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반도체 TSMC 추격전략 대신…1등 넘어서겠다는 사고를"

"인공지능(AI)의 확산으로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가 근본부터 바뀌고 있는데 한국 반도체 산업은 여전히 과거 '추격형 성장 모델'에 머물러 있는 게 우리의 현실입니다." 지난 1일 ..
항목 | 값 |
---|---|
현재가 | 30,800 원 |
변동량 | ▼ 1450.00 원 |
변동률 | -4.50% |
거래량 | 870,257 |
거래대금 | 27,476,359,125 원 |
날짜 |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9/22/2025 | 33,000 | 33,050 | 31,600 | 32,000 | 563,661 | 18,174,609,100 |
9/23/2025 | 31,400 | 32,550 | 30,950 | 32,500 | 647,026 | 20,536,750,275 |
9/24/2025 | 32,150 | 33,000 | 31,650 | 32,100 | 517,471 | 16,663,860,925 |
9/25/2025 | 31,650 | 31,650 | 30,450 | 30,700 | 429,633 | 13,269,104,400 |
9/28/2025 | 30,700 | 31,450 | 30,550 | 31,300 | 231,606 | 7,225,870,050 |
9/29/2025 | 31,350 | 31,700 | 30,700 | 30,900 | 198,534 | 6,177,275,775 |
9/30/2025 | 31,050 | 31,500 | 30,900 | 31,250 | 314,438 | 9,799,431,775 |
10/1/2025 | 32,150 | 32,300 | 30,700 | 31,050 | 1,676,257 | 52,497,869,250 |
10/9/2025 | 32,050 | 32,550 | 31,600 | 32,550 | 828,942 | 26,728,878,750 |
10/12/2025 | 31,300 | 32,400 | 31,100 | 32,250 | 661,158 | 21,021,426,050 |
시장 | 시가총액 | 기업순위 | 주식수 | 외국인 비중 | 산업군 | 세부 산업군 | 52주 최고 | 52주 최저 |
---|---|---|---|---|---|---|---|---|
kosdaq | 14,558억 | 48위 | 47,268,321 | 17.41% | 하드웨어/IT장비 | 반도체/반도체장비 | 43,400 | 25,850 |
주성엔지니어링은 1995년 4월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신재생에너지, LED, OLED 제조장비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반도체 장비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차별화된 ALD 기술을 기반으로 메모리뿐 아니라 비메모리의 다양한 Application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반도체 양산 장비를 지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의 확산으로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가 근본부터 바뀌고 있는데 한국 반도체 산업은 여전히 과거 '추격형 성장 모델'에 머물러 있는 게 우리의 현실입니다." 지난 1일 ..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3500포인트를 돌파하는 등 증시가 ‘랠리’를 이어가는 가운데, 지난달 말 국내 주식부호 상위 100인의 보유주식 가치도 6조원 넘게 증가했다. 반도체 업황이 호조를 보이면서 관련주...
[IT동아 한만혁 기자] 바야흐로 스타트업 시대입니다. 2010년부터 불어온 국내 스타트업 열풍은 꾸준히 거세졌고, 대한민국은 어느새 유니콘 기업 11개를 배출한 세계 5위 스타트업 강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쿠팡, 우아한형제들, 야놀자, 블루홀 등 경쟁력을 갖춘 스타트업이 우리 실생활 속으로 파고들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성공을 꿈꾸는 수많은 스타트업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에 IT동아가 이러한 국내 스타트업의 현장을 [주간투자동향]으로 정리해 제공합니다. 리벨리온, 340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이 약 340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라운드에는 영국 반도체 설계 IP 기업 Arm, 삼성벤처투자·삼성증권, 대만 페가트론 벤처캐피탈, 인터베스트, 본엔젤스, 포스코기술투자, 주성엔지니어링, HL디앤아이한라(HL그룹), 비전에쿼티파트너스, 산은캐피탈,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라이온엑스벤처스 등이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다. 한국산업은행, SV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벤처투자·미래에셋캐피탈, KB인베스트먼트, 프랑스 코렐리아캐피탈, 노앤파트너스·KB증권, KT인베스트먼트, SDB인베스트먼트, 카카오벤처스, IMM인베스트먼트, 서울대기술지주 등 기존 투자자도 후속 투자에 참여했다. 리벨리온은 누적 투자금 6400억 원, 기업가치 1조 9000억 원을 달성했다. 리벨리온이 340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리벨리온 리벨리온은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주력 제품 ‘리벨쿼드(REBEL-Quad)’ 양산 준비 ▲후속 제품 ‘리벨아이오(REBEL-IO)’ 등 신규 라인업 개발 ▲일본,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미국, 유럽으로 사업 확장 ▲국내외 핵심 인력 채용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피지컬 AI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함께하는 파트너로서 역할을 다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성과를 만들 계획이다. 리벨리온 신성규 CFO는 “K-스타트업의 잠재력과 대한민국 AI 반도체의 역량을 믿어준 투자자에게 감사한다”라며 “이번 투자 라운드는 한국 자본시장이 글로벌 수준의 AI 반도체 기업을 키워낼 저력을 갖추고 있음을 증명한 사례”라고 전했다. 또한 “리벨리온은 이번 투자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확실한 성과를 만들어가겠다”라고 밝혔다. 라피끄, 15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화장품 연구개발 스타트업 라피끄가 15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라운드는 코오롱인베스트먼트가 주도하고, 하나벤처스, 원익투자파트너스, 유비쿼스인베스트먼트, IBK벤처투자가 참여했다. 라피끄의 누적 투자금은 207억 원이다. 라피끄 플렌티플랜트 브루버드라인 / 출처=라피끄 라피끄는 식물 소재 원료화 기술을 기반으로 화장품 연구개발 및 생산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뷰티테크 기업이다. 지난 2017년 설립 이후 식물체 연화 기술, 연화 식물체 생물 전환 기술, 업사이클링 뷰티 기술, 업사이클 엑소좀 등 기술을 축적하며 제조자 개발 생산(ODM), 지역 특화 화장품 개발, 자체 브랜드 ‘플렌티 플랜트’ 전개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했다. 최근에는 K-뷰티 인디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82억 원으로, 지난해 연간 실적을 돌파했다. 라피끄는 이번 투자금으로 충남 천안시에 연면적 약 1만 1636㎡(3520평) 규모 우수 화장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CGMP) 신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충진과 포장 라인까지 갖춘 신공장 구축을 통해 제품 기획부터 연구개발, 완제품 생산까지 일원화된 원스톱 생산 체계를 완성하고, 확대된 생산 역량과 글로벌 인증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자 한다. 하나벤처스는 “성실한 연구개발에 따른 기술력으로 수주 및 매출액이 성장한 점, 향후 K-뷰티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점 등을 고려해 후속 투자에 참여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조홍수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이사는 “라피끄는 원소재의 특성을 시각적, 효능적으로 극대화하는 다양한 제형 기술을 바탕으로, K-뷰티의 지속 성장과 추가 도약을 이끌만한 제품 개발 및 공급을 통해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라피끄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결합한 글로벌 K-뷰티 대표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라고 포부를 전했다. 앳, 10억 원 규모 프리 시드 투자 유치 AI 미팅 솔루션 기업 앳이 10억 원 규모 프리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더벤처스의 초기 투자에 이어 미국 실리콘밸리 액셀러레이터 와이콤비네이터(YC) 2025년 가을 배치에 선정되며 투자 라운드를 완료했다. 앳이 10억 원 규모 프리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더벤처스 앳은 글로벌 기업을 위한 AI 미팅 노트테이커 ‘캐럿(Caret)’과 세일즈 AI 미팅 어시스턴트 ‘어사이드(Aside)’를 운영한다. 캐럿은 음성 인식부터 워크플로우 자동화까지 통합한 AI 미팅 도구다. 별도 설치 없이 실시간 기록, 번역, 요약 서비스를 제공하며, 온오프라인 회의와 녹음 파일을 모두 처리한다. 캐럿은 아마존, 도요타, 일레븐랩스, JP모건 등이 사용한다. 어사이드는 과거 통화 기록과 성공 패턴을 학습해 영업 현장에서 전문적인 조언을 실시간으로 제안한다. 허브스팟, 슬랙을 연동해 고객 대화 기록, 계약 조건 등을 즉시 파악하며, 개인 화면에만 작동해 보안을 강화했다. 앳은 이번 투자금으로 ▲미국 시장 특화 신제품 개발 ▲북미 엔터프라이즈 고객 확보 ▲AI 기반 협업 도구 고도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김효준 앳 대표는 “더벤처스의 초기 지원으로 탄탄한 기반을 마련했고, 이를 바탕으로 YC 2025년 가을 배치에도 선정됐다”라며 “한국의 제품 시장 적합성(PMF)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서 새로운 접근법으로 도전해 글로벌 협업 도구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말했다. 마케마케, 시드 투자 유치 화학 기술력 기반의 뷰티테크 스타트업 마케마케가 블루포인트파트너스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염소 제거 수영장 샴푸 마케마켓 SOOO / 출처=블루포인트파트너스 마케마케는 자체 염소 제거 기술 ‘제오듀얼라이트(Zeodualite)’를 활용한 수영장 전용 샴푸 ‘SOOO’를 개발 및 판매한다. SOOO는 기존 수영 샴푸 대비 96~98% 높은 염소 제거 효능으로 론칭 10개월 만에 월 매출이 20배 성장했다. 마케마케는 국내 5성급 호텔과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더현대서울 팝업스토어 완판, 올리브영 및 아마존 입점 등 국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마케마케는 이번 투자금으로 ▲연구개발 강화 및 임상, 인증 확보 ▲프리미엄 라인업 확대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향후 애슬레저, 웰니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영향력을 넓히고자 한다. 안휘재 블루포인트 수석심사역은 “마케마케는 제품의 기술적 완성도와 브랜드 경험을 관통하는 감각적 스토리텔링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팀”이라며 “K-뷰티의 니치 전략을 글로벌 스케일업 공식에 안착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곽효섭 마케마케 대표는 “단순히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통해 일상의 불편함을 제거하고 세상을 더 건강하고 안전하게 만들겠다”라며 “글로벌 K-뷰티 영역에서 성장의 기준을 새롭게 써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디에프알엔, 시드 투자 유치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솔루션을 개발하는 디에프알엔이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디에프알엔이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 출처=디에프알엔 디에프알엔은 효소 기반 생물학적 재활용 기술을 AI 단백질 설계 모델, 데이터 기반 연구와 결합해 기존 생화학적 재활용 공정의 한계를 넘는 고효율, 저비용 방식 자원화 솔루션 ‘써클로(Circlo)’를 개발한다. 현재 디에프알엔은 산업용 작업복 렌탈 전문 기업 린드스트롬 코리아와 폐기 작업복 순환을 위한 기술 검증(PoC)을 진행하며 사업화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디에프알엔은 연말까지 폐의류 자원화 설비 고도화를 마치고, AI 기반 효소 연구 개발을 통한 공정 효율성 향상에 나설 계획이다. 오는 2028년에는 생물학적 재활용 대규모 상업화 설비를 구축해 연간 3만 톤 이상의 폐의류 재활용 역량을 확보하고, 2029년까지 글로벌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한다.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관계자는 “디에프알엔은 기존 재활용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패션 및 섬유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라며 “앞으로 ESG와 친환경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김한국 디에프알엔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폐의류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실현에 앞장서겠다”라며 “독창적인 효소 기반 재활용 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친환경 소재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딥다이버스, 시드 투자 유치 중견·대기업을 위한 커스텀 영업 고객 관계 관리(CRM) 솔루션 개발사 딥다이버스가 매쉬업벤처스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딥다이버스 트래킷 / 출처=매쉬업벤처스 딥다이버스는 중견·대기업의 복잡한 영업 환경에 특화된 고객 관리 시스템 ‘트래킷(Trackit)’을 개발했다. 트래킷은 이메일, 캘린더, 주소록, 명함 등 여러 곳에 흩어진 고객 데이터를 손쉽게 통합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개발자 없이도 회사 고유 업무 구조에 따라 시스템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딥다이버스는 지난해 제품 개발과 베타 서비스를 통해 사용성과 안정성을 검증한 후 올해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출시 3개월 만에 SK매직, KT M&S 등 대기업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유의미한 매출을 만들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승국 매쉬업벤처스 파트너는 “딥다이버스는 기술 전문성과 강력한 팀워크를 기반으로 시장의 유효성을 증명한 팀”이라며 “실제 경험 기반의 문제의식과 유연한 개발 전략으로 빠른 시간 안에 국내 기업 CRM 솔루션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성기봉 딥다이버스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 이후 기존 고객사의 사용성 및 만족도 향상에 집중하면서 신규 고객사 확장에도 힘쓸 계획”이라며 “제품팀 인력을 확충해 안정적인 제품 개발 기반을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리벨리온, 시리즈C서 3400억 유치 창업 5년만에 기업가치 약 2조 달성 페가트론·주성엔지니어링 등도 투자리벨리온이 최근 340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마무리하며, 누적 ..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주식시장에서 반도체주에 주목해야 한다는 증권가 의견이 나왔다.
날짜 | 매출액 | 매출액 증가율 | 영업이익 | 영업이익 증가율 | 순이익 | 순이익 증가율 |
---|---|---|---|---|---|---|
2024.4Q | 409,393,371,588 | 43.78% | 97,196,211,588 | 235.88% | 106,814,110,967 | 214.15% |
2023.4Q | 284,745,246,660 | -34.98% | 28,937,462,812 | -76.64% | 34,000,802,285 | -67.98% |
2022.4Q | 437,938,720,000 | 16.07% | 123,884,000,000 | 20.73% | 106,171,290,000 | -27.03% |
2021.4Q | 377,294,620,000 | 218.27% | 102,611,060,000 | 509.90% | 145,503,490,000 | 1870.61% |
개인: 274,785
기관: 4,559
외인: -295,632
개인: 1,606,506
기관: -1,807,504
외인: 158,028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2025-10-14 | 274,785 | 4,559 | -295,632 |
2025-10-13 | 9,021 | 78,682 | -90,080 |
2025-10-10 | -198,599 | 75,716 | 127,259 |
2025-10-02 | 593,549 | -893,448 | 306,103 |
2025-10-01 | -19,264 | -8,569 | 18,688 |
2025-09-30 | 8,128 | 193 | -566 |
2025-09-29 | -74,726 | 50,425 | 24,904 |
2025-09-26 | -31,305 | -25,598 | 55,787 |
2025-09-25 | 29,563 | 62,245 | -92,172 |
2025-09-24 | -180,552 | 102,763 | 77,780 |
2025-09-23 | 18,788 | 29,317 | -55,896 |
2025-09-22 | 128,889 | 33,045 | -162,212 |
2025-09-19 | -92,174 | 214,818 | -121,284 |
2025-09-18 | -113,908 | 103,401 | 13,276 |
2025-09-17 | 25,290 | 21,700 | -47,781 |
2025-09-16 | -27,830 | 83,091 | -58,531 |
2025-09-15 | 13,897 | 102,999 | -119,705 |
2025-09-12 | 137,705 | -23,180 | -114,523 |
2025-09-11 | 15,910 | 85,732 | -101,471 |
2025-09-10 | -9,863 | -21,505 | 11,931 |
2025-09-09 | 39,276 | -16,014 | -26,386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2025-10-13 | 280,958 | 36,977 | -343,293 |
2025-10-10 | 271,937 | -41,705 | -253,213 |
2025-10-02 | 470,536 | -117,421 | -380,472 |
2025-10-01 | -123,013 | 776,027 | -686,575 |
2025-09-30 | -103,749 | 784,596 | -705,263 |
2025-09-29 | -111,877 | 784,403 | -704,697 |
2025-09-26 | -37,151 | 733,978 | -729,601 |
2025-09-25 | -5,846 | 759,576 | -785,388 |
2025-09-24 | -35,409 | 697,331 | -693,216 |
2025-09-23 | 145,143 | 594,568 | -770,996 |
2025-09-22 | 126,355 | 565,251 | -715,100 |
2025-09-19 | -2,534 | 532,206 | -552,888 |
2025-09-18 | 89,640 | 317,388 | -431,604 |
2025-09-17 | 203,548 | 213,987 | -444,880 |
2025-09-16 | 178,258 | 192,287 | -397,099 |
2025-09-15 | 206,088 | 109,196 | -338,568 |
2025-09-12 | 192,191 | 6,197 | -218,863 |
2025-09-11 | 54,486 | 29,377 | -104,340 |
2025-09-10 | 38,576 | -56,355 | -2,869 |
2025-09-09 | 48,439 | -34,850 | -14,800 |
2025-09-08 | 9,163 | -18,836 | 11,586 |
자산총계 | 부채비율 | 자본비율 |
---|---|---|
880,403,676,214 | 33.47% | 66.53% |
구성 요소 | 비율 |
---|---|
반도체 장비, 디스플레이 장비, 태양전지 장비 [제품] | 82.4% |
원부자재 [상품] | 17.6% |
최근 공매도 거래량: 51,183 (5.25%)
최근 공매도 잔고: 1,167,476 (2.47%)
날짜 | 종가 | 공매도량 | 공매도비중 |
---|---|---|---|
2025-10-13 | 32,250 | 51,183 | 5.25% |
2025-10-10 | 32,550 | 39,131 | 2.92% |
2025-10-02 | 31,050 | 259,310 | 11.70% |
2025-10-01 | 31,250 | 39,467 | 8.15% |
2025-09-30 | 30,900 | 10,795 | 3.19% |
2025-09-29 | 31,300 | 21,504 | 5.56% |
2025-09-26 | 30,700 | 13,735 | 1.98% |
2025-09-25 | 32,100 | 55,670 | 6.75% |
2025-09-24 | 32,500 | 43,428 | 4.12% |
2025-09-23 | 32,000 | 21,534 | 2.28% |
2025-09-22 | 32,350 | 58,134 | 6.20% |
2025-09-19 | 32,400 | 133,159 | 6.86% |
2025-09-18 | 30,950 | 80,663 | 5.81% |
2025-09-17 | 29,900 | 21,689 | 4.59% |
2025-09-16 | 30,250 | 67,673 | 9.09% |
2025-09-15 | 29,750 | 51,119 | 4.91% |
2025-09-12 | 28,650 | 84,200 | 9.10% |
2025-09-11 | 28,750 | 140,713 | 20.99% |
2025-09-10 | 28,300 | 80,982 | 18.64% |
2025-09-09 | 28,050 | 66,179 | 16.68% |
2025-09-08 | 27,800 | 26,729 | 13.74% |
날짜 | 종가 | 공매도 잔고 | 공매도 비중 |
---|---|---|---|
2025-10-02 | 31,050 | 1,167,476 | 2.47% |
2025-10-01 | 31,250 | 1,388,145 | 2.94% |
2025-09-30 | 30,900 | 1,402,543 | 2.97% |
2025-09-29 | 31,300 | 1,449,554 | 3.07% |
2025-09-26 | 30,700 | 1,484,405 | 3.14% |
2025-09-25 | 32,100 | 1,555,237 | 3.29% |
2025-09-24 | 32,500 | 1,524,448 | 3.23% |
2025-09-23 | 32,000 | 1,603,080 | 3.39% |
2025-09-22 | 32,350 | 1,574,719 | 3.33% |
2025-09-19 | 32,400 | 1,475,832 | 3.12% |
2025-09-18 | 30,950 | 1,188,485 | 2.51% |
2025-09-17 | 29,900 | 1,175,109 | 2.49% |
2025-09-16 | 30,250 | 1,143,543 | 2.42% |
2025-09-15 | 29,750 | 1,078,088 | 2.28% |
2025-09-12 | 28,650 | 995,324 | 2.11% |
2025-09-11 | 28,750 | 935,380 | 1.98% |
2025-09-10 | 28,300 | 861,469 | 1.82% |
2025-09-09 | 28,050 | 901,873 | 1.91% |
2025-09-08 | 27,800 | 930,339 | 1.97% |
2025-09-05 | 27,650 | 982,693 | 2.08% |
2025-09-04 | 27,800 | 991,660 | 2.10% |
항목 | 주성엔지니어링 | 업종 평균 | 업종 내 순위 |
---|---|---|---|
시가총액 | 15,385.838 | 62,312.56 | 16위 |
PER(최근4분기) | 17.052 | 23.23 | 58위 |
PBR | 2.539 | 11.96 | 55위 |
ROE(최근4분기) | 19.756 | -3.62 | 9위 |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0.882 | 1.08 | 28위 |
영업이익률(최근연도) | 23.742 | -6.91 | 10위 |
순이익률(최근연도) | 26.091 | -14.75 | 12위 |
부채비율(최근연도) | 74.169 | 74.14 | 51위 |
매출액(최근연도) | 4,093.934 | 26,011.73 | 25위 |
영업이익(최근연도) | 971.962 | 3,832.01 | 9위 |
당기순이익(최근연도) | 1,068.141 | 3,643.72 | 7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