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신양회 로고

성신양회 (004980) 주가 및 종목 정보

성신양회 실시간 주가

성신양회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0,210 원
변동량 ▼ 150.00 원
변동률 -1.45%
거래량 42,256
거래대금 431,678,375 원

성신양회 일별 주가

성신양회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4/2025 10,630 10,920 10,460 10,570 154,928 1,655,406,910
8/5/2025 10,580 10,800 10,350 10,540 86,202 908,337,000
8/6/2025 10,520 10,570 10,380 10,440 63,260 661,046,305
8/7/2025 10,490 10,750 10,420 10,480 86,585 914,806,630
8/10/2025 10,480 10,490 10,210 10,310 96,294 992,953,630
8/11/2025 10,270 10,480 10,200 10,210 61,618 634,967,340
8/12/2025 10,230 10,370 10,160 10,250 54,177 555,569,910
8/13/2025 10,230 10,290 10,100 10,250 57,444 585,065,730
8/17/2025 10,200 10,440 10,110 10,360 83,362 858,769,605
8/18/2025 10,340 10,400 10,150 10,210 42,256 431,678,375

관련 테마

  • 시멘트/콘크리트 : 1967년 설립되었으며 시멘트 사업과 레미콘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본 공장에서 일반 콘크리트 공사에 사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공급하고 있음
  • 세종시 : 대표적인 시멘트, 레미콘 생산 및 판매 기업으로 땅을 세종자치시에 보유

성신양회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2,503억 451위 24,516,073 5.59% 건설/인프라 건축자재 15,470 6,830

성신양회 기업 개요

성신양회는 1967년 설립된 기업으로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성신레미컨, 성신엘엔에스, JINSUNG INTERNATIONAL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시멘트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레미콘 사업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하노이 지역을 중심으로 베트남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영업 역량 강화와 신규산업 진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베트남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최신 성신양회 관련 뉴스

국내 시멘트 업계가 2분기에도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건설경기 침체, 원자재 가격 불안정, 환경 규제 강화 등 삼중고(三重苦)가 겹치며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탓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수도권 지역에 대규모 공사가 시작되면서 시장이 조금은 활기를 찾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요 6개 시멘트사(한일시멘트·아세아시멘트·한라시멘트·삼표시멘트·성신

시멘트업체가 제조 과정에서 사용한 폐기물 비중이 지난해 법 개정으로 최근 공개된 데 이어, 건설사도 주택 건축 시 활용한 시멘트의 제조사 등 정보를 공개토록 하는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지만 논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는 반대 의견을 냈고, 시멘트 제조에 사용되는 폐기물 종류 등을 규제하는 환경부는 소관이 아니라며 뒷짐이다. 다만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의 폐기물 사용은 자원 재활용 측면과 매립·소각 외 폐기물 처리 대안이란 점에서 증가할 전망이라 적절한 관리와 투명한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일현대 26% 최대→정작 우리집 어떤 시멘트 썼는지는 '깜깜이'10일 국회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건설사업주체가 폐기물 사용 시멘트를 활용해 주택을 짓는 경우 그 성분과 사용량 등 정보를 사용검사권자를 통해 일반에 공개토록 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은 2건(각각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 발의돼 있다. 앞서 폐기물 사용 시멘트 내 중금속 함유로 제기된 주민 건강 악영향 등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지난해 개정한 '폐기물관리법'으로 시멘트 제조사의 정보 공개는 외무화됐지만, 정작 어떤 제조사의 시멘트를 얼마만큼 써서 주택을 지었는지는 '깜깜이'라 주민 안전과 건강권, 국민 알 권리 차원에서 건설사도 이를 공개토록 하자는 게 개정 취지다. 시멘트환경문제해결 범국민대책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7개 시멘트업체 9개 공장의 생산량 대비 폐기물 혼합 비율이 지난달 최초로 공개된 결과, 한일현대시멘트 삼곡공장이 올해 2분기 30만 톤의 시멘트를 생산하면서 7만 7천 톤의 폐기물을 혼합(25.6%)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어 쌍용C&E 동해공장 24.2%, 성신양회 23% 등 순이다. 가장 낮은 곳은 한라시멘트(16%)다. 범대위는 "시멘트 등급제 도입과 사용처 구분 등 주장이 계속됐지만, 혼합 비율만 밝히는 법 개정이 졸속으로 이뤄지다 보니, 건강 우려는 커졌다"고 반발했다. 범대위의 우려는 국내 시멘트 규제가 애초부터 선진국 대비 허술하다는 데 기인한다. 유럽과 미국은 시멘트 제품에서 발현되는 암 발생인자 6가크롬 농도를 kg당 5mg 또는 2mg 이하로 엄격히 제한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20mg 이하로 넓게 허용하고 있다. 그런데 폐기물 혼합 비중을 공개해 보니 '순환경제 선도국'이라는 독일에서조차 14%(2023년 기준)로 국내보다 훨씬 낮아, 과연 적절한 폐기물 혼합 규정을 두고 있는 건지 의문이 더 커졌다는 게 범대위 지적이다. 범대위 박남화 위원장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건설사가 어떤 시멘트를 사용했는지 그 브랜드와 혼합 비중을 공개하면 집주인들이 아파트의 시멘트 정보를 알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시멘트업체에서도 품질에 신경을 쓰고 건설사도 양질의 시멘트를 사용해 관련 문제들이 자연히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건설업계 '반대' 국토부와 건설업계는 반대하고 있다. 국토부가 황운하 의원실에 발신한 '폐기물 사용 시멘트 정보공개 관련 주택법 개정안 검토 의견'을 보면, 국토부의 반대 논리는 3가지다. 우선 폐기물관리법 개정으로 폐기물 사용 시멘트 정보 공개가 시작됐고, 환경부와 지자체가 중금속 함유량을 일정기준 이하로 관리하고 있어, 건설사까지 규제하는 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또 건설사는 공사기간 시멘트가 아닌, 시멘트를 원료로 가공된 레미콘을 다수 업체로부터 조달받아 사용하므로, 간접 취득하는 시멘트 정보를 수집·관리·제출하기에는 상당히 부담스러울 것이란 얘기다. 아울러 폐기물 사용 시멘트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관련 법령에서 강화하고, 기준을 충족한 시멘트만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시멘트 업계 규제 외에 건설사 규제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는 취지다. 한국주택협회와 대한건설협회는 이에 더해,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면 소비자에게 품질에 대한 불신을 조장해 불필요한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고, △주택에는 벽지와 접착제 등 다양한 자재가 사용되는데 시멘트만 규제하는 건 불합리한 차별이라며 각각 '신중검토', '반대' 의견을 냈다. 건설협회는 "시멘트 생산비용 및 건설 원가율을 높여 공사비용·분양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시멘트 정보 공유가 지연되거나 부정확할 경우 사용검사 등 인허가 절차 지연으로 이어져 사업성 저하 및 주택공급 위축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주택협회는 공사 현장에서는 실제 사용된 시멘트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해 '준공 전' 소비자에게 관련 정보를 공개하는 건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면서도, '준공 후'에는 시멘트 총사용량 등 정보 파악이 가능하다고 열어뒀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후보자 시절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입주민의 건강 증진 등을 위해 근본적으로 유해성이 높은 건축자재가 건설현장에 사용되지 못하도록 환경부 등 관계 부처와 적극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건설업계 '친환경 역행' 주장…환경부는 '뒷짐'특히 건설업계가 공통으로 제기한 반대 논리 중엔 '국내외 탄소절감·자원 재활용 친환경 정책에 역행'한다는 주장이 눈에 띈다. 현재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폐기물은 두 가지로 활용된다. 석회석 등을 고온으로 가열해 가루로 녹이는 소성로 연료로 기존 유연탄에 더해 폐타이어와 폐합성수지 및 폐목재 등을 떼고, 아예 석회석 등과 함께 원료로 활용하기도 한다. 폐기물 시멘트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 연료 사용에서도 석탄 비중이 높아지고, 원료로도 신규 광물자원을 소비할 수밖에 없다는 게 건설업계를 대표하는 주택협회와 건설협회 측 주장이다. 환경부는 이번 주택법 개정안 관련 의원실의 검토 의견 요청에 "환경부 소관이 아니다"라고 회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환경부 관계자는 "자원순환 측면, 폐기물의 적정 처리 측면에서는 시멘트 소모가 일조하는 부분도 있다는 점을 부인할 순 없다"고 말했다. 감사원은 2019년 12월 환경부에 '직매립되고 있는 연간 100만 톤의 가연성폐기물 처리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환경부에 통보했는데, 시멘트 업체에서 처리하는 폐플라스틱·폐비닐 등 가연성 폐기물이 2019년 130만 톤에서 2021년 230만 톤으로 급증한 데 이어 지속 증가세다. 자원순환사회경제구소 홍수열 소장은 개인 블로그에 올린 '국내 가연성폐기물 처리시장을 어떻게 봐야할까?' 게시물을 통해 "쓰레기시멘트로 과도하게 공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도 "앞으로도 업계는 가연성 폐기물 반입량을 더 늘릴 계획인데, 발열량 등의 기준을 정확하게 잘 지키고 있는지에 대한 합리적 의심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홍 소장은 그러면서 "중간재활용업체에서 선별을 제대로 한 좋은 품질의 가연성 폐기물을 사용해야 하는데, 급격하게 양을 늘리는 과정에서 품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가 있다"고 짚었다. 또 "탄소 저감을 목적으로 한다면 폐비닐에만 집중할 게 아니라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을 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내 건설경기가 악화로 시멘트 업계의 상반기(1~6월) 내수 판매가 33년 만에 2000만톤(t)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사들의 상반기 시멘트 내수 출하량은 1888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줄었다. 상반기 기준으로 1992년 1976만t 출하 기록 이후 33년 만에 2000만t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2148만t)과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2404만t)에도 2000만t 밑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달 줄줄...

연도별 상반기 시멘트 내수 실적. [비즈니스포스트] 올해 상반기에 시멘트 내수판매가 33년 만에 2천만 톤을 밑돌았다.한국시멘트협회는 2025년 상반기 시멘트 내수판매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17.4% 감소한 1888만 톤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상반기 기준으로 1992년에 1976만 톤을 출하한 이후 33년 만에 처음으로 2천만 톤대가 무너진 것이다.최근 상반기 시멘트 내수 실적의 흐름을 살펴보면 2023년에 2604만 톤에서 2년 만에 27.5%가 감소했다.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IMF 외환위기인 1998년(2148만 톤)과 미국발 서브프

성신양회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162,632,731,807 4.43% 53,239,362,394 -27.40% 45,374,360,177 -32.23%
2023.4Q 1,113,282,184,538 8.04% 73,331,934,254 3899.34% 66,955,414,380 352.94%
2022.4Q 1,030,414,340,000 23.62% 1,833,600,800 -93.89% -26,470,492,000 -506.67%
2021.4Q 833,543,540,000 15.40% 30,023,205,000 41.65% 6,509,058,600 -35.81%

순매수량

개인: -371

기관: 341

외인: 30

누적 순매수량

개인: -273,988

기관: -71,911

외인: 278,653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19 -371 341 30
2025-08-18 -13,780 -685 14,054
2025-08-14 680 -3,803 2,750
2025-08-13 -4,945 -167 5,111
2025-08-12 -10,768 1 10,719
2025-08-11 -11,768 -1,307 13,075
2025-08-08 -7,852 -123 9,975
2025-08-07 -12,685 -27 12,759
2025-08-06 5,533 -33 -4,825
2025-08-05 12,592 -174 -12,906
2025-08-04 -4,331 92 -35,595
2025-08-01 43,101 -3,946 -36,368
2025-07-31 -23,838 20 23,080
2025-07-30 -80,087 -10,097 89,747
2025-07-29 -187,016 -91 185,743
2025-07-28 -25,411 -1 23,983
2025-07-25 -1,869 106 1,825
2025-07-24 -3,290 -3,529 6,508
2025-07-23 -13,791 -21 12,830
2025-07-22 -6,513 17 9,108
2025-07-21 -11,735 252 11,698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19 -358,144 -23,175 343,301
2025-08-18 -357,773 -23,516 343,271
2025-08-14 -343,993 -22,831 329,217
2025-08-13 -344,673 -19,028 326,467
2025-08-12 -339,728 -18,861 321,356
2025-08-11 -328,960 -18,862 310,637
2025-08-08 -317,192 -17,555 297,562
2025-08-07 -309,340 -17,432 287,587
2025-08-06 -296,655 -17,405 274,828
2025-08-05 -302,188 -17,372 279,653
2025-08-04 -314,780 -17,198 292,559
2025-08-01 -310,449 -17,290 328,154
2025-07-31 -353,550 -13,344 364,522
2025-07-30 -329,712 -13,364 341,442
2025-07-29 -249,625 -3,267 251,695
2025-07-28 -62,609 -3,176 65,952
2025-07-25 -37,198 -3,175 41,969
2025-07-24 -35,329 -3,281 40,144
2025-07-23 -32,039 248 33,636
2025-07-22 -18,248 269 20,806
2025-07-21 -11,735 252 11,698

성신양회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325,104,985,209 56.80% 43.20%

성신양회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시멘트 70.4%
레미콘 19.2%
기타 10.4%

성신양회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797 (0.98%)

최근 공매도 잔고: 107,031 (0.44%)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19 10,210 797 0.98%
2025-08-18 10,360 1,972 1.50%
2025-08-14 10,250 4,963 5.42%
2025-08-13 10,250 791 0.99%
2025-08-12 10,210 136 0.14%
2025-08-11 10,310 1,338 0.84%
2025-08-08 10,480 143 0.10%
2025-08-07 10,440 857 0.83%
2025-08-06 10,540 5,247 3.81%
2025-08-05 10,570 7,511 2.97%
2025-08-04 10,540 6,242 1.94%
2025-08-01 10,220 21,056 5.65%
2025-07-31 10,530 15,742 2.55%
2025-07-30 10,170 28,477 3.21%
2025-07-29 10,070 8,606 0.88%
2025-07-28 9,400 2,763 1.30%
2025-07-25 9,310 2,055 2.89%
2025-07-24 9,390 8,414 6.23%
2025-07-23 9,370 2,667 1.58%
2025-07-22 9,280 8,509 4.42%
2025-07-21 9,330 3,782 2.83%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14 10,250 107,031 0.44%
2025-08-13 10,250 113,353 0.46%
2025-08-12 10,210 116,223 0.47%
2025-08-11 10,310 125,852 0.51%
2025-08-08 10,480 127,225 0.52%
2025-08-07 10,440 134,479 0.55%
2025-08-06 10,540 138,588 0.57%
2025-08-05 10,570 137,456 0.56%
2025-08-04 10,540 137,892 0.56%
2025-08-01 10,220 132,906 0.54%
2025-07-31 10,530 115,442 0.47%
2025-07-30 10,170 121,919 0.50%
2025-07-29 10,070 159,881 0.65%
2025-07-28 9,400 239,386 0.98%
2025-07-25 9,310 250,486 1.02%
2025-07-24 9,390 262,531 1.07%
2025-07-23 9,370 268,737 1.10%
2025-07-22 9,280 281,837 1.15%
2025-07-21 9,330 286,872 1.17%
2025-07-18 9,320 287,335 1.17%
2025-07-17 9,330 211,067 0.86%

성신양회 업종 내 비교

건축자재 업종(36개) 연간 기준

항목 성신양회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2,539.865 2,135.72 10위
PER(최근4분기) 10.028 -6.29 10위
PBR 0.467 0.8 19위
ROE(최근4분기) 8.206 -0.69 9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3.378 3.31 12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4.579 2.13 14위
순이익률(최근연도) 3.903 -1.6 13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37.65 83.54 4위
매출액(최근연도) 11,626.327 5,109.01 5위
영업이익(최근연도) 532.394 346.84 8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453.744 139.24 6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