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T모티브는 자동차 부품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매출은 차량부품 판매에서 대부분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오랜 파트너였던 GM으로부터 우수협력업체로 선정된 바 있으며, GM에전기차용 드라이브 유닛과 친환경 차량용 오일펌프 등을 공급하며 변화하는 자동차산업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부산지역 기업의 기반이 더 약해졌다. 2024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에서 부산 본사 기업이 28곳까지 줄었다. HD현대마린솔루션과 극동건설의 수도권 이전, 와이케이스틸의 매출 감소 탈락이 겹치며 ‘30개 마지노선’마저 지키지 못했다. 전국 상위 100대 기업에는 5년째 단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부산상공회의소가 18일 신용평가사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1000대 기업 중 부산 본사 기업은 전년도 31곳에서 3곳 줄어 28곳으로 집계됐다.부산기업 전체 매출은 36조21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은 5.0% 늘었다. 수도권·대기업 성장 속에서 부산지역 기업은 역성장한 셈이다.부산지역 매출 1위는 부산은행이 차지했으나 기준금리 인하와 경기 부진으로 매출이 5.8% 줄며 전국 순위가 119위로 8계단 떨어졌다. 르노코리아는 신차 효과와 수출 증가로 전국 순위가 139위까지 17계단 올랐지만, 상위권 복귀에는 실패했다.10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부산의 기업당 매출 증가율은 8.4%로 전국 평균(5.1%)을 웃돌았다. 에스엠상선은 해운 운임 강세로 매출이 94% 늘며 전국 순위가 256계단 뛰었고, 글로벌 스포츠웨어 수요가 늘어난 화승인더스트리는 매출이 36.8% 증가해 136계단 상승했다. BNK투자증권, 아이엠라이프생명보험, 인터지스, 에어부산 등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반면 동원개발은 건설경기 침체로 매출이 줄며 전국 순위가 285계단 급락했고, 대한제강과 SNT모티브, 아이엠증권 등도 매출과 이익이 동시에 줄며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전국 1000대 기업 중 수도권 기업 비중은 75%에 달한다. 부산을 포함한 경상권은 14.1%에 그쳐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부산상의 관계자는 “해양 공공기관 이전과 더불어 역외 기업 유치와 기존 기업 이탈 방지 정책이 병행돼야 부산경제의 기반을 다시 세울 수 있다”고 제안했다.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2024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에서 부산 본사 기업이 28곳까지 줄었다. HD현대마린솔루션과 극동건설의 수도권 이전, 와이케이스틸의 매출 감소 탈락이 겹치며 부산은 ‘30개 마지노선’마저 지키지 못했다. 전국 상위 100대 기업에서도 부산은 5년째 단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부산상공회의소가 18일 신용평가사(KOdata)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분석한 결과, 부산 본사 1000대 기업은 전년도 31곳에서 3곳 줄어 28곳으로 집계됐다. 본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기존 기업까지 순위가 내려앉으면서 지역 기업 기반이 더 약해졌다는 평가다.부산기업 전체 매출은 36조 21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은 5.0% 늘었다. 수도권·대기업 성장 속에서 지역 기업만 역성장한 셈이다.부산지역 매출 1위는 올해도 부산은행이 차지했으나 기준금리 인하와 경기 부진으로 매출이 5.8% 줄며 전국 순위가 119위로 8계단 떨어졌다. 르노코리아는 신차 효과와 수출 증가로 전국 순위가 139위까지 17계단 올랐지만, 상위권 복귀에는 실패했다.눈에 띄는 점은 기업 수가 줄었음에도 남은 기업들의 ‘체력’은 강화됐다는 점이다. 부산 1000대 기업의 기업당 매출 증가율은 8.4%로 전국 평균(5.1%)을 웃돌았다. 에스엠상선은 해운 운임 강세로 매출이 94% 늘며 전국 순위가 256계단 뛰었고, 글로벌 스포츠웨어 수요가 늘어난 화승인더스트리는 매출이 36.8% 증가해 136계단 상승했다. BNK투자증권, 아이엠라이프생명보험, 인터지스, 에어부산 등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반면 전통 제조업과 내수 중심 기업은 부진이 두드러졌다. 동원개발은 건설경기 침체로 매출이 줄며 전국 순위가 285계단 급락했고, 대한제강과 SNT모티브, 아이엠증권 등도 매출과 이익이 동시에 줄며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수도권 집중도는 여전히 압도적이다. 전국 1000대 기업의 75%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몰려 있고, 부산을 포함한 경상권은 14.1%에 그쳤다. 전국 100대 기업의 80% 이상도 수도권에 자리하며 지역 간 격차가 구조화되고 있다.부산상의 관계자는 “지역 주요기업의 본사 이전은 지역경제 위상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해양 공공기관 이전과 더불어 역외 기업 유치와 기존 기업 이탈 방지 정책이 병행돼야 부산경제의 기반을 다시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부산‧경남 대표 방산업체인 SNT 그룹이 계열사들의 장학사업 확대, 지역사회 공헌활동 동참 등을 통한 상생협력과 동반성장 노력을 적극 강화하기로 했다. 16일 SNT 그룹에 따르면 SNT 계열사들이 기부해 설립한 공익법인 운해장학재단은 내년부터 이공계 대학생 선발인원을 확대하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에게도 장학금을 신규 지급한다.
또한 대한민국
[부산=데일리한국 양준모 기자]SNT 계열사들이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연구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하는 등 장학사업 확대와 지역사회 공헌활동 동참 등을 통한 상생협력과 동반성장 노력을 적극 강화한다.SNT 계열사들이 기부해 설립한 공익법인 운해장학재단은 내년부터 이공계 대학생 선발인원을 확대하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학생에게도 장학금을 신규 지급한다고 13일 밝혔다.또한, 이공계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대학원생 학술연구지원사업도 새롭게 추진하고, 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생활과 교육 지원도 강화한다.운해장학재단은 2013년 최평규 SN
SNT 계열사가 기부해 설립한 운해장학재단이 내년부터 이공계 대학생 선발인원을 확대하고 신규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에게도 장학금을 지급하는 등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국가기간산업 분야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을 위한 학술연구지원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운해장학재단은 2013년 최평규 SNT 회장과 SNT다이내믹스, SNT모티브가 각각 100억원씩 출자해 300억원 규모로 설립했다. 이후 4차례의 추가 기부로 이달 기준 기본재산 900억원, 총자산 1900억원으로 확대했다. 운해장학재단은 2014년부터 매년 이공계 우수 대학생 등을 선발해 운해장학금을 지원했다. 12년 동안 지급한 장학금이 114억원에 운해장학생은 1480명에 이른다. 2026년도 운해장학생을 대폭 확대해 누적 선발인원이 2000명 이상이 될 전망이다. 대학원생 대상 학술연구지원사업 신규 추진으로 자동차산업과 방위산업, 발전설비산업 등 국가기간사업 연구 분야 지속가능 생태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