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 기업 ‘30개 벽’ 무너져
부산지역 기업의 기반이 더 약해졌다. 2024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에서 부산 본사 기업이 28곳까지 줄었다. HD현대마린솔루션과 극동건설의 수도권 이전, 와이케이스틸의 매출 감소 탈락이 겹치며 ‘30개 마지노선’마저 지키지 못했다. 전국 상위 100대 기업에는 5년째 단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부산상공회의소가 18일 신용평가사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1000대 기업 중 부산 본사 기업은 전년도 31곳에서 3곳 줄어 28곳으로 집계됐다.부산기업 전체 매출은 36조21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은 5.0% 늘었다. 수도권·대기업 성장 속에서 부산지역 기업은 역성장한 셈이다.부산지역 매출 1위는 부산은행이 차지했으나 기준금리 인하와 경기 부진으로 매출이 5.8% 줄며 전국 순위가 119위로 8계단 떨어졌다. 르노코리아는 신차 효과와 수출 증가로 전국 순위가 139위까지 17계단 올랐지만, 상위권 복귀에는 실패했다.10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부산의 기업당 매출 증가율은 8.4%로 전국 평균(5.1%)을 웃돌았다. 에스엠상선은 해운 운임 강세로 매출이 94% 늘며 전국 순위가 256계단 뛰었고, 글로벌 스포츠웨어 수요가 늘어난 화승인더스트리는 매출이 36.8% 증가해 136계단 상승했다. BNK투자증권, 아이엠라이프생명보험, 인터지스, 에어부산 등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반면 동원개발은 건설경기 침체로 매출이 줄며 전국 순위가 285계단 급락했고, 대한제강과 SNT모티브, 아이엠증권 등도 매출과 이익이 동시에 줄며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전국 1000대 기업 중 수도권 기업 비중은 75%에 달한다. 부산을 포함한 경상권은 14.1%에 그쳐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부산상의 관계자는 “해양 공공기관 이전과 더불어 역외 기업 유치와 기존 기업 이탈 방지 정책이 병행돼야 부산경제의 기반을 다시 세울 수 있다”고 제안했다.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