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브레인 로고

솔브레인 (357780) 주가 및 종목 정보

솔브레인 실시간 주가

솔브레인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81,500 원
변동량 ▲ 700.00 원
변동률 0.39%
거래량 8,343
거래대금 1,505,248,200 원

솔브레인 일별 주가

솔브레인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6/17/2025 166,200 171,900 166,200 170,800 13,232 2,243,676,300
6/18/2025 171,200 171,500 168,400 169,300 11,811 2,001,614,300
6/19/2025 169,300 184,600 168,000 183,900 64,624 11,600,162,100
6/22/2025 179,000 181,900 172,300 176,100 32,933 5,765,410,250
6/23/2025 179,800 183,000 178,600 179,900 25,929 4,679,635,800
6/24/2025 182,200 185,500 178,800 182,000 26,961 4,893,897,350
6/25/2025 184,100 184,400 178,600 179,300 14,867 2,690,363,250
6/26/2025 180,200 181,100 176,000 178,000 14,178 2,517,256,150
6/29/2025 179,700 184,000 177,700 180,000 19,712 3,567,100,650
6/30/2025 179,100 182,300 179,000 180,800 19,821 3,587,477,850

관련 테마

  • 2차전지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2차전지 소재 등 생산/판매 업체. 삼성SDI,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2차전지 제조사에 관련 제품을 공급
  • 2차전지-소재부품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2차전지 소재 등 생산/판매 업체. 삼성SDI,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2차전지 제조사에 관련 제품을 공급
  • 반도체재료/부품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 재료, 2차 전지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공정용 화학 재료 등을 공급
  • 일본불매/수출규제 : 액체 형태 고순도 불화수소 양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日 불화수소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산화의 수혜주로 부각됨
  • 불화수소 : 반도체와 전자 관련 화학 재료를 제조, 판매하는 기업으로 액체 불화수소 국산화에 성공하였음
  • LCD 부품/소재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 재료, 2차 전지 소재 등 생산, 판매 업체로 삼성 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공정용 화학 재료 등을 공급 중

솔브레인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4,063억 38위 7,778,566 31.62%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305,500 155,000

솔브레인 기업 개요

솔브레인은 2020년 7월 솔브레인홀딩스에서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및 전자 관련 화학재료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제조 및 판매로 발생하며, 2차전지 소재가 뒤를 잇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안정적으로 공급거래 중이며 국내외 생산 Line의 증설 및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신 솔브레인 관련 뉴스

저축은행이 자산 감소와 높은 연체율, 수익성 부진의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2010년대 후반~2020년대 초반 부동산 활황기에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적극적으로 늘렸다가 시장 열기가 식으면서 유탄을 맞은 여파다. 저축은행 주고객인 중저신용자는 경기 둔화기에 연체율이 튀는 경우가 많아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저축은행권 총자산은 118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점 대비 3.4% 감소했다. 2023년 말 이후 다섯 개 분기째 내리막이다.대출만 놓고 보면 감소율은 4.8%로 더 높다. 가계대출(4.6%)은 늘었지만 기업대출(-14.3%)이 두 자릿수 감소세를 이어간 탓이다. 같은 제2 금융권으로 분류되는 상호금융권 대출이 지난해 말 1% 증가해 플러스(+) 전환한 데 이어 올해 1~3월에도 2.5%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저축은행들은 영업에 몸을 사리고 있음에도 자산 건전성은 여전히 나쁘다. 지난 3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10.16%다. NPL은 3개월 이상 연체돼 대출 원금과 이자를 회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부실채권이다. 지난해 9월 말(10.56%)보다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기업여신의 NPL 비율이 15.07%로 특히 높다.2020년 말까지만 해도 3.4%에 머물렀던 연체율 또한 지난 3월 말 8.99%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2.12%에서 6.45%로 오른 상호금융권보다도 상황이 나쁘다.수익성도 부진하다. 지난 3월 말 기준 순자산이익률(ROA)은 0.15%에 그쳤다. 2023년 1분기 마이너스(-)가 된 뒤 아홉 개 분기 만에 반등하는 데 성공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4년 전 ROA는 2%를 넘겼다. 이조차 평균일 뿐 대원상호(-21.33%)와 대아상호(-17.88%), 솔브레인(-15.48%) 등 두 자릿수 마이너스인 곳이 적지 않다. 우리금융(-3.95%), IBK(-2.74%), 키움Yes(-1.36%) 등 대형 금융사 산하거나 페퍼(-2.83%), OSB(-1.43%) 등 규모가 큰 곳 중에서도 마이너스인 곳이 있다.금융 당국은 각종 영업 규제 완화로 저축은행의 활로를 열어주고 있다. 예·적금담보대출과 금융기관보증부대출 여신은 ‘정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금융지주 산하 저축은행은 정기 대주주 적격성 심사 대상에서 제외한다. 중소형 저축은행의 영업 구역 외 비대면 개인 신용대출 50%도 총여신에서 제외해주기로 했다.역량 있는 저축은행의 경우 몸집을 더 키울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박준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사실상 전국 단위로 영업하는 저축은행이 존재하는데 그 역할을 지역 금융사로 한정할 필요가 없다”며 “신용이 낮은 개인뿐 아니라 중저신용 기업에도 돈을 내주는 금융사로 육성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7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의 매도 공세 속에 이틀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26일(현지시간) 미국증시는 금리 인하와 AI(인공지능) 수요 확대 기대감 속에 상승했지만 한국증시는 이와 달리 힘 없는 모습을 보였다. 시장을 움직일 모멘텀(상승동력)이 뚜렷하지 않다는 평가 속에 최근 지수 상승에 따른 피로감 속에 차익실현매물이 늘어나면서 증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매매도 부진해 코스닥 거래대금은 이달 들어 처음으로 5조원 대에 머물렀다. 코스닥 업종별로는 제약바이오, 게임주 등이 혼조세를 나타냈고 반도체, 2차전

[파이낸셜뉴스] 26개 저축은행이 서민금융상품인 ‘햇살론 플러스’를 취급한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오는 30일 업무협약을 맺고 햇살론 플러스를 취급한다고 27일 밝혔다. 참여 저축은행은 OK, BNK, 우리금융, JT친애, 다올, CK, DH, 모아, 대명, 대백, 대한, 드림, 라온, 부림, 삼정, 삼호, 센트럴, 솔브레인, 스타, 아산, 오성, 오투, 인천, 조흥, 진주, 평택 등이다. 햇살론 플러스는 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서민금융기관 간 업무협약으로 제공하는 보증부 정책자금 대출이다. 자영업자에 대해 5% 중반의 금리로 제공한다. 지원 대상은 연소득 3500만원 이하 저소득 자영업자 또는 연소득 4500만원 이하이면서 개인신용평점(NICE 기준)이 744점 이하인 저신용 자영업자다. 운영자금은 최대 2000만원, 창업자금은 최대 5000만원까지 대출 가능하다. 단,

저축은행중앙회는 이달 30일 자영업자들의 금융비용 경감을 위해 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서민금융상품인 '햇살론 플러스'를 26개 저축은행에서 취급한다고 27일 밝혔다.햇살론 플러스는 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서민금융기관 간 업무협약을 통해 제공하는 보증부 정책자금 대출로서, 자영업자에 대해 5% 중반의 낮은 금리로 제공하는 대출상품이다. 지원 대상은 연소득 3500만원 이하의 저소득 자영업자 또는 연소득 4500만원 이하·개인신용평점(N..

저축은행중앙회는 경기침체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자영업자의 금융비용 경감을 위해 서민금융상품인 ‘햇살론 플러스’를 26개 저축은행에서 취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이달 30일 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업무협약을 맺는다. 참여 저축은행은 OK, BNK, 우리금융, JT친애, 다올, CK, DH, 모아, 대명, 대백, 대한, 드림, 라온, 부림, 삼정

솔브레인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863,356,156,458 2.29% 167,948,756,594 25.82% 119,611,878,137 -8.66%
2023.4Q 844,029,122,465 -22.63% 133,488,376,256 -35.53% 130,955,384,417 -21.90%
2022.4Q 1,090,867,400,000 6.54% 207,050,670,000 9.64% 167,672,940,000 10.15%
2021.4Q 1,023,913,360,000 117.82% 188,840,620,000 81.65% 152,220,800,000 134.61%

순매수량

개인: -8,085

기관: 7,925

외인: 160

누적 순매수량

개인: 80,796

기관: 32,825

외인: -113,621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01 -8,085 7,925 160
2025-06-30 -4,388 8,206 -3,818
2025-06-27 1,701 -1,509 -192
2025-06-26 175 -3,201 3,026
2025-06-25 872 2,693 -3,565
2025-06-24 -3,433 456 2,977
2025-06-23 8,112 3,370 -11,482
2025-06-20 -21,831 4,489 17,342
2025-06-19 3,167 1,518 -4,685
2025-06-18 -1,434 -962 2,396
2025-06-17 -2,188 -1,613 3,801
2025-06-16 -454 2,026 -1,572
2025-06-13 -3,517 -7,164 10,681
2025-06-12 3,273 -4,459 1,186
2025-06-11 -2,694 -3,318 6,012
2025-06-10 -1,612 -210 1,822
2025-06-09 4,250 -1,968 -2,282
2025-06-05 2,297 -7,242 4,945
2025-06-04 170 5,070 -5,240
2025-06-02 -3,248 4,837 -1,589
2025-05-30 4,955 -5,549 594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01 -23,912 3,395 20,517
2025-06-30 -15,827 -4,530 20,357
2025-06-27 -11,439 -12,736 24,175
2025-06-26 -13,140 -11,227 24,367
2025-06-25 -13,315 -8,026 21,341
2025-06-24 -14,187 -10,719 24,906
2025-06-23 -10,754 -11,175 21,929
2025-06-20 -18,866 -14,545 33,411
2025-06-19 2,965 -19,034 16,069
2025-06-18 -202 -20,552 20,754
2025-06-17 1,232 -19,590 18,358
2025-06-16 3,420 -17,977 14,557
2025-06-13 3,874 -20,003 16,129
2025-06-12 7,391 -12,839 5,448
2025-06-11 4,118 -8,380 4,262
2025-06-10 6,812 -5,062 -1,750
2025-06-09 8,424 -4,852 -3,572
2025-06-05 4,174 -2,884 -1,290
2025-06-04 1,877 4,358 -6,235
2025-06-02 1,707 -712 -995
2025-05-30 4,955 -5,549 594

솔브레인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312,904,012,139 18.01% 81.99%

솔브레인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HF, B.O.E, CMP Slurry, Precursor [반도체 소재] 75%
2차전지 전해액 [2차전지 소재 등] 16%
Etchant, Thin Glass, 유기재료 [디스플레이 소재] 9%

솔브레인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032 (4.41%)

최근 공매도 잔고: 41,640 (0.54%)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7-01 180,800 1,032 4.41%
2025-07-01 179,100 1,032 4.41%
2025-07-01 180,900 1,032 4.41%
2025-06-30 180,000 1,435 6.23%
2025-06-30 177,700 1,435 6.23%
2025-06-30 179,800 1,435 6.23%
2025-06-27 178,000 1,160 6.20%
2025-06-27 176,000 1,160 6.20%
2025-06-27 178,000 1,160 6.20%
2025-06-26 179,300 3,317 15.50%
2025-06-26 178,600 3,317 15.50%
2025-06-26 180,000 3,317 15.50%
2025-06-25 182,000 2,760 7.46%
2025-06-25 178,900 2,760 7.46%
2025-06-25 182,600 2,760 7.46%
2025-06-24 179,900 2,669 7.53%
2025-06-24 176,200 2,669 7.53%
2025-06-24 179,600 2,669 7.53%
2025-06-23 176,100 9,269 23.14%
2025-06-23 172,500 9,269 23.14%
2025-06-23 176,500 9,269 23.14%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6-27 178,000 41,640 0.54%
2025-06-27 176,000 41,640 0.54%
2025-06-27 178,000 41,640 0.54%
2025-06-26 180,000 40,352 0.52%
2025-06-26 178,600 40,352 0.52%
2025-06-26 179,300 40,352 0.52%
2025-06-25 182,600 38,781 0.50%
2025-06-25 178,900 38,781 0.50%
2025-06-25 182,000 38,781 0.50%
2025-06-24 179,600 37,399 0.48%
2025-06-24 176,200 37,399 0.48%
2025-06-24 179,900 37,399 0.48%
2025-06-23 176,500 39,575 0.51%
2025-06-23 172,500 39,575 0.51%
2025-06-23 176,100 39,575 0.51%
2025-06-20 183,400 31,047 0.40%
2025-06-20 168,200 31,047 0.40%
2025-06-20 183,900 31,047 0.40%
2025-06-19 169,100 39,814 0.51%
2025-06-19 168,600 39,814 0.51%
2025-06-19 169,300 39,814 0.51%

솔브레인 업종 내 비교

반도체/반도체장비 업종(153개) 연간 기준

항목 솔브레인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4,001.419 41,006.96 10위
PER(최근4분기) 13.516 13.84 56위
PBR 1.333 9.9 79위
ROE(최근4분기) 12.469 -3.62 3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111 1.38 35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9.453 -6.91 15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3.854 -14.75 30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2.617 74.14 136위
매출액(최근연도) 8,633.562 26,011.73 9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679.488 3,832.01 5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196.119 3,643.72 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