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로고

삼성중공업 (010140) 주가 및 종목 정보

삼성중공업 실시간 주가

삼성중공업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21,850 원
변동량 0.00 원
변동률 0.00%
거래량 5,048,145
거래대금 110,026,770,025 원

삼성중공업 일별 주가

삼성중공업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18/2025 21,350 21,500 21,200 21,450 3,944,709 84,228,244,975
9/21/2025 21,400 21,450 21,100 21,250 2,866,130 60,809,875,350
9/22/2025 21,150 21,450 20,950 21,300 2,662,062 56,575,160,675
9/23/2025 21,450 21,950 21,400 21,850 4,334,728 94,263,631,425
9/24/2025 22,000 22,400 21,800 21,950 4,568,312 100,986,666,100
9/25/2025 21,850 21,900 20,700 20,850 5,081,199 107,012,031,925
9/28/2025 20,850 21,400 20,650 21,350 2,284,914 48,267,343,200
9/29/2025 21,300 22,100 21,150 21,900 5,027,918 109,884,123,100
9/30/2025 22,000 22,050 21,525 21,850 3,155,674 68,771,057,575
10/1/2025 21,900 22,000 21,450 21,850 5,048,145 110,026,770,025

관련 테마

  • GTX : 동아지질, 성원건설 등이 참여한 수도권 급행철도 컨소시엄을 구성한 바 있음
  • LNG : LNG 운반선·LNG FPSO·컨테이너선을 주력으로 하는 국내 "빅3" 조선사인 기업
  • 조선 : 삼성 그룹 계열의 대형 조선 업체로서 LNG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FLNG 등 고부가 가치의 선박을 제조하는 기업
  • 해운 : 삼성 그룹 계열의 대형 조선 업체로 LNG-FPSO, FPU, 초대형컨테이너선, LNG선, 원유운반선 등의 고부가가치 선박에 특화된 대형 조선사 운영
  • 북극항로 : 2005년 세계 최초 양방향 쇄빙선을 수주하였으며, 러시아 쇄빙 LNG 운반선 15척 설계·건조 경험을 보유한 극지 선박 전문 조선사
  • 환율상승 : 조선 3사 중 하나로 달러로 수주 대금을 받지만, 100% 환헤지 전략으로 인해 다른 조선사 대비 환율 상승 수혜가 제한적인 기업이기에 환율 상승에 따른 직접적 수혜주로 부각된 바 있음
  • 엔 캐리 트레이드 :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특화된 조선업체로, 엔화 강세 시 일본 조선업체 대비 수주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기 때문에 엔 캐리 트레이드 관련주로 분류

삼성중공업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92,280억 32위 880,000,000 31.93% 건설/인프라 조선 22,800 9,330

삼성중공업 기업 개요

삼성중공업은 1974년 설립된 기업으로 해양플랜트, 선박 건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영성가야선업, CAMELLIA CONSULTING CORPORATION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조선해양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조선해양부문에서 업계를 선도하기 위한 신제품개발과 기존제품의 세계최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성능, 품질 차별화에 연구개발 역량을 주력하고 있다.

최신 삼성중공업 관련 뉴스

[IT동아 강형석 기자] 투자를 하려면 기업, 금융가 정보 등 다양한 정보에 관심을 가져야 된다. 기업이 발표한 실적과 뉴스에 대한 시장 판단이 투자 흐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기업의 주가 흐름이 좋은지 아닌지 판단하려면 시장의 상황도 면밀히 파헤쳐야 된다. [투자를IT다]는 IT동아가 다루는 주요 IT 기업의 뉴스와 시장 분석을 통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자는 취지로 마련했다. 2025년 10월 1주차, IT 산업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주요 기업 소식과 시장 흐름을 정리했다. [투자를 유도하는 게 아니며 모든 자료는 참고용으로 작성됐습니다. 모든 매매에 대한 선택과 결과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 – 2025년 2분기 실적 공개 2025년 9월 30일(이하 미국 기준), 인공지능 기반 인프라 소프트웨어 기업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Progress Software, 종목명 PRGS)가 2025년 2분기(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는 총매출 2억 498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 분기에 기록한 매출 2억 3740만 달러 대비 약 5.2% 증가한 수치다.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가 2025년 2분기(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 출처=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의 실적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부문이 이끌었다. 2025년 2분기 매출 6340만 달러로, 이전 분기의 5080만 달러에서 24.8% 급증했다. 반면, 유지보수ㆍ소프트웨어형 서비스(SaaS)ㆍ전문 서비스 부문 매출은 1억 8640만 달러로 이전 분기와 비슷했다.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는 개발자를 위한 인공지능 코딩 어시스턴트 기능을 텔레릭(Telerik) 및 켄도(Kendo)에 적용했다. 오픈엣지(OpenEdge) 사용자를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과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커넥터도 선보였다.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 측은 인공지능이 개발 생산성을 최대 3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인공지능 혁신이 미래 성장의 핵심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요게시 굽타(Yogesh Gupta)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 최고경영자는 “연간 반복 매출(ARR)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8억 49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셰어파일 인수가 분기 실적에 기여한 결과다.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응하면서 기업용 소프트웨어 부문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리졸브 AI – 2025년 2분기 실적 공개 2025년 10월 1일, 인공지능 기반 상거래 설루션 기업 리졸브 AI(Rezolve AI, 종목명 RZLV)는 2025년 상반기(회계연도 2025년 상반기) 실적을 공개했다.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리졸브 AI는 2024년 총매출 대비 33배 넘는 실적을 달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간 반복 매출(ARR) 예상치를 상향 조정하며 투자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리졸브 AI가 2025년 상반기 실적을 공개했다 / 출처=리졸브 AI 리졸브 AI의 2025년 상반기 총매출은 630만 달러(약 87억 원)다. 2024년 연간 총매출 18만 8000 달러 대비 33배 상승했다. 핵심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인 브레인 스위트(Brain Suite)의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리졸브 AI는 2025년 하반기 연간 반복 매출 목표치를 1억 달러에서 1억 5000만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2026년 연간 반복 매출 목표치는 5억 달러를 제시했다. 새로운 성장 동력도 준비한다. 리졸브 AI는 암호화폐 결제 인프라를 준비 중으로 결제 시스템 혁신을 통한 새 수익원 창출이 목표다. 신사업과 기존 사업의 성장을 바탕으로 2026년 상반기 내에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다니엘 와그너(Dainel M. Wagner) 리졸브 AI 최고경영자는 “2025년 상반기 이후, 기업 유치를 두 배 늘렸고 업계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형 서비스(SaaS) 수익률을 확보했다. 리졸브 AI는 자율 실행형 상거래 시대가 요구하는 필수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대형 파트너의 지원을 바탕으로 기술 고도화와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빅테크 중심의 인공지능 혁신 경쟁은 ‘현재진행형’ 미국 인공지능(AI) 시장은 빅테크 기업의 새로운 서비스 출시와 스타트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계속됨에 따라 성장 기대감이 높다. 2025년 9월 30일, 엔비디아는 로보틱스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아이작 그루트(GR00T) N1.6’과 시뮬레이션 도구 ‘뉴턴 물리 엔진(Newton Physics Engine)’을 공개하며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연계해 피지컬 AI 시장 영향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분야에서는 빅테크 기업들의 신기술 공세가 이어졌다. 2025년 9월 30일, 오픈AI(OpenAI)는 영상ㆍ오디오 생성 모델 소라2(Sora 2)와 소셜 미디어 앱을 공개했다. 소라2는 물리 법칙을 더 정확히 구현하고 동기화된 오디오 생성이 가능하다. 장면 일관성을 유지하는 점도 특징이다. 소셜 미디어 앱은 틱톡 스타일의 피드 구조를 가져왔지만, 콘텐츠 소비가 아닌 창작에 초점을 뒀다. 이재명 대통령(오른쪽)과 샘 올트먼 오픈AI CEO(왼쪽)가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 출처=대한민국 대통령실 2025년 10월 1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오픈AI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약은 첨단 메모리 칩 공급 확대와 한국 내 데이터센터 구축을 골자로 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월 90만 장 규모의 디램(DRAM) 웨이퍼 생산을 목표로 제조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오픈AI와 함께 스타게이트 코리아(Stargate Korea) 데이터 센터 구축을 검토할 예정이다. 삼성C&T·삼성중공업은 바다 위에 데이터 센터를 짓는 해상 부유식 데이터 센터 개발에도 나선다. 냉각 효율과 부지 확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국내외 인공지능 시장은 반도체 인프라의 견고한 성장에 소프트웨어, 서비스 혁신으로 상승세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시장의 관심사는 여전히 인공지능 장비 시장에 집중됐다. 이는 인공지능 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한 기본적인 장비 능력의 필요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인공지능 장비, 전력 관리 칩, 재생 에너지 인프라에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매듭짓지 못한 미중 반도체 분쟁과 규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를 유도하는 게 아니며 모든 자료는 참고용으로 작성됐습니다. 모든 매매에 대한 선택과 결과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데일리한국 남궁휘 기자] 탱커선 발주량이 회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조선업계 매출의 상당수는 LNG운반선에서 나오지만 탱커도 여전히 K-조선의 필수 선종이다.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HD현대는 12척, 한화오션은 12척, 삼성중공업은 6척의 탱커를 수주했다. 중형조선소인 대한조선은 지난달 전세계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발주 10척 중 8척을 수주했다.올해 하반기 들어 탱커 운임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19일 기준 VLCC(초대형원유운반선)의 일일 평균 수익은 9만4000달러로,

삼성·SK그룹이 미국 오픈AI가 추진하는 700조 원 규모의 매머드급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사업 ‘스타게이트’에 합류했다. 삼성과 SK는 ‘스타게이트’ 동맹군으로서 월 최대 웨이퍼 90만장 규모의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고, 서남권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등 다각적인 AI 협력에 착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를 포함한 국가적 차원의 AI 역량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 정부는 펀드 투자부터 금산분리 규제 완화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지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의 인공지능 기업 오픈AI와 초대형 스타게이트 동맹을 맺었습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두 회사에 매월 90만장에 달하는 HBM을 공급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특히 포항과 전남에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짓는데도 합의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산업부 홍헌표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홍 기자, 오픈AI가 우리 반도체 투톱과 협력 의향서를 체결했는데, 역시 방점은 HBM에 있다고 봐야겠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초대형 동맹을 맺었습니다. 주된 내용은 오픈AI가 AI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에 필요한 HBM을 우리 반도체 기업에 요구한 겁니다. 스타게이트는 오픈AI가 글로벌 기업들과 향후 4년간 4,000억 달러(약 700조 원) 규모의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협약(LOI)으로 삼성은 오픈AI에 HBM을 비롯해 서버용 SSD, 저전력 D램 모듈 등 고성능·저전력 메모리를 공급합니다. 또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사업 역량을 보유한 만큼 AI 학습과 추론 전 과정에 필요한 기술도 제공합니다. SK하이닉스는 오픈AI와 메모리 공급 의향

삼성중공업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9,903,077,919,464 23.64% 502,698,683,088 115.43% 53,877,228,765 134.64%
2023.4Q 8,009,429,912,108 34.73% 233,344,768,042 127.31% -155,556,375,770 75.21%
2022.4Q 5,944,667,300,000 -10.23% -854,420,950,000 34.87% -627,411,800,000 56.79%
2021.4Q 6,622,001,000,000 -3.47% -1,311,956,100,000 -24.46% -1,452,069,600,000 2.72%

순매수량

개인: -459,540

기관: -418,817

외인: 823,171

누적 순매수량

개인: -20,760,215

기관: 6,417,757

외인: 14,020,92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02 -459,540 -418,817 823,171
2025-10-01 129,668 -371,218 295,073
2025-09-30 -2,021,032 480,939 1,549,007
2025-09-29 -650,525 16,670 572,891
2025-09-26 1,991,270 -452,441 -1,550,532
2025-09-25 -766,706 395,172 378,237
2025-09-24 -1,515,695 716,041 649,771
2025-09-23 -224,228 -178,983 373,314
2025-09-22 -110,069 -312,404 430,520
2025-09-19 -56,110 -270,363 355,917
2025-09-18 44,029 37,951 73,840
2025-09-17 140,938 -22,235 -130,929
2025-09-16 908,563 -334,666 -579,896
2025-09-15 380,400 -328,124 -47,035
2025-09-12 1,656,465 -490,693 -1,194,641
2025-09-11 297,015 147,271 -472,282
2025-09-10 -1,823,683 183,971 1,613,891
2025-09-09 751,439 -77,941 -673,583
2025-09-08 173,997 68,322 -242,703
2025-09-05 -1,095,653 472,773 704,777
2025-09-04 -111,512 81,911 13,758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02 -2,360,969 -656,864 2,942,566
2025-10-01 -1,901,429 -238,047 2,119,395
2025-09-30 -2,031,097 133,171 1,824,322
2025-09-29 -10,065 -347,768 275,315
2025-09-26 640,460 -364,438 -297,576
2025-09-25 -1,350,810 88,003 1,252,956
2025-09-24 -584,104 -307,169 874,719
2025-09-23 931,591 -1,023,210 224,948
2025-09-22 1,155,819 -844,227 -148,366
2025-09-19 1,265,888 -531,823 -578,886
2025-09-18 1,321,998 -261,460 -934,803
2025-09-17 1,277,969 -299,411 -1,008,643
2025-09-16 1,137,031 -277,176 -877,714
2025-09-15 228,468 57,490 -297,818
2025-09-12 -151,932 385,614 -250,783
2025-09-11 -1,808,397 876,307 943,858
2025-09-10 -2,105,412 729,036 1,416,140
2025-09-09 -281,729 545,065 -197,751
2025-09-08 -1,033,168 623,006 475,832
2025-09-05 -1,207,165 554,684 718,535
2025-09-04 -111,512 81,911 13,758

삼성중공업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3,941,719,463,198 74.11% 25.89%

삼성중공업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초대형컨테이너선, LNG선, 원유운반선, LNG-FPSO, FPU [조선해양] 90.5%
토목, 건축, 하이테크 공사 [토건] 9.5%

삼성중공업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561,594 (7.97%)

최근 공매도 잔고: 1,096,340 (0.1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02 21,850 561,594 7.97%
2025-10-01 21,850 238,293 4.76%
2025-09-30 21,900 286,462 3.75%
2025-09-29 21,350 136,860 3.95%
2025-09-26 20,850 482,553 6.08%
2025-09-25 21,950 500,161 6.77%
2025-09-24 21,850 292,952 4.14%
2025-09-23 21,300 197,632 4.86%
2025-09-22 21,250 206,050 4.85%
2025-09-19 21,450 273,594 5.31%
2025-09-18 21,450 273,899 4.88%
2025-09-17 21,550 220,717 5.62%
2025-09-16 21,500 244,896 5.55%
2025-09-15 21,600 182,118 3.33%
2025-09-12 22,000 731,787 7.96%
2025-09-11 22,350 921,090 6.61%
2025-09-10 21,550 151,005 1.80%
2025-09-09 21,050 211,125 3.44%
2025-09-08 21,250 192,456 3.10%
2025-09-05 21,100 64,982 1.03%
2025-09-04 20,950 130,039 2.35%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9-30 21,900 1,096,340 0.12%
2025-09-29 21,350 1,087,349 0.12%
2025-09-26 20,850 1,078,496 0.12%
2025-09-25 21,950 704,889 0.08%
2025-09-24 21,850 701,892 0.08%
2025-09-23 21,300 707,718 0.08%
2025-09-22 21,250 766,437 0.09%
2025-09-19 21,450 834,715 0.09%
2025-09-18 21,450 727,705 0.08%
2025-09-17 21,550 648,766 0.07%
2025-09-16 21,500 627,454 0.07%
2025-09-15 21,600 571,669 0.06%
2025-09-12 22,000 561,679 0.06%
2025-09-11 22,350 561,679 0.06%
2025-09-10 21,550 670,580 0.08%
2025-09-09 21,050 688,705 0.08%
2025-09-08 21,250 688,705 0.08%
2025-09-05 21,100 833,941 0.09%
2025-09-04 20,950 882,767 0.10%
2025-09-03 21,050 888,577 0.10%
2025-09-02 21,050 1,044,223 0.12%

삼성중공업 업종 내 비교

조선 업종(26개) 연간 기준

항목 삼성중공업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92,280 64,049.76 4위
PER(최근4분기) 67.82 1.87 1위
PBR 5.107 4.16 9위
ROE(최근4분기) 1.766 7.55 2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5.076 5.38 19위
순이익률(최근연도) 0.544 4.16 22위
부채비율(최근연도) 358.591 172.85 3위
매출액(최근연도) 99,030.779 28,874.54 4위
영업이익(최근연도) 5,026.987 1,413.72 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538.772 1,299.83 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