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지주 로고

하나금융지주 (086790) 주가 및 종목 정보

하나금융지주 실시간 주가

하나금융지주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91,000 원
변동량 ▼ 2100.00 원
변동률 -2.26%
거래량 717,903
거래대금 65,692,248,850 원

하나금융지주 일별 주가

하나금융지주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4/2025 88,900 88,900 85,700 86,900 1,082,329 93,909,233,950
11/5/2025 88,000 93,800 87,800 93,000 1,931,311 176,528,373,550
11/6/2025 94,700 94,700 90,800 92,000 1,501,020 138,597,940,100
11/9/2025 95,500 101,100 93,900 96,200 1,623,317 157,703,609,200
11/10/2025 94,800 96,600 92,600 92,900 1,248,709 117,025,532,500
11/11/2025 92,900 96,800 92,700 96,400 1,047,647 100,213,951,900
11/12/2025 95,700 98,200 95,400 96,200 1,167,595 112,689,442,600
11/13/2025 95,500 96,100 94,200 94,400 556,183 52,903,549,700
11/16/2025 93,500 94,300 92,500 93,100 649,343 60,503,352,100
11/17/2025 92,500 93,200 91,000 91,000 717,903 65,692,248,850

관련 테마

  • 금리인상 : 하나금융 그룹의 지주 회사이며 KEB하나은행, 하나은행(중국) 유한공사 등 자회사로 보유 중인 기업으로 금리 인상에 은행 관련 업종은 직접적인 수혜를 받으므로 관련주로 편입됨
  • 은행 : 하나 금융 그룹 지주 회사로서 자회사 지배 및 경영 관리, 자금 공여 등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글로벌 통합 디지털 자산 플랫폼 GLN 컨소시엄을 구축하여 아시아 여러 국가로 제휴를 확대하고 있음
  • 지주사 : 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하나카드, 하나생명보험 등을 자회사로 보유한 하나금융그룹의 금융지주회사
  • 고배당 : 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하나카드, 더케이손해보험 등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는 금융지주회사
  • 토스 : 하나금융그룹 지주회사로 자회사 하나은행을 통해 토스 지분을 7.5% 보유하고 있음
  • STO : 하나증권이 조각투자 플랫폼 ‘루센트블록’에 투자 및 STO 관련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음

하나금융지주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253,276억 25위 278,325,814 67.76% 금융 은행 101,100 51,500

하나금융지주 기업 개요

하나금융지주는 2005년 12월 설립된 기업으로 지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하나카드, 하나캐피탈 등과 다수의 종속사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유가증권평가 및 처분이익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하나금융그룹의 경영전략 수립과 종속기업에 대한 경영관리 및 자금지원 등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최신 하나금융지주 관련 뉴스

한국 정부와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 간 손해 배상금을 둘러싼 수조원대 국제소송이 13년 만에 한국 정부의 완전한 승리로 마무리됐다. 기존 판정을 뒤집고 ‘배상금 0원’이라는 결론을 끌어낸 배경엔 정부가 소송 과정에서 불거진 절차 위반 문제를 파고든 점이 유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한국 정부와 론스타간 소송은 론스타가 2012년 11월 국제투자분쟁 절차에 따라 한국 정부가 46억7950만 달러(약 6조8634억원)를 배상토록 중재해달라는 국제투자분쟁(ISDS) 소송을 국제투자분쟁해결기구(ICSID)에 제기하며 시작됐다.앞서 론스타는 2003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경영난에 빠진 외환은행 지분 51%를 1조3834억원에 사들인 뒤 2012년 하나금융지주에 3조9157억원에 매각했다. 론스타는 2조5000억여원에달하는 차익을 남겼지만, 매각 과정에서 한국정부의 개입으로 손해를 봤다며 배상을 요구하는 국제중재 소송을 제기했다. 당초 론스타는 HSBC에 외환은행을 매각하려 했으나 정부가 심사를 늦추면서 제값에 외환은행을 팔지 못했다는 이유였다.그렇게 시작된 소송의 첫번째 결과는 10년이 지난 2022년 8월에 나왔다. ICSID 중재판정부는 론스타 측의 주장을 일부 인정해 손해배상 청구액의 4.6%인 2억1650만달러(약 2815억원)를 배상해야 한다고 판정했다. 그해 10월 정부는 배상원금이 과다하게 산정됐고, 이자가 중복 계산됐다며 이의를 제기했고, 중재판정부는 2023년 5월 이를 받아들였다. 이로 인해 배상금은 2억1601만달러(약 2808억원)로 조정됐다. 정부가 배상해야 할 액수는 7억여원 줄었다.그러나 론스타와 정부 모두 판정에 불복하며 소송은 이어졌다. 2023년 7월 론스타가, 그로부터 두 달 뒤인 9월엔 정부가 중재판정부 판정에 불복해 취소 신청을 제기했다. 론스타 측은 배상금이 충분하지 않다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정부는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 협약상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법리상 문제점을 발견했다”며 배상액 지급과 관련한 문제를 원점에서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날 ICSID가 2년 간 숙고 끝에 한국 정부 완승에 손을 들어준 배경엔 정부가 중재판정부의 절차 위반 문제를 파고든 전략이 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한국 정부가 당사자로 참여하지 않은 ‘하나금융지주와 론스타 간 국제상업회의소(ICC) 상사 중재 판정문’을 이번 취소 소송 과정에서 중재판정부가 주요 증거로 채택하고 한국 정부의 변론권, 반대 신문권 등을 박탈해 적법 절차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정홍식 법무부 국제법무국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중재 절차 과정에서 적법 절차 위반이 상당히 중대하게 발생했다는 점이 한국 정부의 취소 신청을 받아들인 결정적인 계기”라며 “올해 1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취소 절차 구술심리에서도 취소위원들이 관련 질문을 많이 했다”고 설명했다.신지호 기자 pss@kmib.co.kr

정부가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와 13년간 이어진 국제소송전에서 완승했다. 배상금과 이자 등 약 4000억원을 론스타에 지급해야 할 의무가 완전히 사라졌다. 중재 절차 과정에서 적법 절차 위반이 상당히 중대하게 발생했다는 점이 결정적 계기가 됐다. 법조계는 전문가들도 예상하지 못한, 국제적으로 흔치 않은 승리라고 평가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18일 긴급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오후 3시22분쯤 미국 워싱턴DC 소재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의 론스타 투자자-국가 간 분쟁 해결 제도(ISDS) 취소위원회로부터 ‘대한민국 승소’ 결정을 받았다”고 밝혔다.적법 절차 위반 등 우리 정부가 제기한 문제가 주효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요 쟁점에서 정부가 모두 승리한 셈이다. 론스타는 우리 정부가 최소 절차에 들인 소송 비용 73억원도 30일 내에 지급해야 한다. 김 총리는 “법무부를 중심으로 정부 관련 부처가 적극적으로 소송에 대응한 결과”라며 “국가 재정과 국민 세금을 지켜낸 중대한 성과이며 대한민국의 금융감독 주권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강조했다.정홍식 법무부 국제법무국장은 “중재 절차는 단심제여서 중재법상 아주 소수의 취소 근거만을 제공하고 있다”며 “취소 신청의 근거로 중재판정부의 권한을 유월(월권)했다는 부분과 중대한 적법 절차 위반, 판정의 근거를 제대로 설시하지 않았다는 세 가지 근거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취소위원회는 3인의 국제 중재분야의 저명한 취소위원들로 구성돼있다”며 “2023년 신청을 제기한 뒤 지난 1월 영국 런던에서 3일간 구술심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취소위원들이 적법 절차 위반에 대해 상당히 많은 질문을 한 게 사실이고, 긍정적인 느낌을 받은 바 있다”고 덧붙였다.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올해 1월은 대통령과 법무부 장관이 부재하고 법무부도 굉장히 어렵고 혼란스러웠던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흔들림 없이, 일사분란하게 잘 대응해서 최종 구술 변론을 통해 중재 재판관들을 잘 설득했다”고 강조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해 정부의 위법행위가 전혀 없었음에도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던 기존 중재판정의 오류가 바로 잡혔다”며 “환영의 뜻을 밝힌다”고 말했다.론스타는 1997년 IMF 외환위기로 경영난을 겪던 외환은행 지분 51.02%를 2003년 8월 1조3834억원에 인수했다. 이후 2007년 홍콩상하이은행(HSBC)과 5조9000억원가량의 매각 계약을 체결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와 한국 정부의 승인 지연으로 딜이 무산됐다. 론스타는 2012년 외환은행을 하나금융지주에 3조9157억원에 넘긴 뒤 그해 12월 정부 개입으로 비싼 값에 팔 기회를 잃었다며 정부를 상대로 ICSID 중재재판소에 ISDS를 제기했다.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

우리 정부가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해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에 수천억원을 배상해야 한다는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절차(ISDS) 중재판정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 신청 사건에서 승소했다. 정부는 그간 중재판정 취소 절차에서 지출한 소송 비용도 환수받게 됐다. 론스타가 약 6조9000억원의 배상금을 요구하며 13년간 이어진 사건이 끝내 대한민국의 승소로 결정난 데 대

정부가 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와의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한 국제투자분쟁(ISDS) 중재판정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 신청 사건에서 승소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8일 정부종합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정부는 오늘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 취소위원회로부터 '대한민국 승소' 결정을 선고받았다"고 밝혔다. 취소위원회는 2022년 8월

우리나라 정부가 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와 외환은행 매각 관련해 싸워온 국제투자분쟁(ISDS) 중재 판정 취소 사건에서 승소 판정을 받았다. 론스타 분쟁이 시작된 지 13년 만에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이번 판결로 배상금 원금과 이자 지급 의무가 소멸하면서 우리 정부는 약 4000억원 규모의 배상 책임을 벗었다. 4000억원 규모 배상 책임 벗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오늘 오후

하나금융지주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2,449,309,000,000 1.75% 4,855,182,000,000 3.45% 3,768,529,000,000 8.65%
2023.4Q 12,234,617,000,000 - 4,693,407,000,000 - 3,468,356,000,000 -
2022.4Q 11,474,859,000,000 13.20% 10,288,061,000,000 7.13% 3,621,194,000,000 1.11%
2021.4Q 10,136,871,000,000 6.31% 9,603,653,000,000 10.85% 3,581,582,000,000 33.40%

순매수량

개인: -39,008

기관: -46,706

외인: 86,303

누적 순매수량

개인: 123,463

기관: 2,437,908

외인: -2,554,574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8 -39,008 -46,706 86,303
2025-11-17 47,525 108,828 -154,176
2025-11-14 -95 54,825 -55,370
2025-11-13 -62,013 -91,505 155,499
2025-11-12 -186,986 68,130 121,534
2025-11-11 342,957 -255,681 -82,744
2025-11-10 -185,684 377,925 -197,325
2025-11-07 -9,466 351,436 -330,651
2025-11-06 -761,296 197,033 569,067
2025-11-05 39,462 46,258 -81,378
2025-11-04 -283,908 21,993 261,449
2025-11-03 87,924 2,091 -85,900
2025-10-31 119,177 84,174 -212,408
2025-10-30 -56,954 133,246 -76,284
2025-10-29 637,071 47,005 -689,231
2025-10-28 109,161 3,860 -115,360
2025-10-27 184,019 -112,506 -72,160
2025-10-24 -5,413 -6,520 13,621
2025-10-23 62,248 41,987 -101,480
2025-10-22 1,683 135,266 -136,412
2025-10-21 4,974 79,631 -84,941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8 45,378 1,240,770 -1,268,347
2025-11-17 84,386 1,287,476 -1,354,650
2025-11-14 36,861 1,178,648 -1,200,474
2025-11-13 36,956 1,123,823 -1,145,104
2025-11-12 98,969 1,215,328 -1,300,603
2025-11-11 285,955 1,147,198 -1,422,137
2025-11-10 -57,002 1,402,879 -1,339,393
2025-11-07 128,682 1,024,954 -1,142,068
2025-11-06 138,148 673,518 -811,417
2025-11-05 899,444 476,485 -1,380,484
2025-11-04 859,982 430,227 -1,299,106
2025-11-03 1,143,890 408,234 -1,560,555
2025-10-31 1,055,966 406,143 -1,474,655
2025-10-30 936,789 321,969 -1,262,247
2025-10-29 993,743 188,723 -1,185,963
2025-10-28 356,672 141,718 -496,732
2025-10-27 247,511 137,858 -381,372
2025-10-24 63,492 250,364 -309,212
2025-10-23 68,905 256,884 -322,833
2025-10-22 6,657 214,897 -221,353
2025-10-21 4,974 79,631 -84,941

하나금융지주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659,077,690,000,000 93.17% 6.83%

하나금융지주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유가증권평가및처분이익 57.78%
이자수익 22.76%
외환거래이익 10.24%
수수료수익 4.76%
기타 4.46%

하나금융지주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19,587 (14.73%)

최근 공매도 잔고: 502,566 (0.18%)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18 91,000 119,587 14.73%
2025-11-17 93,100 79,177 11.13%
2025-11-14 94,400 86,064 13.46%
2025-11-13 96,200 168,211 13.11%
2025-11-12 96,400 55,683 4.49%
2025-11-11 92,900 96,613 6.53%
2025-11-10 96,200 82,637 4.03%
2025-11-07 92,000 147,766 8.37%
2025-11-06 93,000 82,865 3.34%
2025-11-05 86,900 81,967 6.47%
2025-11-04 87,900 84,713 5.71%
2025-11-03 85,600 175,118 14.26%
2025-10-31 85,500 75,089 5.66%
2025-10-30 85,900 115,677 7.15%
2025-10-29 85,800 148,736 7.79%
2025-10-28 87,900 106,432 10.45%
2025-10-27 87,800 94,884 6.97%
2025-10-24 88,000 28,428 2.82%
2025-10-23 87,700 101,283 14.02%
2025-10-22 88,600 100,311 18.99%
2025-10-21 88,300 54,094 7.05%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14 94,400 502,566 0.18%
2025-11-13 96,200 500,632 0.18%
2025-11-12 96,400 466,009 0.17%
2025-11-11 92,900 469,865 0.17%
2025-11-10 96,200 469,384 0.17%
2025-11-07 92,000 470,763 0.17%
2025-11-06 93,000 470,204 0.17%
2025-11-05 86,900 478,704 0.17%
2025-11-04 87,900 479,195 0.17%
2025-11-03 85,600 524,222 0.19%
2025-10-31 85,500 562,240 0.20%
2025-10-30 85,900 561,350 0.20%
2025-10-29 85,800 559,381 0.20%
2025-10-28 87,900 566,871 0.20%
2025-10-27 87,800 674,862 0.24%
2025-10-24 88,000 677,625 0.24%
2025-10-23 87,700 679,055 0.24%
2025-10-22 88,600 688,434 0.25%
2025-10-21 88,300 695,532 0.25%
2025-10-20 88,400 712,284 0.26%
2025-10-17 86,100 713,577 0.26%

하나금융지주 업종 내 비교

은행 업종(11개) 연간 기준

항목 하나금융지주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259,121.333 155,206.21 3위
PER(최근4분기) 6.751 11.59 9위
PBR 0.591 0.67 6위
ROE(최근4분기) 9.114 7.11 3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933 3.33 8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39 39.75 7위
순이익률(최근연도) 30.271 30.2 6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363.728 1,129.67 3위
매출액(최근연도) 124,493.09 63,237.05 3위
영업이익(최근연도) 48,551.82 27,162.7 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7,685.29 19,349.09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