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자산 소개 스텔라루멘은 리플에서 하드포크(Hard Fork)되어 나온 국제 송금용 블록체인 오픈 소스 프로토콜임과 동시에,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XLM)입니다. 스텔라루멘은 금융 접근성이 낮은 개발도상국의 금융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스텔라루멘을 사용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수수료가 요구됩니다. ## 기술적 특징 1. 스텔라루멘은 자체적인 합의 알고리즘으로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tellar Consensus Protocol, SCP)을 사용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채굴보다는 합의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트랜잭션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여주고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스텔라루멘의 네트워크는 스텔라루멘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중앙 스텔라 코어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현재와 미래 스텔라루멘은 2021년 기준 AMM(Automated Market Maker)를 도입하고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발행의 기반이 되는 등 기술 업데이트를 통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향후 스텔라루멘은 브릿지(Bridge)를 구축하고 레이어-2 솔루션을 도입하여 타 체인들과 호환가능한 확장성 있는 프로토콜을 만들어 사용처를 늘려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암호화폐 시장이 전방위 조정을 받으며 급락세로 출발했다.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주요 알트코인이 일제히 3~6%대 하락률을 기록하며 전일 반등 기조는 하루 만에 무너졌다. 글로벌 거시 불확실성과 수급 불균형, 기술적 저항선 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2일 오전 6시 30분 코인360을 기준으로 BTC는 전일 대비 -2.31% 하락한 11만3982.18달러를 기록했다. 일주일 전 대비로는 약 1.7% 내린 수치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던 박스권 흐름 속 하단을 위협하는 모습이다. 시장 점유
7월 한 달 동안 가상자산시장에서 상승률이 높았던 테마 3가지는 ▲밈코인 ▲실물자산(RWA) ▲게임파이라는 분석이 나왔다.8월 1일 가상자산 정보제공 플랫폼 디파이라마를 보면, 시가총액가중카테고리퍼포먼스(MCap-Weighted Category Performance) 중 3개 테마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통계상 1위 테마는 '이더리움'이었지만, 테마에 가상자산이 이더리움 하나만 포함된 탓에 집계에선 제외했다.1위는 밈코인 테마다. 밈코인 테마는 DOGE(도지코인), SHIB(시바이누) 등 3537개의 가상자산이 포함돼 있고, 시총가중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비자가 스테이블코인 결제 네트워크를 확장하며, 스텔라(XLM)와 아발란체(AVAX)를 새로운 블록체인으로 추가한다고 코인데스크가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번 확장으로 비자는 기존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를 포함해 총 4개 블록체인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지원하게 된다.비자는 페이팔 USD(PYUSD)와 글로벌달러(USDG)를 추가하고, 서클(Circle)이 발행하는 유로 기반 EURC도 지원하며, 달러와 유로 결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는 결제 기업, 핀테크, 은행들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암호화폐 시장이 하루 만에 반전,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주요 종목 대부분이 강보합 흐름을 보이며 단기 하락세에서 벗어나는 모양새다.31일 오후 10시 30분 코인360을 기준으로 비트코인(BTC)은 전일 대비 +0.42% 상승한 11만8053.47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주 11만7000달러대에서 등락을 반복한 비트코인은 최근 이틀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심리적 저항선을 지지선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시장 점유율은 59.59%를 유지됐다.이더리움(ETH)은 +1.08% 오른 3798.9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인트가 스텔라루멘(XLM)을 상장했다고 3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스텔라루멘은 국제 송금을 중심으로 한 결제 분야에서의 실용성에 강점을 가진 암호화폐로, 시가총액 1조9000억엔(약 17조원), 시장 13위에 해당한다. 스텔라루멘은 리플 창업자 중 한 명인 제드 마케레브가 2014년에 창시했다.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스텔라 개발 재단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IBM, 머니그램, 유엔개발계획(UNDP) 등 미국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 실적을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