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로고

삼성전자 (005930) 주가 및 종목 정보

삼성전자 실시간 주가

삼성전자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97,800 원
변동량 ▼ 2800.00 원
변동률 -2.78%
거래량 18,684,068
거래대금 1,844,179,134,100 원

삼성전자 일별 주가

삼성전자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4/2025 101,000 102,000 96,700 100,600 44,843,020 4,472,837,142,000
11/5/2025 103,700 103,800 98,800 99,200 28,655,689 2,879,395,591,412
11/6/2025 96,400 100,300 96,300 97,900 22,908,083 2,246,165,668,512
11/9/2025 98,600 101,000 97,900 100,600 23,842,327 2,378,589,265,170
11/10/2025 103,700 106,000 102,000 103,500 27,742,542 2,891,284,191,696
11/11/2025 103,000 103,900 101,600 103,100 19,413,497 1,998,502,530,464
11/12/2025 102,500 104,200 102,300 102,800 20,838,741 2,148,169,322,300
11/13/2025 99,000 99,600 97,200 97,200 21,806,342 2,147,749,334,700
11/16/2025 99,800 101,000 99,500 100,600 17,192,584 1,724,130,858,810
11/17/2025 99,800 100,900 97,500 97,800 18,684,068 1,844,179,134,100

관련 테마

  • 스마트홈 : 스마트폰으로 식재료 확인, 대형마트 연계 쇼핑이 가능하며, 냉장고를 이용해 라디오, TV 시청, 각종 정보 확인 등이 가능한 ‘패밀리 허브’ 를 출시
  • 차세대이동통신 : 5G 무선통신용 밀리미터파 무선고주파집적회로 칩 자체 개발에 성공
  • 자율주행 : 신사업으로 자율주행차 관련 사업 추진,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개발 진행 중으로 이탈리아 피아트크라이슬러 오토모티브(FCA)의 부품 계열사 마그네티 마렐리 인수를 추진 중이며 삼성벤처투자를 통해 美 델파이와 자율주행차 핵심부품 개발업체 쿼너지에 공동투자
  • VR : 가상현실 헤드셋인 ‘삼성 기어 VR’을 국내 출시
  • 무선충전 : 갤럭시 S6 모델 부터 무선 충전 기술을 탑재하여 제조
  • OLED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OLED를 적용한 갤럭시 시리즈를 출시 및 OLED TV 생산/판매 중
  • 폴더블폰 : 한국의 글로벌 전자기업으로 18년 11월 출시 예정 폴더블폰 등을 공개, 19년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 20년 상반기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을 출시함
  • 스마트폰 : IM 사업 부문(HHP, 네트워크 시스템,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 생산/판매
  • 시스템반도체 : DS 사업부문(DRAM, NAND Flash, 모바일AP, TFT-LCD, OLED 등)에서 반도체 사업을 영위. 미국 오스틴의 시스템반도체(LSI) 전용라인을 보유. 신규 시스템반도체 라인인 화성 17라인을 보유
  • 냉방 : 냉방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기업
  • NFT : 삼성전자 투자 전문회사 삼성넥스트, 미국의 NFT 거래 플랫폼 업체 "슈퍼레어(SuperRare)"가 모집한 900만 달러(약 102억원) 규모의 시리즈A 펀딩에 투자자로 참여
  • 화웨이 : 반도체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미국이 화웨이에 대한 제재가 심해지면서 수혜를 받고 있음
  • 마이크로LED : 한국의 대표 글로벌 전자기업으로 2021년 CES 본격 개막에 앞서 "퍼스트룩" 행사를 통해 마이크로 LED TV를 공개함
  • LED : 세계적 경제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DS 부문 내 Display 사업에서 LED 조명과 LED TV 등 LED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 중
  • 미니LED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OLED를 적용한 갤럭시 시리즈를 출시하였으며, 베트남 공장에 미니 LED 생산 라인을 구축 중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선두 업체인 삼성 디스플레이를 종속 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 메모리반도체 : 부품 사업(DS 부문)에서 D램, NAND Flash, 모바일 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 사업으로 구성되었음
  • D램 : 부품 사업(DS 부문)에서 D램, NAND Flash, 모바일 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 사업으로 구성되었음
  • 3D낸드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업체로 낸드 플래시 시장 점유율 1위 및 3D NAND를 탑재하는 SSD의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반도체생산 :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주력사업인 플래시메모리와 D램이 세계시장에서 확고한 1위를 차지
  • 차량용반도체 : 전기 자율차용 5나노미터 프로세서의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며, NXP·인피니언·STM 등 시스템 반도체 기업 인수 추진설이 나오고 있음
  • 제습기 : 세트 사업 부분 중 CE 부문에서 다양한 모델의 제습기를 생산 및 판매
  • 공기청정기 : CE 부문 내 생활가전 사업부를 통해 다양한 공기청정기 제품군을 생산 및 판매
  • 고령화/노인복지 : 2013년 미국 CT업체 뉴로로지카 인수 등 M&A를 통해 의료기기사업 확장 중이며 삼성메디슨과 함께 AI 기술이 적용된 영상진단기기 제품군을 공개
  • RFID/NFC : IM 사업 부문에서 NFC 기능이 장착된 스마트폰을 출시하였으며, 고성능 모바일 RFID 리더용 원칩 솔루션을 상용화
  • 통신장비 : DS 부문의 S.LSI 사업부는 모뎀과 이미지 센서, 무선 고주파 집적 회로와 같은 통신에 사용되는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함
  • 국제전자제품박람회 : CES에서 부각된 LED 디스플레이 생산과 관련된 사업을 영위
  • 온디바이스AI : 온디바이스AI를 탑재한 갤럭시 시리즈 출시, 온디바이스AI에 특화된 LLW DRAM 양산 예정
  • (e)SSD : 세계 SSD 시장 1위 업체로 SSD에 탑재되는 낸드플래시,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등을 모두 자체 개발 중인 기업
  • NPU : 자체 모바일 프로세서 엑시노스에 NPU를 내장하여 AI 기능 처리를 강화하고 있는 기업. 최신 엑시노스에는 2개 이상의 NPU 코어가 탑재되어 AI 카메라, 음성인식, 실시간 번역 등 스마트폰 기반 AI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스마트폰뿐 아니라 AIoT, 스마트가전, 웨어러블 등 전 분야로 NPU 기술을 확장 중임
  • 엔비디아 : 엔비디아에 HBM3E 12단 메모리 공급을 시작하며, AI GPU용 고성능 메모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기에 엔비디아 관련주로 분류된 바 있음
  • 환율상승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선두주자로 해외 매출 비중이 압도적이며, 환율이 5% 상승 시 3천억원 이상의 순이익 개선 효과를 보는 대표적 반도체 수출 기업이기에 환율 상승에 따른 직접적 수혜주로 부각된 바 있음
  • 엔 캐리 트레이드 : 메모리 반도체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압도적이며, 엔캐리 청산 시 외국인 자금 이탈로 인한 급락 위험이 크지만 동시에 엔화 강세 시 일본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엔 캐리 트레이드 관련주로 분류
  • HBM : HBM2부터 HBM3E까지 전 라인업을 보유한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체로, HBM 생산 확대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장을 추진하는 기업
  • 데이터센터 : 고용량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서버 솔루션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글로벌 대형 클라우드 및 AI 데이터센터 업체에 공급 실적 존재

삼성전자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5,789,405억 1위 5,919,637,922 52.29%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112,400 50,800

삼성전자 기업 개요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전자 제품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삼성전자로지텍, 삼성전자서비스, 삼성디스플레이, 스테코, 삼성메디슨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반도체, CE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TV, 스마트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부문 등에서 글로벌 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메타버스와 로보틱스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M&A를 계획하고 있다.

최신 삼성전자 관련 뉴스

UAE(아랍에미리트)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현지에서 열리는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양국 핵심 협력 분야에 대해 논의한다. 대통령실은 19일(현지시간) 이 대통령이 아부다비 한 호텔에서 열리는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경제인협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UAE 대외무역부, 아부다비 상공회의소가 공동 주최한다. 행사에는 양국 정부, 기관, 기업 관계자 50여 명이 함께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유영상 SK수펙스추구협의회 AI위원회 위원장,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등 우리 기업인들도 대거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행사에 참석한 기업들은 이번 라운드테이블 주제인 첨단산업, 에너지·인프라-방산, 문화 등 양국 핵심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미래 협력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할 계획이다. 또 이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한국과 UAE가 100년의 동행을 함께하기 위한 여정에서 양국...

중국산 제품 공세와 수요 정체로 TV 사업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하면서 디스플레이 업계가 자동차와 모바일 분야로 수익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 2년 만에 부스를 차리고 차량용 디스플레이 전용 전시관을 꾸린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폴더블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부각하는 방향으로 전시 콘셉트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18일 LG디스플레이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IT 제품 매출 비중은 37.3%, 모바일 34.9%, TV 19.1%, 자동차 8.7%로 집계됐다. LG디스플레이는 2년 전만 해도 분기보고서에 자동차 분야 매출을 따로 기재하지 않았는데, 지난해부터 매출 비중이 늘어나면서 별도 항목으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중국산 영향으로 주춤한 대형 패널 매출을 중소형 패널로 메운 셈이다. 자동차용 디스플레이는 아직 매출 비중이 크지 않지만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로 꼽힌다.LG디스플레이는 내년 CES에서 공개하는 ‘차량용 듀얼뷰 OLED’와 ‘차량용 UDC-IR’ 두 제품으로 혁신상을 받았다. 차량용 듀얼뷰 OLED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운전자는 내비게이션을 보는 동시에 조수석 동승자는 영화나 OTT를 시청할 수 있는 장비다. 픽셀 구조를 최적화해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화면을 터치하며 조작해도 동승자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화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삼성디스플레이 역시 매출 루트를 다양화하고 있다. 특히 애플의 참전으로 수요가 늘어난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거는 기대가 크다. 애플이 내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되는 폴더블 아이폰은 삼성디스플레이가 OLED 패널을 단독 공급할 예정이다. 양산이 본격화하면 삼성의 폴더블 OLED 출하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9월에는 독일 뮌헨에서 열린 국제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5’에 전 세계 패널 업체 중 유일하게 참가해 미래 자율주행차 콘셉트의 OLED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차량용 OLED 브랜드명을 ‘드라이브’로 정하고 디스플레이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오토 사업을 육성하겠다는 포부도 드러냈다.TV 분야 수익성 악화는 디스플레이 업계의 ‘두통’이다. 3분기 삼성전자 TV의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해 연평균 대비 약 6% 하락했고, LG전자는 3.7%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TV는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와 함께 크기나 화질 경쟁이 큰 의미가 없는 상황까지 발전했기 때문에 신사업 동력을 다른 제품군에서 찾는 양상”이라고 말했다.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코스피 조정 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코스피는 18일 전날 미국 뉴욕증시 하락 여파에 4000선 아래로 밀렸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달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인공지능(AI) 버블’ 우려가 계속된 영향이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경계심도 높아졌다. 비트코인은 7개월 만에 처음으로 9만 달러 선이 붕괴됐다.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32% 하락한 3953.62에 거래를 마감하면서 7거래일 만에 4000선 아래에서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5500억원, 기관이 6700억원 각각 순매도한 영향이다. 개인은 1조2000억원어치 넘게 사들이며 저가 매수에 나섰다. 삼성전자(-2.78%)와 SK하이닉스(-5.94%) 현대차(-2.58%) 등 시가총액 상위주가 모두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7.3원 오른 1465.3원에 주간거래를 마감했다.코스피는 이달 4일 기록한 고점(4226.75) 대비 6.25% 하락하며 본격적인 조정장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미 연준 기준금리의 연내 추가 인하 기대감이 크게 줄어든 게 조정의 가장 큰 배경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12월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해 “기정사실은 아니다”라고 말한 뒤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2월 FOMC에서 금리 동결 전망은 52.5%로 절반을 넘었다. 이는 한 달 전만 해도 0%였다.금리 인하 전망 축소는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에 미 10년물 금리가 4.1%대로 상승했고 기술주에 대한 밸류에이션 부담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끊이지 않는 AI 버블 우려도 증시 상승을 가로막고 있다. 페이팔 창업자로 유명한 피터 틸이 지난 분기 엔비디아 주식 전량(9400만 달러)을 매도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AI 관련주와 대형 기술주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19일(현지시간) 엔비디아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외국인의 차익실현 움직임도 커졌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코스피 급락에 대해 “새로운 악재가 아니라 기존 재료가 반복되고 있다”며 “하루 3%대 낙폭은 과도한 성격이 있어 매도에 동참하는 것은 실익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비트코인은 7개월 만에 9만 달러 아래로 내려왔다. 이날 코인마켓캡에서 오후 4시 23분 현재 비트코인 1개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91% 하락한 8만9808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 가격은 금리와 AI 버블 우려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4년 주기론(비트코인 가격이 4년 간격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주장)’에 따라 하락 사이클로 접어들고 있다는 불안감이 시장에 퍼진 것도 낙폭이 커진 이유로 언급된다.이광수 기자 gs@kmib.co.kr

꿈의 신소재라 불리우는 '그래핀'이 경북 포항시에서 첫 양산에 들어갔다. 포항시는 18일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서 ‘그래핀스퀘어 포항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김성열 산업통상부 산업기반실장, 이남억 경북도 공항투자본부장, 김성근 포스텍 총장, 나주영 포항상공회의소 회장 등 유관기관

삼성전자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300,870,903,000,000 16.20% 32,725,961,000,000 398.34% 34,451,351,000,000 122.45%
2023.4Q 258,935,494,000,000 -14.33% 6,566,976,000,000 -84.86% 15,487,100,000,000 -72.17%
2022.4Q 302,231,350,000,000 8.09% 43,376,630,000,000 -15.99% 55,654,077,000,000 39.46%
2021.4Q 279,604,800,000,000 18.07% 51,633,858,000,000 43.45% 39,907,450,000,000 51.12%

순매수량

개인: 953,454

기관: -1,741,093

외인: 812,607

누적 순매수량

개인: -136,084,426

기관: 8,441,497

외인: 105,549,793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8 953,454 -1,741,093 812,607
2025-11-17 -3,330,929 356,569 3,035,482
2025-11-14 8,999,141 -3,296,936 -5,945,086
2025-11-13 2,222,221 -4,088,635 1,882,606
2025-11-12 2,243,924 1,925,957 -4,326,840
2025-11-11 -3,575,513 1,393,210 2,239,548
2025-11-10 -1,917,458 1,137,212 703,232
2025-11-07 -670,413 -1,833,179 2,597,021
2025-11-06 5,228,324 1,744,157 -7,198,749
2025-11-05 3,161,844 -1,069,851 -1,632,752
2025-11-04 6,602,532 -731,109 -5,492,967
2025-11-03 188,547 2,283,333 -2,572,193
2025-10-31 -2,194,927 -15,452,058 17,417,030
2025-10-30 -5,274,854 59,109 5,132,582
2025-10-29 1,048,516 855,784 -2,014,869
2025-10-28 3,387,485 -913,950 -2,587,549
2025-10-27 -9,256,525 1,615,226 7,752,049
2025-10-24 -8,645,536 3,565,823 5,223,327
2025-10-23 2,643,693 -1,560,979 -1,184,718
2025-10-22 -512,514 1,098,158 -504,443
2025-10-21 -1,849,438 1,271,387 652,462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8 -548,426 -13,381,865 13,987,780
2025-11-17 -1,501,880 -11,640,772 13,175,173
2025-11-14 1,829,049 -11,997,341 10,139,691
2025-11-13 -7,170,092 -8,700,405 16,084,777
2025-11-12 -9,392,313 -4,611,770 14,202,171
2025-11-11 -11,636,237 -6,537,727 18,529,011
2025-11-10 -8,060,724 -7,930,937 16,289,463
2025-11-07 -6,143,266 -9,068,149 15,586,231
2025-11-06 -5,472,853 -7,234,970 12,989,210
2025-11-05 -10,701,177 -8,979,127 20,187,959
2025-11-04 -13,863,021 -7,909,276 21,820,711
2025-11-03 -20,465,553 -7,178,167 27,313,678
2025-10-31 -20,654,100 -9,461,500 29,885,871
2025-10-30 -18,459,173 5,990,558 12,468,841
2025-10-29 -13,184,319 5,931,449 7,336,259
2025-10-28 -14,232,835 5,075,665 9,351,128
2025-10-27 -17,620,320 5,989,615 11,938,677
2025-10-24 -8,363,795 4,374,389 4,186,628
2025-10-23 281,741 808,566 -1,036,699
2025-10-22 -2,361,952 2,369,545 148,019
2025-10-21 -1,849,438 1,271,387 652,462

삼성전자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523,659,586,000,000 21.04% 78.96%

삼성전자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등 [DX부문] 65.7%
DRAM, NANDFlash, 모바일AP등 [DS부문] 25.7%
스마트폰용OLED패널등 [SDC] 12%
디지털콕핏, 카오디오, 포터블스피커등 [Harman] 5.6%
부문간내부거래제거등 [기타] -9%

삼성전자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960,981 (3.98%)

최근 공매도 잔고: 733,036 (0.01%)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18 97,800 960,981 3.98%
2025-11-17 100,600 674,547 2.95%
2025-11-14 97,200 788,726 2.56%
2025-11-13 102,800 1,004,500 3.90%
2025-11-12 103,100 381,823 1.52%
2025-11-11 103,500 1,665,236 4.13%
2025-11-10 100,600 384,879 1.17%
2025-11-07 97,900 742,425 2.17%
2025-11-06 99,200 640,950 1.62%
2025-11-05 100,600 1,070,419 1.51%
2025-11-04 104,900 870,052 1.89%
2025-11-03 111,100 1,000,462 2.20%
2025-10-31 107,500 583,115 0.84%
2025-10-30 104,100 850,775 1.65%
2025-10-29 100,500 580,525 2.00%
2025-10-28 99,500 1,079,992 3.87%
2025-10-27 102,000 729,060 2.28%
2025-10-24 98,800 204,391 0.79%
2025-10-23 96,500 1,201,451 5.05%
2025-10-22 98,600 798,762 3.56%
2025-10-21 97,500 698,615 2.13%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14 97,200 733,036 0.01%
2025-11-13 102,800 732,668 0.01%
2025-11-12 103,100 513,190 0.01%
2025-11-11 103,500 515,810 0.01%
2025-11-10 100,600 515,810 0.01%
2025-11-07 97,900 459,533 0.01%
2025-11-06 99,200 463,138 0.01%
2025-11-05 100,600 477,610 0.01%
2025-11-04 104,900 468,411 0.01%
2025-11-03 111,100 477,586 0.01%
2025-10-31 107,500 650,922 0.01%
2025-10-30 104,100 549,507 0.01%
2025-10-29 100,500 508,015 0.01%
2025-10-28 99,500 548,758 0.01%
2025-10-27 102,000 1,211,694 0.02%
2025-10-24 98,800 1,307,236 0.02%
2025-10-23 96,500 1,470,311 0.02%
2025-10-22 98,600 1,617,327 0.03%
2025-10-21 97,500 1,765,547 0.03%
2025-10-20 98,100 1,773,878 0.03%
2025-10-17 97,900 1,807,506 0.03%

삼성전자 업종 내 비교

반도체/반도체장비 업종(153개) 연간 기준

항목 삼성전자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5,955,155.75 73,258.5 1위
PER(최근4분기) - - -위
PBR 1.73 10.73 77위
ROE(최근4분기) 9.027 -3.62 47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437 1.14 14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0.877 -6.91 34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1.451 -14.75 3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7.932 74.14 104위
매출액(최근연도) 3,008,709.03 26,011.73 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327,259.61 3,832.01 1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44,513.51 3,643.72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