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87% 하락한 2894.62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PPI 예상치 하회 속 금리 인하 기대감 부각, 오라클 호실적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930.57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2932.3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줄였고, 하락 전환해 오전 한때 2878선까지 낙폭을 확대했다. 오전중 2902선까지 낙폭을 회복하기도 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재차 낙폭을 키웠고 오후 한때 2877.0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트럼프 '파월 때리기' 지속에 급락…다우 2.5%↓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달러화 지위에 대한 의구심까지 커지면서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급락. 안전자산 수요 증가에 금값은 랠리를 지속했고, 국제유가는 경기침체 우려 및 공급 확대 가능성에 하락.
-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71.82포인트(-2.48%) 떨어진 38,170.41에 거래를 마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4.50포인트(-2.36%) 내린 5,158.2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15.55포인트(-2.55%) 내린 15,870.90에 각각 마감.
-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이자, 중대 실패자(a major lose)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는데,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압박은 투자자금의 미국 자산 이탈과 함께 달러화 약세로 이어져. 2) 엔화값 7개월 만에 최고…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파월도 외면하고 기댈 곳도 없다…급락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급락. 지난해 증시를 이끌었던 엔비디아의 H20 칩을 미국 정부가 대중(對中) 수출 제한 대상으로 삼으면서 투자심리가 악화. 게다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현재로선 시장에 개입할 의사가 없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주가를 한 번 더 주저앉혀.
- 1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99.57포인트(1.73%) 떨어진 39,669.39에 거래를 마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0.93포인트(2.24%) 급락한 5,275.70, 나스닥종합지수는 516.01포인트(3.07%) 주저앉은 16,307.16에 장을 마쳐.
- 파월은 이날 공개 발언에서 예상보다 높은 관세로 인플레이션이 더 지속될 위험이 크다며 연준의 이중책무가 충돌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우려. 그는 "연준은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을 고정시키고 일회성 물가 인상이 인플레이션 문제로 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obligations)로 삼고 있다"고 강조. 2) “이러다 美 눈밖에 날라”…중국 의존도 줄
● 핵심 포인트
- 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위험자산 투매 발생, 투자심리 냉각 중.
-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 20일 이평선 하향 이탈하였으나 나스닥의 경우 최근 상승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평가 존재.
- 트럼프 대통령의 월가 수장 회동에서 완화적 제스처 여부 주시 필요.
- 한국 증시 2%대 하락으로 출발. 코스피 2% 밀려 2516선, 코스닥 2.29% 하락 709선.
- 대부분 업종 부진하나 통신업종이 하방 지지, SK텔레콤 상승, KT와 LG유플러스는 하락.
- 부동산 업종도 낙폭이 깊지 않음. SK디앤디와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는 강보합이나 다른 리츠 관련주는 부진.
- 의료 정밀기기 업종 낙폭이 가장 큼, 케이씨텍과 디아이 각각 4% 넘게 하락.
- 뉴욕 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4.85% 하락 영향으로 국내 반도체주도 부진.
- 고려산업 12% 상승, 신송홀딩스 5% 상승 등 농산물 관련주 상승. 중국의 농산물 보복 관세 소식과 고려 경영권 분쟁 이슈 영향.
- KG모빌리티 11% 급락, 율촌화학 9.5% 하락, 이수스페셜티케미컬 5.3% 하락 등 전반적으로 투자심리 부진.
-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모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