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업계 최초 ETF 순자산 100조 원 돌파
 
 사진=삼성자산운용삼성자산운용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업계 최초로 순자산 100조 원을 돌파했다. 2022년 10월 14일 국내 최초 ETF인 ‘KODEX 200’을 내놓은 이후 23년 만의 성과다.삼성운용은 15일 기준 ‘KODEX ETF’ 순자산 합계(총 222
 
 | 항목 | 값 | 
|---|---|
| 현재가 | 24,670 원 | 
| 변동량 | ▼ 65.00 원 | 
| 변동률 | -0.26% | 
| 거래량 | 1,598,997 | 
| 거래대금 | 39,522,976,692 원 | 
| 날짜 |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 10/19/2025 | 23,488 | 23,563 | 23,453 | 23,538 | 1,368,155 | 32,178,360,569 | 
| 10/20/2025 | 23,763 | 23,867 | 23,753 | 23,857 | 1,137,692 | 27,094,310,586 | 
| 10/21/2025 | 23,877 | 23,947 | 23,818 | 23,927 | 1,028,650 | 24,566,774,869 | 
| 10/22/2025 | 23,663 | 23,902 | 23,628 | 23,853 | 1,380,659 | 32,836,574,812 | 
| 10/23/2025 | 24,042 | 24,107 | 23,982 | 24,097 | 1,341,036 | 32,232,783,269 | 
| 10/26/2025 | 24,411 | 24,446 | 24,311 | 24,421 | 1,825,832 | 44,527,419,426 | 
| 10/27/2025 | 24,611 | 24,710 | 24,601 | 24,676 | 1,508,842 | 37,179,819,229 | 
| 10/28/2025 | 24,820 | 24,905 | 24,735 | 24,890 | 1,521,181 | 37,800,264,009 | 
| 10/29/2025 | 24,740 | 24,825 | 24,640 | 24,735 | 2,937,937 | 72,663,645,280 | 
| 10/30/2025 | 24,735 | 24,775 | 24,655 | 24,670 | 1,598,997 | 39,522,976,692 | 
이 투자신탁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으로 하여 신탁재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며,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Nasdaq Inc. 가 산출·발표하는 NASDAQ 100 Total Return Index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 재산을 운용할 계획입니다. ※ 그러나 상기의 투자목적이 반드시 달성된다는 보장은 없으며,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 판매회사 등 이 투자신탁과 관련된 어떠한 당사자도 투자원금의 보장 또는 투자목적의 달성을 보장하지 아니합니다.
 
 사진=삼성자산운용삼성자산운용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업계 최초로 순자산 100조 원을 돌파했다. 2022년 10월 14일 국내 최초 ETF인 ‘KODEX 200’을 내놓은 이후 23년 만의 성과다.삼성운용은 15일 기준 ‘KODEX ETF’ 순자산 합계(총 222
 
 삼성자산운용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업계 최초로 순자산 100조 원을 돌파했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ETF 순자산 합계가 ...
 
 삼성자산운용이 국내 ETF 업계 최초 순자산 100조 원을 돌파했다.삼성자산운용은 KODEX ETF 순자산 합계가 총 100조5,071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2002년 10월14일 대한민국 최초 ETF인 KODEX 200을 내놓은 이후 23년 만에 이룬 성과다.지난해 말 66조2,508억 원에서 9개월여 만에 51.7% 증가했으며, 지난달 11일 순자산 90조 원을 넘어선 이후 한 달여 만에 10조 원 이상 빠르게 성장한 것이다.삼성자산운용은 2002년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KODEX 200 상장 이후 국내 ETF 시장의 역사를 써왔다. 2006년 KODEX ETF 순자산이 1조 원을 넘어섰고, 같은 해 국내 최초 테마형 ETF(KODEX 반도체)를 내놨다. 2007년 국내 최초로 해외투자 ETF(KODEX 차이나H)를, 2009년엔 국내 최초 채권형 ETF(KODEX 국고채3년)를 상장하는 등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며 ETF 시장의 저변을 확대해 왔다. 이후 2009년과 2010년엔 각각 아시아 최초로 인버스, 레버리지 ETF(KODEX 인버스, KODEX 레버리지)를 상장하기도 했다.2020년 주식형 액티브 ETF와 국내외 테마형 ETF를 추가로
 
 [데일리한국 김영문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ETF 순자산 합계가 총 100조5071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지난해 말 66조2508억원에서 9개월여 만에 51.7% 증가했으며, 지난달 11일 순자산 90조원을 넘어선 이후 한 달여 만에 10조원 이상 빠르게 성장한 것이다.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ETF 시장에서 첫 순자산 100조원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KODEX에 투자해주신 고객 덕분"이라며 감사의 뜻을 밝혔다.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ETF업계 1위 사업자로서 KODEX ETF를 통해 투자자들이 다양한 자산, 테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시장 하락에 5000억원 이상을 베팅한 개인투자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증시 조정 가능성에 베팅한 투자자들은 1000억원대가 넘는 손실을 봤을 것으로 추정된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는 삼성자산운용의 ‘KODEX200 선물인버스2X’ 상장지수펀드(ETF)를 총 5417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는 같은
해당 종목의 매출 정보가 없습니다.
개인: 579,623
기관: -663,786
외인: 24,420
개인: 1,028,643
기관: -1,099,608
외인: 15,702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 2025-10-31 | 579,623 | -663,786 | 24,420 | 
| 2025-10-17 | 449,020 | -435,822 | -8,718 | 
| 2024-11-26 | 251,076 | -256,709 | 5,189 | 
| 2024-04-23 | 171,634 | -160,137 | -5,014 | 
| 2024-04-11 | 14,968 | -43,667 | 28,697 | 
| 2024-04-10 | - | - | - | 
| 2024-04-04 | 27,964 | -37,202 | 8,639 | 
| 2024-04-03 | 142,516 | -215,008 | 3,809 | 
| 2024-04-02 | 127,724 | -106,031 | -22,295 | 
| 2024-04-01 | 92,164 | -94,085 | 2,514 | 
| 2024-03-29 | 37,639 | -36,275 | -1,390 | 
| 2024-03-28 | 112,582 | -97,906 | -24,473 | 
| 2024-03-27 | 21,338 | -60,871 | 39,531 | 
| 2024-03-26 | 123,325 | -121,397 | -2,476 | 
| 2024-03-25 | 81,806 | -79,175 | -3,617 | 
| 2024-03-22 | 11,194 | 6,211 | -17,805 | 
| 2024-03-21 | 77,844 | -101,664 | 23,766 | 
| 2024-03-12 | 53,505 | -58,737 | 5,088 | 
| 2024-03-11 | 131,563 | -125,507 | -6,067 | 
| 2024-02-28 | 13,908 | -14,616 | 710 | 
| 2024-02-19 | 116,309 | -110,103 | -6,195 |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 2025-10-31 | 1,028,643 | -1,099,608 | 15,702 | 
| 2025-10-17 | 449,020 | -435,822 | -8,718 | 
자산 비율 정보가 없습니다.
매출 구성 정보가 없습니다.
공매도 현황 정보가 없습니다.
업종 내 비교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