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데몬헌터스 : 더블랙레이블 지분 14.55% 보유 기업으로, 테디를 비롯한 더블랙레이블 소속 프로듀서들이 케데헌 OST 제작에 직접 참여하여 글로벌 음원 성과에 따른 수익 증대 기대됨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1,513억
63위
18,691,049
18.41%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109,800
42,500
와이지엔터테인먼트 기업 개요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1998년 2월 설립된 기업으로 음반 및 음원 사업, 공연 사업, 매니지먼트(용역)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주)YG플러스가 있다. 주요 매출은 앨범, DVD 등의 상품 및 제품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국내를 포함하여 전 세계에서 매출이 발생하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소속 아티스트의 IP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사업과 상품 판매 등의 부가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소속 아티스트는 블랙핑크, 빅뱅, 트레저, 아이콘, 악뮤, 위너, 젝스키스 등이 있다.
YG엔터테인먼트(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소속 그룹 베이비몬스터가 지난 15~16일 일본 치바 라라 아레나 도쿄 베이에서 개최한 '베이비몬스터 [러브 몬스터즈] 제팬 팬 콘서트 2025'에서 양일간 총 2만명의 관객을 끌어모았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팬 콘서트는 첫 일본 투어 이후 약 7개월 만이자 미니 2집 [WE GO UP](위 고 업)발표 후 첫 단독 공연으로 이전 투어에서 전 회차 매진을 기록했던 열기가 그대로 이어졌다. 그 출발점인 치바 공연은 팬들의 높은 기대감 속에 공연장 밖까지 함성이 울릴 정도의 뜨거운 분위기를 자아냈다. 베이비몬스터는 "치바 첫 방문이었는데 뜨거운 환호를 직접 마주해 큰 감동을 받았다"며 "한분, 한분의 밝은 얼굴을 가까이에서 바라볼 수 있어 더욱 행복한 시간이었고 몬스티즈의 뜨거운 성원이 저희에게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미니 2집 [위 고 업]으로 일본 주요 음원·음반 차트 정상에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베이비몬스터는 니혼TV '바즈리즈무...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4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2.2% 급락하며 900선 아래로 밀려났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종료에도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 후퇴, ▲다음 주부터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고용·물가 등 경제지표 변수 우려, ▲AI(인공지능) 거품론 확대 등의 이슈 속에 3대 지수가 모두 급락했다는 소식 속에 한국증시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얼어붙었다. 2차전지, 반도체, 로봇주 등 대부분 업종이 급락한 반면 에이비엘바이오, 리가켐바이오,
엔터테인먼트 산업 매출에 기여하는 팬덤 구조는 대중(Mass)-라이트(Light)-코어(Core)의 피라미드형이다. 핵심 수요층인 코어가 전체 매출의 약 80%를 차지한다. 14일 흥국증권은 '2026년: Stage Reopening' 보고서를 통해 국내 케이팝(K-pop) 4사 성장을 이끌었던 음반 대신 공연이 매출 성장을 이끌면서 코어층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팬데믹 효과로 확 늘어났던 음반 판매 감소세국내 엔터테인먼트 4사 음반 판매는
와이지엔터테인먼트가 3분기 호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 조정세를 보이자 MD(머천다이징) 매출 부진이 원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와이지엔터는 로열티 수익 등 실제 매출액을 합산할 경우 MD 관련 수익이 증권가 예상을 뛰어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와이지엔터에 따르면 3분기 연결 매출은 전년 대비 107.2% 늘어난 1,731억원, 영업이익은 311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영업이익률은 18%를 회복했다. 일각에서는 3분기 MD 매출이 281억원에 그쳐 증권가의 예상 매출액 500억원을 하회했다는 지적이 나왔으나, 이는 MD 매출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MD 매출은 내 팝업스토어 및 온라인몰 등 직접 MD는 총매출로 인식되지만, 해외 팝업스토어 등 위탁 MD는 로열티로 인식된다. 로열티 수익은 순이익률이 높은 고수익 사업이다. 3분기 로열티 매출은 123억원이었다. 이 로열티를 MD 매출로 환산하면 최대 300억원 수준의 MD가 판매된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