 이런 문제 해결에 나섰다. 검사기기를 입에 물고 호흡하기만 하면 AI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진단해주는 장비로, 호흡기내과 전공이 아닌...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기반 폐 기능 검사기 개발기업 티알은 총 25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캡스톤파트너스, 한림대기술지주, 인포뱅크, 신용보증기금,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DHP), 서울경제진흥원(SBA) 등이 참여했다. 티알은 호흡기 질환의 조기 진단을 돕는 AI 기반 폐 기능 검사기 '더 스피로킷',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한 네블라이져 '더 넵', 흡입기 보조도구 스페이서 '더 에어로킷' 등 호흡기 관련 의료기기를 개발했다. 티알 관계자는 "최근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폐 기능 검사가 포함되는 제도적 변화에 발맞춰 선제적인 대응을 이어왔다"며 "더 스피로킷이 호흡기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높은 정확도의 폐 기능 및 질환 검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투자자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티알은 현재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국...

인포뱅크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36,860,866,539 -0.00% -5,132,517,508 -133.34% -3,737,164,281 -162.84%
2023.4Q 136,861,270,491 -2.36% -2,199,591,258 -536.35% 5,947,155,161 359.87%
2022.4Q 140,174,480,000 1.14% -345,659,650 -108.80% 1,293,212,300 -85.39%
2021.4Q 138,594,960,000 15.88% 3,927,716,900 560.15% 8,848,977,000 451.00%

순매수량

개인: -1,497

기관: 2

외인: 1,495

누적 순매수량

개인: 60,700

기관: 107

외인: -62,067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4 -1,497 2 1,495
2025-11-13 2,482 2 -2,320
2025-11-12 -2,641 2 2,639
2025-11-11 3,012 1 -3,177
2025-11-10 -2,770 2 2,858
2025-11-07 -22 2 20
2025-11-06 5,398 2 -4,933
2025-11-05 5,129 1 -5,130
2025-11-04 6,407 2 -6,511
2025-11-03 4,540 1 -4,519
2025-10-31 -1,106 2 967
2025-10-30 2,668 2 -2,670
2025-10-29 408 2 -410
2025-10-28 -933 2 931
2025-10-27 1,297 1 -1,298
2025-10-24 4,166 2 -4,168
2025-10-23 -21 2 19
2025-10-22 1,833 2 -1,835
2025-10-21 -2,457 1 2,456
2025-10-20 -351 2 748
2025-10-17 3,718 2 -3,674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4 29,260 37 -28,512
2025-11-13 30,757 35 -30,007
2025-11-12 28,275 33 -27,687
2025-11-11 30,916 31 -30,326
2025-11-10 27,904 30 -27,149
2025-11-07 30,674 28 -30,007
2025-11-06 30,696 26 -30,027
2025-11-05 25,298 24 -25,094
2025-11-04 20,169 23 -19,964
2025-11-03 13,762 21 -13,453
2025-10-31 9,222 20 -8,934
2025-10-30 10,328 18 -9,901
2025-10-29 7,660 16 -7,231
2025-10-28 7,252 14 -6,821
2025-10-27 8,185 12 -7,752
2025-10-24 6,888 11 -6,454
2025-10-23 2,722 9 -2,286
2025-10-22 2,743 7 -2,305
2025-10-21 910 5 -470
2025-10-20 3,367 4 -2,926
2025-10-17 3,718 2 -3,674

인포뱅크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95,813,704,503 26.95% 73.05%

인포뱅크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모바일메시징서비스 [서비스] 87.5%
기타모바일서비스 [서비스] 8.9%
Smart Car 서비스 [서비스] 3%
S/W개발 및 상품 [기타] 0.4%
부동산임대 및 기타 0.2%

인포뱅크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0 (0%)

최근 공매도 잔고: 0 (0%)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14 5,680 0 0.00%
2025-11-13 5,620 0 0.00%
2025-11-12 5,610 0 0.00%
2025-11-11 5,600 0 0.00%
2025-11-10 5,690 0 0.00%
2025-11-07 5,570 0 0.00%
2025-11-06 5,590 0 0.00%
2025-11-05 5,440 0 0.00%
2025-11-04 5,550 0 0.00%
2025-11-03 5,750 0 0.00%
2025-10-31 5,960 0 0.00%
2025-10-30 5,750 0 0.00%
2025-10-29 5,680 0 0.00%
2025-10-28 5,770 0 0.00%
2025-10-27 5,730 0 0.00%
2025-10-24 5,790 0 0.00%
2025-10-23 5,840 0 0.00%
2025-10-22 5,820 0 0.00%
2025-10-21 5,770 0 0.00%
2025-10-20 5,760 0 0.00%
2025-10-17 5,730 0 0.00%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12 5,610 0 0.00%
2025-11-11 5,600 0 0.00%
2025-11-10 5,690 0 0.00%
2025-11-07 5,570 0 0.00%
2025-11-06 5,590 0 0.00%
2025-11-05 5,440 0 0.00%
2025-11-04 5,550 0 0.00%
2025-11-03 5,750 0 0.00%
2025-10-31 5,960 0 0.00%
2025-10-30 5,750 0 0.00%
2025-10-29 5,680 0 0.00%
2025-10-28 5,770 0 0.00%
2025-10-27 5,730 0 0.00%
2025-10-24 5,790 0 0.00%
2025-10-23 5,840 0 0.00%
2025-10-22 5,820 0 0.00%
2025-10-21 5,770 0 0.00%
2025-10-20 5,760 0 0.00%
2025-10-17 5,730 0 0.00%
2025-10-16 5,800 0 0.00%
2025-10-15 5,950 0 0.00%

인포뱅크 업종 내 비교

IT서비스 업종(101개) 연간 기준

항목 인포뱅크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487.732 4,286.11 80위
PER(최근4분기) -13.085 5.67 77위
PBR 0.696 2.51 86위
ROE(최근4분기) -5.332 -6.6 68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178 2.26 42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3.75 -10.23 7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2.731 -17.74 68위
부채비율(최근연도) 35.03 95.89 74위
매출액(최근연도) 1,368.609 5,284.71 33위
영업이익(최근연도) -51.325 294.88 79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7.372 227.44 7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