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 연결 대상 법인으로 아모레퍼시픽과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이니스프리, 에뛰드, 에스쁘아 등을 보유한 기업
지주사 :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지주회사로, 아모레퍼시픽, 에뛰드, 이니스프리, 퍼시픽패키지 등을 자회사로 보유
아모레퍼시픽홀딩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22,883억
151위
79,458,180
11.92%
기타
지주회사/복합기업
34,300
18,810
아모레퍼시픽홀딩스 기업 개요
아모레G는 1945년 설립된 기업으로 화장품과 생활용품 제조·판매, 지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 아모스프로페셔널, 오설록농장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화장품 매출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배당금 등 기타 수익이 뒤를 잇고 있다. 자회사를 통해 화장품 부문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이 인수한 북미 클린뷰티 브랜드 타타하퍼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서경배 아모레퍼시픽홀딩스 회장이 80주년 창립기념식에서 중장기 비전을 선포하고 있는 모습. [비즈니스포스트] 아모레퍼시픽이 코스알엑스 인수를 통해 북미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며 '해외 브랜드 성공 인수'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LG생활건강과 비교해 북미 인수합병(M&A) 성과가 뚜렷하다는 평가가 이어지며, 서경배 아모레퍼시픽홀딩스 회장의 투자 안목에 대한 신뢰도 역시 높아진 상황이다.반면 앞서 인수한 북미 클린뷰티 브랜드 '타타하퍼'는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내며 실적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서경배 회장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에 균열이 생긴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투자 성과를 두고 시선이 엇갈린다. 코스알엑스 인수를 통해 서구권에서 존재감을 키우는 데는 성공했지만, 그 외 투자에 대해서는 '빛 좋은 개살구'가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아모레퍼시픽
[인포스탁데일리=김연수 기자]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의 금산분리 완화에 관한 긍정적 발언이 20일 한국 주식시장 오전장의 주요 이슈로 부상하면서 지주사 관련 종목들이 동반 상승세를 나타냈다. 정부의 규제 정책 입장 변화를 시장이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정책 리스크에 민감한 금융 및 지주회사 업종의 투자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된다.구 부총리는 전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대규모 자본 조달이 필요한 경우 금산분리의 근본적 정신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계부처와 협의할 수 있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9일 증시에서 아모레퍼시픽 등 화장품주를 비롯해 항공, 여행주 주가가 장중 동반 강세를 기록 중이다. 중일 갈등 반사 수혜 기대감 속에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AI(인공지능) 거품론 속에 업종 순환매도 이슈로 거론된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22분 현재 아모레퍼시픽은 전일 대비 2.75% 상승한 12만7000원에 거래 중이다. 또 에이피알(+4.42%), 아모레퍼시픽홀딩스(+7.24%), 한국화장품(+4.65%), 토니모리(+3.36%), 한국콜마(+2.51%), 달바글로벌(+1.83%
'말차' 열풍이 여전히 뜨겁다. PLC(상품 생애주기)가 급격히 짧아지고 있는 최근의 추세 속에서도 말차는 반짝 인기를 넘어 꾸준히 사랑받는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다. 말차는 햇빛을 차단한 환경에서 재배한 찻잎을 증기로 쪄 말린 뒤 곱게 갈아 물이나 우유에 타 마시는 가루차로, 일반 녹차보다 짙은 녹색을 띠고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말차는 최근 미국, 유럽, 중동 등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국내증시코스피 지수는 0.55% 상승한 4026.45에 마감했다.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조7001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8840억, 8311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아모레퍼시픽홀딩스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4,259,886,701,995
5.93%
249,277,525,878
64.00%
652,873,028,811
178.16%
2023.4Q
4,021,343,038,942
-10.54%
152,001,477,210
-44.10%
234,714,547,925
57.29%
2022.4Q
4,494,957,000,000
-15.60%
271,900,700,000
-23.66%
149,222,410,000
-48.89%
2021.4Q
5,326,080,000,000
8.03%
356,171,300,000
136.41%
291,978,840,000
1224.31%
아모레퍼시픽홀딩스 투자자별 매매동향
순매수량
개인: 8,830
기관: 6,491
외인: -15,509
누적 순매수량
개인: -191,287
기관: -337,602
외인: 547,066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6
8,830
6,491
-15,509
2025-11-25
-12,995
12,126
2,606
2025-11-24
-23,204
21,459
3,638
2025-11-21
-21,710
64,104
-43,780
2025-11-20
-123,525
97,173
16,926
2025-11-19
-148,606
139,002
9,619
2025-11-18
-32,323
16,235
17,318
2025-11-17
-816
-5,212
7,685
2025-11-14
-19,927
70
19,309
2025-11-13
-29,185
9,575
22,071
2025-11-12
-19,835
5,820
15,008
2025-11-11
-1,270
442
2,510
2025-11-10
-51,932
84,769
-26,146
2025-11-07
-72,926
40,965
32,817
2025-11-06
-12,498
1,758
13,414
2025-11-05
19,904
-2,398
-17,394
2025-11-04
-15,629
-5,444
20,880
2025-11-03
-4,889
-4,199
8,246
2025-10-31
25,686
6,941
-32,763
2025-10-30
18,378
-15,975
-2,948
2025-10-29
5,271
-37,122
31,471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5
-516,190
420,652
101,395
2025-11-24
-503,195
408,526
98,789
2025-11-21
-479,991
387,067
95,151
2025-11-20
-458,281
322,963
138,931
2025-11-19
-334,756
225,790
122,005
2025-11-18
-186,150
86,788
112,386
2025-11-17
-153,827
70,553
95,068
2025-11-14
-153,011
75,765
87,383
2025-11-13
-133,084
75,695
68,074
2025-11-12
-103,899
66,120
46,003
2025-11-11
-84,064
60,300
30,995
2025-11-10
-82,794
59,858
28,485
2025-11-07
-30,862
-24,911
54,631
2025-11-06
42,064
-65,876
21,814
2025-11-05
54,562
-67,634
8,400
2025-11-04
34,658
-65,236
25,794
2025-11-03
50,287
-59,792
4,914
2025-10-31
55,176
-55,593
-3,332
2025-10-30
29,490
-62,534
29,431
2025-10-29
11,112
-46,559
32,379
2025-10-28
5,841
-9,437
908
아모레퍼시픽홀딩스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8,535,843,634,288
16.23%
83.77%
아모레퍼시픽홀딩스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화장품사업부문
89%
개인용 생활용품 (모발,구강,바디케어제품), 미쟝센, 해피바스, 려, 메디안 등 [DB(DailyBeauty)사업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