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ETF는 미국, 중국, 홍콩상장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Solactive China Electric Vehicle 지수(Net Total Return)”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Solactive China Electric Vehicle 지수(Net Total Return)”는 Solactive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미국/중국/홍콩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중국 전기자동차 및 관련 부품을 생산하면서 중국이나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et Total Return(NTR)은 세후현금배당이 지수에 편입된 종목에 재투자되는 것을 가정하여 배당수익률이 가산된 총수익률을 반영하여 산출한 지수입니다.
중국 증시가 테크주를 중심으로 반등하는 가운데 ‘중학개미’(중국 주식 개인 투자자)의 관심이 전기차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이동하고 있다. 전기차 상장지수펀드(ETF)는 주가가 오르자마자 매도세가 이어지는 반면 휴머노이드 로봇 ETF는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기대감 속에 꾸준히 매수세가 유입됐다.8일 코스콤에 따르면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솔랙티브)’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22.99%로,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3.35%)을 크게 웃돌았다. 이 ETF는 세계 1위 전기차 배터리 업체 CATL과 판매량 기준 세계 1위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BYD) 등 중국 전기차 밸류체인 전반에 투자한다.다만 주가 반등에도 개인 투자자들 자금은 빠르게 빠져나가고 있다. 최근 3개월 개인은 해당 ETF를 1406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지난 7월 28일부터 이날까진 단 하루도 순매수가 없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장기간 손실을 본 상황에서 주가가 오르자 원금이라도 회수하려는 심리가 강해 매도세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는 2022년 한때 순자산총액 4조원을 돌파하며 ‘국민 ETF’로 꼽혔다. 하지만 2021년 하반기 주가 고점을 찍은 뒤 긴 하락세에 접어들면서 투자자들의 손실이 누적됐다. 이달 4일 기준 NH투자증권을 통해 이 ETF를 보유한 투자자(2만874명) 중 87.34%가 손실을 봤다.개인 투자자들이 새롭게 주목하는 테마는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사람을 닮은 로봇으로 산업과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이 크다. 개인들은 최근 석 달 ‘KODEX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을 375억원, ‘TIGER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을 284억원 규모로 순매수했다. 이 기간 두 상품의 수익률은 24%로 전기차 ETF를 웃돌았다.투심을 자극한 것은 중국 정부다.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정부 업무보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처음 언급됐다. 이어 7월에는 중국 국무원이 AI 기술 응용 산업 대규모 지원 방안인 ‘AI+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이광수 기자 gs@kmib.co.kr
#OBJECT0# [파이낸셜뉴스]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중국 혁신 산업을 추종하는 상품들이 강세를 보였다. 이에 비해 미국 양자컴퓨팅과 원자력, 국내 반도체 관련 ETF는 약세를 나타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ETF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상품은 ‘TIGER 차이나과창판STAR50(합성)’으로 14.42% 급등했다. ‘TIGER 차이나반도체FACTSET’(11.67%), ‘TIGER 차이나테크TOP10’(6.55%),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6.42%), ‘TIGER 인도빌리언컨슈머’(5.93%)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TIGER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5.84%), 'TIGER전기차SOLACTIV'(7.82%) 등이 상위권에 오르며 톱10 가운데 7개를 중국 테마가 차지했다. 레버리지, 인버스 종목과 일평균 거래량 10만주 미만 종목은 제외한 기준이다. 중국 정부의 반도체 국산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ETF(상장지수펀드)가 상장 5주년을 맞이했다고 7일 밝혔다. 상장 이후 현재까지의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4조원을 돌파,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국민 대표 ETF로 등극했다. TIGER 미국S&P500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2020년 8월7일 선보인 국내 최초의 미국 S&P500 현물형 해외주식형 펀드다. 선물이나 일부 선물을 편입하는 구조가 아닌 S&P500 지수 내 종목들을 직접 편입하는 구조다. 이는 당시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Va...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ETF' 가 상장 5주년을 맞이했다고 7일 밝혔다.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4조원을 돌파하며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국민 대표 ETF'로 등극했다. 'TIGER 미국S&P500 ETF'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지난 2020년 8월 7일 선보인 국내 최초의 미국 S&P500 현물형 해외주식형 펀드다. 선물이나 일부 선물을 편입하는 구조가 아닌 S&P500 지수 내 종목들을 직접 편입하는 구조다. 이는 당시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Vanguard S&P 500 ETF(VOO)' 등과 동일한 '한국형 VOO'로, 'TIGER 미국S&P500 ETF'는 국내 투자자들에게 미국 대표지수에 가장 효과적인 투자법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상장 직후부터 개인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으며 'TIGER 미국S&P500 ETF'는 현재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ETF로 자리매김했다. 6일 기준 상장 이후 현재까지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4조 3,591억원에 달한다. 이는 해당 기간 국내 상장된 전체 ETF 중 1위다. 2위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ETF(2조 3,741억원)',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