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투자신탁은 NH투자증권이 산출·발표하는 iSelect 바이오헬스케어 PR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액티브상장지수펀드입니다. ※ 그러나 상기의 투자목적이 반드시 달성된다는 보장은 없으며,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 판매회사 등 이 투자신탁과 관련된 어떠한 당사자도 투자원금의 보장 또는 투자목적의 달성을 보장하지 아니합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자사 액티브 ETF(상장지수펀드) 브랜드 'KoAct' 총 순자산액이 4000억원을 넘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2023년 8월3일 첫 ETF 상품인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를 출시한 지 22개월만이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자사 주요 ETF가 최근 6개월 기준 코스피 수익률을 상회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6개월간 코스피 지수는 18.7% 올랐는데, KoAct AI인프라액티브는 28.02%, KoAct 코리아밸류업액티브는 22.74%, KoAct 배당성장액티브는 19.86%,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자사 액티브 ETF(상장지수펀드) 브랜드 'KoAct'의 총 순자산이 4,000억 원을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23년 8월 첫 상품인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출시 이후 22개월 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독자 브랜드 보유 운용사 중 역대 최단 기간이다. 최근 6개월 기준으로 KoAct 주요 ETF는 모두 코스피 수익률(18.78%)을 상회했다. 상품별 수익률은 ▲KoAct AI인프라액티브 28.02% ▲KoAct 코리아밸류업액티브 22.74% ▲KoAct 배당성장액티브 19.86%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19.50%를 기록했다. 해외 상품도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KoAct 미국나스닥성장기업액티브'는 나스닥 종합지수 대비 2.06%p 초과 수익을 기록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올해 들어 국내 최초 콘셉트의 ETF를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2월 'KoAct 미국나스닥성장기업액티브', 3월 'KoAct 글로벌양자컴퓨팅액티브', 5월 'KoAct 브로드컴밸류체인액티브'를 출시했다. 지난 5월에는 미국 ETF 운용사 앰플리파이를 통해 'Amplify U.S. Natural Gas Infrastructure ETF(USNG)'를
삼성액티브운용 'KoAct ETF' 순자산 4천억원 넘겨…"수익률 약진"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자사의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브랜드인 'KoAct'의 총 순자산이 4천억원을 넘겼다고 11일 밝혔다.이는 2023년 8월 회사의 첫 액티브 ETF인 'KoAct 바이오헬스케어[462900] 액티브'를 출시한 이후 22개월 만의 결과로, 액티브 ETF를 보유한 운용사 중 최단기간의 달성 기록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액티브 ETF는 시장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투자 대상(포트폴리오)을 변경하는 전략을 강조한 ETF다. KoAct ETF는 현재 12종의 상품이 출시되어 있다.KoAct 주요 ETF는 최근 6개월의 코스피 상승률(18.8%)을 웃돌았다.세부적으로는 ▲ KoAct AI인프라액티브[487130](28.02%) ▲ KoAct 코리아밸류업액티브(22.74%) ▲KoAct 배당성장액티브[476850](19.86%)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19.50%) 등의 성과가 돋보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서범진 삼성액티브자산운용 ETF솔루션본부장은 "아직 국내 시장에서는 주식형 ETF내 액티브 ETF 규모가 약 8% 수준에 머물러 미국의 선례를 볼
최근 펀드매니저가 종목 비중을 조절하는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급격히 커진 상황에서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를 웃도는 성적을 내자 “액티브 ETF 장점인 위기 대처 능력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ETF의 지난해 수익률은 84.08%다. 같은 기간 나스닥지수 상승률을 두 배 이상 앞질렀다.팰런티어 리게티컴퓨팅 아이온큐 등 인공지능(AI) 관련주에 집중 투자하는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ETF의 수익률도 90.06%로 나스닥지수보다 월등히 나은 성적을 거뒀다.이들 ETF는 시장 상황에 맞춰 수시로 구성 종목을 교체하거나 비중을 조절하는 등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김남의 타임폴리오자산운용 ETF본부장은 “상반기에는 시장을 주도하는 AI 열풍에 맞춰 엔비디아를 집중적으로 사들였다”며 “하반기에는 미국 대선에 맞춰 테슬라와 암호화폐 관련주 비중을 높인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국내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