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6일 증시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 휴림로봇 등 로봇주 주가가 장중 약세를 기록 중이다. 로봇주들은 최근 산업현장에서의 로봇 투자 확대 전망, 정책 기대감 등으로 연일 주목받았지만 이날 장중에는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42분 현재 로봇 대표주로 꼽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전일 대비 2.84% 하락한 29만500원에 거래 중이다. 장중 6거래일 만에 내림세다.또 휴림로봇은 같은 시각 전일 대비 4.26% 급락한 3480원에 거래 중이다. 전날 주가는 20%대 급등하며 52주
지난 8일(월) 방송된 한국경제TV 에서는 와우넷에서 활동중인 권태민(상산권태민연구소), 김대복(비에이치인베스트먼트), 박종현(바벨투자그룹) 대표가 하반기 탑픽 종목을 공개했다. 실적과 모멘텀, 거래량을 기준으로 제시된 종목들은 제약바이오와 관광 소비주 등 다양한 업종에서 골라졌다. 권태민 대표는 첫 번째 종목으로 ▲알테오젠(196170)을 제시했다. 그는 “머크와의 특허 소송 리스크가 해소된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와 기술 수출 계약이 체결됐다”며 “추가 기술 수출 기대와 코스피 이전 상장 가능성까지 겹쳐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 종목으로 ▲이수페타시스(007660)를 꼽으며 “외국인 지분율이 꾸준히 늘고 있고, 복수 증권사 리포트에서 목표가 8만~10만원을 제시할 정도로 강세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김대복 대표는 첫 번째 종목으로 ▲엘앤케이바이오(156100)를 선택했다. 그는 “척추 임플란트 전문 기업으로 내년에는 매출 500억~700억 원이 예상된다”며 “최근 거래량이 수십 배 폭증하며 바닥 물량 교체가 끝난 만큼 단기 1만2천원 돌파를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노란봉투법 시행 가능성이 커지자 로봇과 스마트팩토리 관련 기업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파업 등 노동쟁의로 인한 리스크를 피하려는 기업들이 산업 자동화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면서다. 7일 한국경제신문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닥시장에서 로봇·물류자동화 기업 티엑스알로보틱스는 26.41% 치솟은 1만7230원에 장을 마쳤다. 이 기업의 최근 한 달간 주가 상승률은 35.14%에 달한다. 같은 기간 물류자동화·스마트팩토리 기업 현대무벡스는 41.75% 급등했다. 로보티즈(19.93%), 하이젠알앤엠(14.29%), 뉴로메카(12.39%) 등 다른 로봇·자동화솔루션 기업도 지난 한 달간 주가가 줄줄이 올랐다. 이 같은 주가 급등 배경에는 노란봉투법으로 불리는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이 있다. 이 법안은 파업에 나선 노동자에게 기업이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행위를 제한하고, 하청업체 노동자도 원청 기업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각에서는 노란봉투법이 시행되면 기업이 노동쟁의 관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산업용 로봇과 공정 자동화 투자를 늘릴 것이라는 기대가 퍼지고 있다. 하지만 증권가에선 지나친 주가 낙관론을 우려한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일 증시에서 로봇주 가운데 휴머노이드·지능형 로봇 부품주 등이 장중 강세를 기록 중이다. 구조적으로 로봇 산업이 성장할 것이라는 증권계 진단 속에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13분 현재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전일 대비 1.12% 상승한 27만1000원, 로보티즈는 1.59% 상승한 8만9300원에 각각 거래 중이다.또 현대무벡스(+14.93%), 티엑스알로보틱스(+8.52%), 푸른기술(+5.30%), 뉴로메카(+4.09%), 케이엔알시스템(+4.00%), 나우로보틱스(+3
[데일리한국 안효문 기자] 유진그룹 계열 로봇∙물류 자동화 전문기업 티엑스알로보틱스는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로봇AI연구소'를 설립하고 차세대 로봇과 인공지능(AI) 융합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이번에 문을 연 ‘로봇AI연구소’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현장의 문제 해결과, 산업 적용, 미래형 자동화 모델을 설계하는 전략적 허브로 자리잡을 전망이다.구체적으로 기술 검증, 산업 적용, 알고리즘 개선, 데이터 기반 최적화 등 전 과정의 연구개발을 수행하며 로봇·AI 기술이 다양한 산업 현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핵심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