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장에 공격모드 전환한 개미⋯안정형 ETF 대거 정리
국내 증시가 급등하자 개인 투자자들이 안정적 수익률을 추구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팔고 있다. 13일 ETF체크에 따르면 전...
| 항목 | 값 |
|---|---|
| 현재가 | 9,890 원 |
| 변동량 | ▼ 60.00 원 |
| 변동률 | -0.60% |
| 거래량 | 376,027 |
| 거래대금 | 3,716,677,382 원 |
| 날짜 |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 11/11/2025 | 9,710 | 9,825 | 9,710 | 9,785 | 1,744,566 | 17,082,612,706 |
| 11/12/2025 | 9,840 | 9,905 | 9,825 | 9,855 | 803,600 | 7,930,663,897 |
| 11/13/2025 | 9,855 | 9,900 | 9,770 | 9,810 | 651,818 | 6,400,495,595 |
| 11/16/2025 | 9,805 | 9,870 | 9,790 | 9,835 | 428,049 | 4,212,092,701 |
| 11/17/2025 | 9,820 | 9,840 | 9,755 | 9,770 | 441,290 | 4,322,018,308 |
| 11/18/2025 | 9,780 | 9,895 | 9,780 | 9,855 | 544,616 | 5,372,230,973 |
| 11/19/2025 | 9,845 | 9,875 | 9,815 | 9,865 | 321,444 | 3,165,647,015 |
| 11/20/2025 | 9,795 | 9,845 | 9,760 | 9,815 | 306,732 | 2,999,072,850 |
| 11/23/2025 | 9,895 | 9,960 | 9,875 | 9,950 | 494,314 | 4,908,060,604 |
| 11/24/2025 | 9,950 | 9,955 | 9,855 | 9,890 | 376,027 | 3,716,677,382 |
이 ETF는 주로 미국에 상장된 주식 및 주식 관련 파생상품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Dow Jones U.S Dividend 100 7% Premium Covered Call 지수(Total Return)(원화환산)’를 기초지수로 하는 ETF입니다. 이 ETF는 해외 주식에 투자하면서도 환헤지를 하지 않으므로 기초지수의 원화환산 수익률에 연동하게 됩니다. S&P Dow Jones Indices가 발표하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7% Premium Covered Call 지수(Total Return)(원화환산)’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지수 구성종목의 수익률과 S&P500 ATM 콜옵션 매도 수익률이 합산되어 산출되는 지수입니다.
국내 증시가 급등하자 개인 투자자들이 안정적 수익률을 추구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팔고 있다. 13일 ETF체크에 따르면 전...
최근 한 달간 코스피가 급등하자 개인 투자자들이 안정적 수익률을 지향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을 대거 팔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지금의 강세장에 편승하기 위해 배당·파킹·채권형 ETF를 팔고 더 공격적인 상품에 집중 투자한 것이다.최근 한 달(10월 10일∼11월 12일)간 개인 투자자가 가장 많이 순매도한 ETF 종목 10개 중 8개는 안정형 ETF인 것으로 13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했다.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과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 등 이른바 파킹형 ETF 상품이 각각 2·8위로, 개미들은 이들 두 상품을 최근 한 달간 약 1천300억원, 300억원씩 순매도했다.파킹형 ETF는 채권과 우량 기업어음(CP) 등 안전 자산에 투자해 증시 방향이 불명확할 때 단기 자금 보관용으로 자주 쓰인다.배당주 투자 ETF 상품도 순매도 상위권에 상당수 포함됐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4위)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5위),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10위) 등이다.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 ETF도 순매수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개인 투자자들이 코스피가 급등한 최근 한 달간 안정적 수익률을 지향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을 대거 팔아치웠다. 지수가 연일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는 유례없는 강세장에 편승하기 위해 배당·파킹·채권형 ETF 대신 더욱 공격적인 상품을 찾아 집중 투자하는 양태를 보였다. 13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최근 한 달(10월 10일∼11월
해외 주식 투자자의 효자 상품이었던 '슈드'(SCHD)가 골칫덩이로 전락했다. 꾸준히 연평균 두 자릿수 수익률을 올리면서 쏠쏠한 배당을 주던 상품이었으나, 올해는 주가 하락에 더해 원/달러 환율까지 떨어져서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감세 법안도 악재로 떠올랐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미국의 대표 배당 ETF(상장지수펀드)인 '슈왑 US 디비던드 에쿼티'(슈드·SCHD) 주가가 2.23% 내렸다. 한동안 미국 증시가 중국과의 무역 갈등, 관세 정책 불확실성,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하락했지만, 이후 회복하...
레버리지 대신 배당 ETF로 피신지난 4월 29일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월중(月中) 배당을 지급하는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선보였다. 타임폴리오는 국내 액티브 ETF 신흥 강..
해당 종목의 매출 정보가 없습니다.
개인: 68,566
기관: -174,479
외인: 110,801
개인: 169,645
기관: -308,607
외인: 144,128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 2025-11-25 | 68,566 | -174,479 | 110,801 |
| 2025-10-17 | 101,079 | -134,128 | 33,327 |
| 2024-11-26 | 452,266 | -442,269 | -7,258 |
| 2024-04-23 | 354,939 | -368,288 | 502 |
| 2024-04-11 | 280,830 | -285,519 | 4,753 |
| 2024-04-10 | - | - | - |
| 2024-04-04 | 266,267 | -270,802 | 34 |
| 2024-04-03 | 124,784 | -125,637 | 509 |
| 2024-04-02 | 325,224 | -316,134 | -10,720 |
| 2024-04-01 | -149,369 | 150,489 | -1,418 |
| 2024-03-29 | -91,598 | 89,583 | 2,113 |
| 2024-03-28 | -113,926 | 113,519 | 425 |
| 2024-03-27 | 400,955 | -398,449 | 567 |
| 2024-03-26 | 453,191 | -458,373 | 6,040 |
| 2024-03-25 | 492,553 | -490,597 | -2,591 |
| 2024-03-22 | -136,077 | 122,797 | 1,622 |
| 2024-03-21 | 358,455 | -358,834 | -3,028 |
| 2024-03-12 | 55,051 | -174,658 | 119,497 |
| 2024-03-11 | 574,901 | -591,639 | 9,957 |
| 2024-02-28 | 394,219 | -521,648 | 148,425 |
| 2024-02-19 | 331,522 | -398,585 | 66,782 |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 2025-11-25 | 68,566 | -174,479 | 110,801 |
자산 비율 정보가 없습니다.
매출 구성 정보가 없습니다.
공매도 현황 정보가 없습니다.
업종 내 비교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