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ETF는 국내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FnGuide 신재생에너지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FnGuide 신재생에너지 지수”는 FnGuide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상장 종목의 과거 2년간 리포트 및 공시보고서에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키워드와의 유사도 점수를 산출하고 유사도 점수가 부여된 종목들 중 재무건전성 기준을 통과한 종목으로 구성되는 지수입니다.
태양광 관련 주요 상장지수펀드(ETF)가 최근 한 달간 30% 넘게 올랐다. 미·중 무역 갈등 이후 국내 기업의 반사이익 기대가 커진 영향이다.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PLUS 태양광&ESS’는 지난 9일까지 한 달 동안 35.75% 급등했다. 국내 상장한 970여 개 ETF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익률이다. ‘TIGER Fn신재생에너지’도 같은 기간 33.97% 수익률로 전체 6위에 올랐다.태양광 ETF 수익률은 작년까지만 해도 평균을 밑돌았다. 국내 상장된 전체 ETF의 지난해 평균 수익률은 6.8%인데, PLUS 태양광&ESS와 TIGER Fn신재생에너지는 각각 4.51%, -15.13%였다. 중국 업체와의 가격 경쟁에서 밀려난 국내 업체 실적이 악화한 영향이다.분위기 반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업체를 겨냥해 관세를 대폭 올리면서 본격화했다. 미국 정부는 동남아시아 4개국에 매기는 태양광 셀 관세를 최대 3521%로 상향했다. 이 4개국에는 중국 주요 태양광 업체 공장이 자리 잡고 있다.국내 대표 태양광 업체 중 하나인 한화솔루션 주가는 한 달 사이 62.78% 뛰었다. 지난 1분기 매출이 3조9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5% 증가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反) 친환경' 정책 기조와 달리 국내 친환경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들이 '조용한 랠리'를 펼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과 달리 실제 친환경 정책은 폐지되거나 예산이 삭감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기준 'RISE 수소경제테마' ETF는 연초 대비 28.51% 급등했다. 국내 전체 ETF 중 12번째로 높은 수치다. 아울러 'PLUS 태양광&ESS' ETF와 'KO..
전력설비 대표 종목인 HD현대일렉트릭이 깜짝 실적으로 주가가 급등하면서 관련 ETF(상장지수펀드)들도 모처럼 수익률을 회복했다. 업황 피크아웃(고점 통과) 논란과 함께 최근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ETF들에 대한 뒷북 우려가 컸지만 이번에 실적으로 증명한 만큼 당분간 강세가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약 한 달 동안 전력설비 관련 ETF 5종이 연이어 증시에 상장했다. 지난달 18일 대신자산운용은 AI(인공지능) 핵심 인프라에 투자하는 'DAISHIN343 AI반도체&인프라액티브'를 선보였는데 ...
신재생에너지주(株) 주가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 대선 토론회 전후로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신재생에너지 대신 전통에너지 산업이 부각될 것이란 전망에서다.트럼프 급부상에 떨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주(株)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OCI홀딩스는 전 거래일 대비 0.58% 하락한 8만63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해 6월 호실적에 장중 12만원대까지 올랐던 주가 수준에 비하면 현재 약 28% 하락했다. 연초 대비로도 주가가 10만6000원에서 8만6000원대로 약 18% 주저앉았다.태양광 모듈 업체 한화솔루션과 풍력발전 업체 씨에스윈드 주가도 올해 들어 각각 32%, 31% 떨어졌다.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TIGER Fn신재생에너지'도 최근 한 달여 간 11% 내려앉았다.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반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구간에 돌입한 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집권 가능성이 커지면서 주가에 발목이 잡혔다. 현 바이든(민주당)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육성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트
"신재생에너지주가 인공지능(AI) 전력 수요로 지금 뜨겁다지만 모든 종목이 다 오르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일부는 시장 대비 부진합니다. 수혜주를 보려면 북미·유럽 지역 매출과 유틸리티 분야 매출이 많이 나는지를 잘 보면 됩니다." 김효식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운용2팀장(사진)은 지난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에게 신재생에너지 종목을 고르는 원칙을 이렇게 설명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주가가 급등했지만 오른 이유를 알아야 '옥석'을 가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 팀장이 운용하는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는 올 들어 국내 상장된 주요 신재생에너지 관련 ETF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 ETF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37.15%였다. 다른 국내 신재생 ETF들도 준수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HANARO 글로벌신재생에너지MSCI(합성)'는 3개월 간 10.69%, 'TIGER Fn신재생에너지'는 같은 기간 14.27%의 수익률을 올렸다. 김 팀장은 최근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이 상승하는 배경으로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