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5공장에 60조 투자”…HBM 등 실적 정상화 ‘집결점’ [탄력받는 뉴삼성 초격자]
AI 슈퍼사이클 본격 진입…P5 조기 가동 ‘장기 성장’ 신호 이재용–젠슨 황 회동 이후…HBM·D램 공급망 재편 가속 세계 유일 ‘메...
| 항목 | 값 |
|---|---|
| 현재가 | 570,000 원 |
| 변동량 | ▼ 36000.00 원 |
| 변동률 | -5.94% |
| 거래량 | 3,544,391 |
| 거래대금 | 2,045,293,449,000 원 |
| 날짜 |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 11/4/2025 | 563,000 | 587,000 | 532,000 | 579,000 | 8,976,222 | 5,043,848,962,489 |
| 11/5/2025 | 602,000 | 607,000 | 583,000 | 593,000 | 5,321,244 | 3,175,511,482,783 |
| 11/6/2025 | 577,000 | 599,000 | 565,000 | 580,000 | 4,789,397 | 2,784,161,632,500 |
| 11/9/2025 | 584,000 | 615,000 | 581,000 | 606,000 | 4,893,645 | 2,951,702,322,000 |
| 11/10/2025 | 622,000 | 646,000 | 604,000 | 619,000 | 5,508,697 | 3,446,107,474,086 |
| 11/11/2025 | 605,000 | 620,000 | 601,000 | 617,000 | 2,831,484 | 1,732,466,665,264 |
| 11/12/2025 | 607,000 | 622,000 | 607,000 | 612,000 | 3,875,541 | 2,378,789,345,500 |
| 11/13/2025 | 579,000 | 585,000 | 560,000 | 560,000 | 5,778,374 | 3,312,307,230,600 |
| 11/16/2025 | 588,000 | 606,000 | 584,000 | 606,000 | 4,470,947 | 2,663,586,341,596 |
| 11/17/2025 | 583,000 | 591,000 | 570,000 | 570,000 | 3,544,391 | 2,045,293,449,000 |
| 시장 | 시가총액 | 기업순위 | 주식수 | 외국인 비중 | 산업군 | 세부 산업군 | 52주 최고 | 52주 최저 |
|---|---|---|---|---|---|---|---|---|
| kospi | 4,149,613억 | 2위 | 728,002,365 | 53.76% | 하드웨어/IT장비 | 반도체/반도체장비 | 646,000 | 157,600 |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된 기업으로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 2012년 SK텔레콤에 인수되며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 메모리 반도체분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DRAM과 NAND 중심의 메모리반도체 사업 부문이며, 시스템 반도체 CIS 생산과 파운드리 사업부분이 뒤를 잇고 있다. IT기술과 기기의 발전으로 반도체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사는 인텔사 NSG의 옵테인 사업부를 제외한 NAND 사업 부문과 키파운드리를 인수하며 반도체 사업분야 내에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AI 슈퍼사이클 본격 진입…P5 조기 가동 ‘장기 성장’ 신호 이재용–젠슨 황 회동 이후…HBM·D램 공급망 재편 가속 세계 유일 ‘메...
올들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대표되는 반도체기업들이 AI(인공지능) 훈풍을 타고 전체 코스피 영업이익의 3분의1가량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거래소가 공개한 코스피 시장 12월 결산법인 2025년 3분기 누적 실적에 따르면 639개사의 연결 영업이익은 179조56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1%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누적 연결 매출액은 2299조1183억원, 순이익은 152조3269억원으로 각각 5.44%, 25.80% 늘었다. 매출액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7.81%로 전년 동기 대비 0.65%포인트(P) 개선됐고 매출액순이익률(매출액 대비 순이익)도 6.63%로 1.07%P 올라갔다. 다만 639개 연결재무제표 분석대상 상장사 중 3분기 누적 순이익 흑자기업은 502개사로 전년 동기 대비 13곳이 줄었다. 특히 주요 반도체기업들의 이익규모가 눈에 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28조357억원, 삼성전자는 23조5274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요 수출기업들과 만나 구조적인 외환수급 개선을 위해 환율안정 방안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1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기아, 한화오션, 포스코홀딩스 6개 수출기업과 간담회를 열어 최근 수출·투자동향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관세협상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기업들의 의견도 들었다. 구 부총리는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기업들의 노력으로 수출이 회복 흐름에 들어섰다"며 "최근 관세협상에 따른 대미투자 추진과정에서도 기업과 긴밀히 소통해 국익과 기업 모두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조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14일 미국과 상호관세 및 자동차 관세 인하, 반도체·의약품 관세 우대 등을 명문화한 공동 팩트시트를 발표하고 35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전략투자 MOU(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이를 위해 2000억달러 대미투자를 위한 특별법 제정도 추진 중이다. 구 부총리는 환율안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날 서...
코스피 조정 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코스피는 18일 전날 미국 뉴욕증시 하락 여파에 4000선 아래로 밀렸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달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인공지능(AI) 버블’ 우려가 계속된 영향이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경계심도 높아졌다. 비트코인은 7개월 만에 처음으로 9만 달러 선이 붕괴됐다.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32% 하락한 3953.62에 거래를 마감하면서 7거래일 만에 4000선 아래에서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5500억원, 기관이 6700억원 각각 순매도한 영향이다. 개인은 1조2000억원어치 넘게 사들이며 저가 매수에 나섰다. 삼성전자(-2.78%)와 SK하이닉스(-5.94%) 현대차(-2.58%) 등 시가총액 상위주가 모두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7.3원 오른 1465.3원에 주간거래를 마감했다.코스피는 이달 4일 기록한 고점(4226.75) 대비 6.25% 하락하며 본격적인 조정장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미 연준 기준금리의 연내 추가 인하 기대감이 크게 줄어든 게 조정의 가장 큰 배경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12월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해 “기정사실은 아니다”라고 말한 뒤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2월 FOMC에서 금리 동결 전망은 52.5%로 절반을 넘었다. 이는 한 달 전만 해도 0%였다.금리 인하 전망 축소는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에 미 10년물 금리가 4.1%대로 상승했고 기술주에 대한 밸류에이션 부담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끊이지 않는 AI 버블 우려도 증시 상승을 가로막고 있다. 페이팔 창업자로 유명한 피터 틸이 지난 분기 엔비디아 주식 전량(9400만 달러)을 매도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AI 관련주와 대형 기술주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19일(현지시간) 엔비디아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외국인의 차익실현 움직임도 커졌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코스피 급락에 대해 “새로운 악재가 아니라 기존 재료가 반복되고 있다”며 “하루 3%대 낙폭은 과도한 성격이 있어 매도에 동참하는 것은 실익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비트코인은 7개월 만에 9만 달러 아래로 내려왔다. 이날 코인마켓캡에서 오후 4시 23분 현재 비트코인 1개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91% 하락한 8만9808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 가격은 금리와 AI 버블 우려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4년 주기론(비트코인 가격이 4년 간격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주장)’에 따라 하락 사이클로 접어들고 있다는 불안감이 시장에 퍼진 것도 낙폭이 커진 이유로 언급된다.이광수 기자 gs@kmib.co.kr
中 샤오미 이미 가격 인상 기업 서버 시장도 오름세최근 반도체 가격이 급등한 영향으로 내년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코로나1..
| 날짜 | 매출액 | 매출액 증가율 | 영업이익 | 영업이익 증가율 | 순이익 | 순이익 증가율 |
|---|---|---|---|---|---|---|
| 2024.4Q | 66,192,960,000,000 | 102.02% | 23,467,319,000,000 | 403.58% | 19,796,902,000,000 | 316.65% |
| 2023.4Q | 32,765,719,000,000 | -26.57% | -7,730,313,000,000 | -213.52% | -9,137,547,000,000 | -507.62% |
| 2022.4Q | 44,621,570,000,000 | 3.78% | 6,809,417,000,000 | -45.13% | 2,241,669,000,000 | -76.69% |
| 2021.4Q | 42,997,790,000,000 | 34.79% | 12,410,340,000,000 | 147.58% | 9,616,189,000,000 | 102.07% |
개인: 908,964
기관: -269,404
외인: -640,841
개인: 8,638,308
기관: 6,943,140
외인: -16,033,952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 2025-11-18 | 908,964 | -269,404 | -640,841 |
| 2025-11-17 | -611,693 | 58,456 | 581,256 |
| 2025-11-14 | 2,681,424 | -522,325 | -2,179,054 |
| 2025-11-13 | 259,239 | -754,751 | 486,644 |
| 2025-11-12 | 426,752 | 328,522 | -745,277 |
| 2025-11-11 | 534,706 | 148,916 | -699,241 |
| 2025-11-10 | -437,029 | 737,643 | -305,491 |
| 2025-11-07 | 504,925 | 4,847 | -548,231 |
| 2025-11-06 | 189,867 | 613,706 | -778,073 |
| 2025-11-05 | 1,382,776 | 651,613 | -2,187,249 |
| 2025-11-04 | 2,262,451 | 88,297 | -2,474,935 |
| 2025-11-03 | -163,287 | 516,474 | -336,479 |
| 2025-10-31 | 720,547 | 338,775 | -1,086,281 |
| 2025-10-30 | 509,729 | -86,681 | -457,122 |
| 2025-10-29 | 53,141 | 315,428 | -393,083 |
| 2025-10-28 | 2,171,725 | 247,022 | -2,481,450 |
| 2025-10-27 | 478,481 | 49,938 | -545,184 |
| 2025-10-24 | -660,317 | 506,428 | 163,026 |
| 2025-10-23 | 382,825 | 153,080 | -564,516 |
| 2025-10-22 | 775,079 | 309,326 | -1,102,585 |
| 2025-10-21 | 864,862 | -66,149 | -792,724 |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 2025-11-18 | 13,235,167 | 3,369,161 | -17,086,890 |
| 2025-11-17 | 12,326,203 | 3,638,565 | -16,446,049 |
| 2025-11-14 | 12,937,896 | 3,580,109 | -17,027,305 |
| 2025-11-13 | 10,256,472 | 4,102,434 | -14,848,251 |
| 2025-11-12 | 9,997,233 | 4,857,185 | -15,334,895 |
| 2025-11-11 | 9,570,481 | 4,528,663 | -14,589,618 |
| 2025-11-10 | 9,035,775 | 4,379,747 | -13,890,377 |
| 2025-11-07 | 9,472,804 | 3,642,104 | -13,584,886 |
| 2025-11-06 | 8,967,879 | 3,637,257 | -13,036,655 |
| 2025-11-05 | 8,778,012 | 3,023,551 | -12,258,582 |
| 2025-11-04 | 7,395,236 | 2,371,938 | -10,071,333 |
| 2025-11-03 | 5,132,785 | 2,283,641 | -7,596,398 |
| 2025-10-31 | 5,296,072 | 1,767,167 | -7,259,919 |
| 2025-10-30 | 4,575,525 | 1,428,392 | -6,173,638 |
| 2025-10-29 | 4,065,796 | 1,515,073 | -5,716,516 |
| 2025-10-28 | 4,012,655 | 1,199,645 | -5,323,433 |
| 2025-10-27 | 1,840,930 | 952,623 | -2,841,983 |
| 2025-10-24 | 1,362,449 | 902,685 | -2,296,799 |
| 2025-10-23 | 2,022,766 | 396,257 | -2,459,825 |
| 2025-10-22 | 1,639,941 | 243,177 | -1,895,309 |
| 2025-10-21 | 864,862 | -66,149 | -792,724 |
| 자산총계 | 부채비율 | 자본비율 |
|---|---|---|
| 148,435,030,000,000 | 32.63% | 67.37% |
| 구성 요소 | 비율 |
|---|---|
| DRAM, NAND Flash, CIS [반도체 부문] | 100% |
최근 공매도 거래량: 92,895 (1.7%)
최근 공매도 잔고: 1,041,006 (0.14%)
| 날짜 | 종가 | 공매도량 | 공매도비중 |
|---|---|---|---|
| 2025-11-18 | 570,000 | 92,895 | 1.70% |
| 2025-11-17 | 606,000 | 175,970 | 2.65% |
| 2025-11-14 | 560,000 | 130,694 | 1.55% |
| 2025-11-13 | 612,000 | 97,310 | 1.97% |
| 2025-11-12 | 617,000 | 103,834 | 2.60% |
| 2025-11-11 | 619,000 | 175,879 | 2.08% |
| 2025-11-10 | 606,000 | 81,756 | 1.15% |
| 2025-11-07 | 580,000 | 132,452 | 1.89% |
| 2025-11-06 | 593,000 | 150,203 | 1.97% |
| 2025-11-05 | 579,000 | 241,610 | 1.78% |
| 2025-11-04 | 586,000 | 183,238 | 2.14% |
| 2025-11-03 | 620,000 | 286,485 | 3.12% |
| 2025-10-31 | 559,000 | 98,654 | 2.12% |
| 2025-10-30 | 568,000 | 221,212 | 3.06% |
| 2025-10-29 | 558,000 | 294,397 | 3.98% |
| 2025-10-28 | 521,000 | 221,688 | 2.99% |
| 2025-10-27 | 535,000 | 422,158 | 9.09% |
| 2025-10-24 | 510,000 | 104,294 | 1.67% |
| 2025-10-23 | 478,500 | 198,348 | 4.25% |
| 2025-10-22 | 481,500 | 139,340 | 2.83% |
| 2025-10-21 | 479,000 | 447,247 | 7.89% |
| 날짜 | 종가 | 공매도 잔고 | 공매도 비중 |
|---|---|---|---|
| 2025-11-14 | 560,000 | 1,041,006 | 0.14% |
| 2025-11-13 | 612,000 | 984,339 | 0.14% |
| 2025-11-12 | 617,000 | 991,634 | 0.14% |
| 2025-11-11 | 619,000 | 1,454,443 | 0.20% |
| 2025-11-10 | 606,000 | 1,438,796 | 0.20% |
| 2025-11-07 | 580,000 | 1,680,813 | 0.23% |
| 2025-11-06 | 593,000 | 1,729,561 | 0.24% |
| 2025-11-05 | 579,000 | 1,679,457 | 0.23% |
| 2025-11-04 | 586,000 | 1,758,469 | 0.24% |
| 2025-11-03 | 620,000 | 1,782,174 | 0.24% |
| 2025-10-31 | 559,000 | 1,820,008 | 0.25% |
| 2025-10-30 | 568,000 | 1,949,637 | 0.27% |
| 2025-10-29 | 558,000 | 1,772,370 | 0.24% |
| 2025-10-28 | 521,000 | 1,920,460 | 0.26% |
| 2025-10-27 | 535,000 | 1,826,702 | 0.25% |
| 2025-10-24 | 510,000 | 1,750,569 | 0.24% |
| 2025-10-23 | 478,500 | 1,942,461 | 0.27% |
| 2025-10-22 | 481,500 | 2,060,794 | 0.28% |
| 2025-10-21 | 479,000 | 2,073,929 | 0.28% |
| 2025-10-20 | 485,500 | 2,105,436 | 0.29% |
| 2025-10-17 | 465,500 | 2,016,520 | 0.28% |
| 항목 | SK하이닉스 | 업종 평균 | 업종 내 순위 |
|---|---|---|---|
| 시가총액 | 4,411,694.332 | 73,258.5 | 2위 |
| PER(최근4분기) | 15.29 | 19.57 | 55위 |
| PBR | 4.802 | 10.73 | 20위 |
| ROE(최근4분기) | 31.064 | -3.62 | 2위 |
|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0.149 | 1.14 | 58위 |
| 영업이익률(최근연도) | 35.453 | -6.91 | 7위 |
| 순이익률(최근연도) | 29.908 | -14.75 | 9위 |
| 부채비율(최근연도) | 62.151 | 74.14 | 65위 |
| 매출액(최근연도) | 661,929.6 | 26,011.73 | 2위 |
| 영업이익(최근연도) | 234,673.19 | 3,832.01 | 2위 |
| 당기순이익(최근연도) | 197,969.02 | 3,643.72 | 2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