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 항공기 엔진 및 부품 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나로호 발사체에 사용되는 터보 펌프를 공급하고 있으며, 위성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인 쎄트렉아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트럼프 : 방위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트럼프의 국방비 증액 및 방위산업 강화 정책의 수혜주로 부각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455,304억
6위
51,563,401
43.86%
기타
우주항공/국방
1,035,000
265,87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기업 개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7년 설립된 기업으로 엔진, 에너지 장비, 방산, 시큐리티, 산업장비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캐스, 한화디펜스, 한화정밀기계, 한화테크원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방산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항공 엔진 판매, 시큐리티 서비스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국내 엔진 군수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재계 연봉 1위에 박정원 두산 회장이 이름을 올렸다.15일 각 기업이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박 회장은 올해 상반기 163억10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박 회장은 급여 17억5000만원, 단기 성과급 56억3000만원, '양도 제한 조건부 주식(RSU)' 89억3000만원을 수령했다.박 회장이 연봉 1위에 오른 건 RSU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두산그룹은 3년 전부터 전 임원을 대상으로 RSU 제도를 도입했다.등급별로..
한국 방산의 대표주자 ‘K9 자주포’(사진)를 베트남에 공급하는 계약이 성사됐다. K9이 동남아시아에 수출되는 건 처음이다. 베트남은 세계 11번째 K9 도입 국가가 됐다.14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말 정부 간(G2G) 거래로 베트남에 K9 자주포를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5문 이상, 금액으로는 2억5000만 달러(약 35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계약은 K9 자주포의 첫 동남아시아 진출이자, 베트남에 국산 무기를 수출한 첫 사례다. 베트남에는 과거 한국이 퇴역 초계함을 무상으로 공여한 적이 있을 뿐 무기를 판매한 경우는 없었다. 공산주의 국가에 ‘K-방산’을 처음으로 수출한다는 의미도 있다. 베트남은 자본주의 경제를 수용한 뒤에도 공산당 유일 정당 체제를 유지하는 국가다.K9 자주포는 경쟁 제품인 독일의 자주포보다 저렴하면서도 성능이 뛰어나 해외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간 K9 자주포를 도입한 국가는 튀르키예 폴란드 핀란드 에스토니아 노르웨이 이집트 인도 호주 루마니아 등이다. 스프래틀리 군도(베트남명 쯔엉사 군도) 등을 놓고 중국과 영유권 분쟁 중인 베트남은 국제 방산시장에서 성능이 입증된 한국산 K9 도입에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현재 K9 자주포의 세계 자주포 시장 점유율은 절반 가량에 이른다. 폴란드 공급 물량이 원활하게 수출되면 점유율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와 계약한 K9 자주포는 2022년 1차 계약 물량 212문, 2023년 2차 계약 물량 152문이다.K9 자주포는 155㎜ 포신을 쓰며 K307포탄을 통해 사거리 약 40㎞까지 화력 지원이 가능하다. 통상 분당 6~8발 사격이 가능하고, 급속 발사시 15초 이내 포탄 3발을 쏠 수 있다. 사격 직후 60초 안에 다음 사격 모드로 전환하는 ‘신속 진지 변환’ 기능이 강점이다. 한국의 산악지형부터 사막 설원 정글 등 열악한 여건에서 기동성·생존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주요 그룹 회장들의 올해 상반기 보수가 공개됐다. 보수액은 40억 원대부터 100억 원대까지 다양했는데, 특히 두산그룹의 박정원 회장은 160여억 원을 받아 '상반기 연봉킹 회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14일 공개된 각 주요 그룹사 반기보고서를 보면, SK그룹 최태원 회장의 올해 상반기(1~6월) 보수는 47억 5천만 원이었다. SK하이닉스에서 30억 원, SK에서 17억 5천만 원을 각각 받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LG로부터 급여 23억 8천만 원, 상여 23억 3400만 원을 받아 상반기 총 보수가 47억 1400만 원이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45억 원의 보수를 받았다. 현대자동차로부터 22억 5천만 원, 기아로부터 13억 5천만 원, 현대모비스로부터 9억 원의 보수를 각각 수령했다. 두산그룹 박정원 회장은 160여억 원의 보수를 받았다. 박 회장은 급여 17억 5천만 원, 단기 성과급 56억 3천만 원,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89억여 원 포함해 총 보수액이 163억 1천만 원에 달했다. 두산그룹은 전 임원 대상으로 3년 전부터 RSU 제도를 도입했다. RSU란 일정 성과를 달성한 임직원에게 회사가 현금 대신 양도 시점을 제한해 지급하는 주식이다. 두산그룹은 박 회장 RSU 보수와 관련해 "지난 2022년 3월 이사회에서 승인받은 부여 주식수를 기준으로 체결된 RSU 계약에 따라 부여기준일로부터 가득조건(3년)을 충족해 두산 보통주 총 2만 4592주를 지급했다"며 "지급일 종가를 반영한 지급액 총 규모는 89억 2700만 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도 100억 원이 넘는 보수를 받았다. 한화에서 25억 2천만 원을 받았고, 한화솔루션 25억 2천만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5억 2천만 원, 한화비전 23억 4천만 원, 한화시스템 25억 2천만 원까지 포함해 총 124억 2천만 원을 상반기 보수로 수령했다. 김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한화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부터 각각 15억 3천만 원, 한화솔루션에서 15억 4천만 원을 받아 46억 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롯데지주 등 7곳에서 98억 8100만 원을 상반기에 수령했다. 롯데지주 26억 800만 원, 롯데쇼핑 16억 6100만 원, 롯데칠성음료 12억 5천만 원, 롯데케미칼 12억 2500만 원, 롯데웰푸드 11억 1200만 원, 호텔롯데 14억 3300만 원, 롯데물산 5억 9200만 원 등이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대한항공에서 38억 2300만 원, 한진칼에서 43억 2900만 원, 진에어에서 10억 7200만 원 받아 이를 합산한 상반기 보수액이 92억 2400만 원이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1,240,121,484,118
20.10%
1,731,878,825,342
150.59%
2,539,873,460,538
159.99%
2023.4Q
9,359,005,981,309
43.11%
691,114,682,400
83.22%
976,918,345,793
542.59%
2022.4Q
6,539,605,700,000
1.94%
377,215,120,000
-1.52%
152,027,960,000
-49.62%
2021.4Q
6,415,088,000,000
20.55%
383,046,880,000
57.02%
301,762,020,000
83.1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투자자별 매매동향
순매수량
개인: -20,870
기관: 21,367
외인: -1,314
누적 순매수량
개인: -253,919
기관: 189,719
외인: 52,712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14
-20,870
21,367
-1,314
2025-08-13
-35,428
47,295
-11,586
2025-08-12
47,347
11,561
-60,859
2025-08-11
1,928
-8,340
6,432
2025-08-08
27,848
-6,397
-23,099
2025-08-07
6,180
-15,661
9,558
2025-08-06
61,718
-6,012
-55,690
2025-08-05
-31,705
11,197
20,661
2025-08-04
-2,554
4,685
-2,456
2025-08-01
117,089
-67,282
-47,663
2025-07-31
-38,402
-31,207
66,885
2025-07-30
50,893
34,645
-86,228
2025-07-29
-75,628
25,757
50,273
2025-07-28
-20,057
25,570
-5,319
2025-07-25
-39,583
22,011
25,087
2025-07-24
-85,180
41,735
44,178
2025-07-23
4,394
-3,813
-423
2025-07-22
-27,796
32,768
-4,352
2025-07-21
-51,991
10,197
43,522
2025-07-18
-22,434
24,894
-1,681
2025-07-17
-138,304
74,201
65,298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14
-272,535
249,171
31,224
2025-08-13
-251,665
227,804
32,538
2025-08-12
-216,237
180,509
44,124
2025-08-11
-263,584
168,948
104,983
2025-08-08
-265,512
177,288
98,551
2025-08-07
-293,360
183,685
121,650
2025-08-06
-299,540
199,346
112,092
2025-08-05
-361,258
205,358
167,782
2025-08-04
-329,553
194,161
147,121
2025-08-01
-326,999
189,476
149,577
2025-07-31
-444,088
256,758
197,240
2025-07-30
-405,686
287,965
130,355
2025-07-29
-456,579
253,320
216,583
2025-07-28
-380,951
227,563
166,310
2025-07-25
-360,894
201,993
171,629
2025-07-24
-321,311
179,982
146,542
2025-07-23
-236,131
138,247
102,364
2025-07-22
-240,525
142,060
102,787
2025-07-21
-212,729
109,292
107,139
2025-07-18
-160,738
99,095
63,617
2025-07-17
-138,304
74,201
65,298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43,825,874,539,000
76.89%
23.1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방산
60.56%
항공
16.7%
CCTV, 저장장치, 모니터, 카메라 모듈 [시큐리티]
11.25%
전산시스템 설계/구축/위탁운영, IT 융합 엔지니어링 서비스, 물류 BPO [IT서비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