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위고비) : 비만치료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집중하며, GLP-1/GIP 수용체 작용제를 기반으로 한 연구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기업으로 부각됨.
큐라티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760억
988위
73,862,864
4.44%
헬스케어
생명과학/공학
2,095
516
큐라티스 기업 개요
당사는 2016년 7월 14일 설립된 기업으로 세계 최초의 결핵백신인 QTP101과 차세대 mRNA 코로나19 백신인 QTP104을 주력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위탁생산 및 위탁개발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기술이전 및 로열티 수익을 목표로 하는 여타 바이오벤처들과 달리 기술을 자체적으로 상업화하는 것에 최종 목적을 두고 있으며 오픈 이노베이션을 필요로 하는 개발역량이 부족한 업체를 대상으로 최종 제조 및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CMO 및 CDMO 사업을 통해 사업의 자립성 및 연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인벤티지랩이 베링거인겔하임과의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을 물질이전계약(MTA)으로 확장하고, 유럽에서 자사 기술을 활용해 제조할 수 있는 제조 시설 구축도 추진 중이다. 이에 기술이전 체결 기대감이 높아지며 인벤티지랩과 자회사 큐라티스의 주가가 동시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다만 업계에선 아직 초기 단계의 기술 검증과 생산 시설 구축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인벤티지랩은 최근 지난해 9월 베링거인겔하임과 체결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을 연장하며 미립구(마이크로스피어...
국내 비만치료제 관련 종목이 불기둥을 내뿜었다. 국내 증시가 지루한 횡보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제 특허 취득, 글로벌 빅파마 협약 등 단비 같은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심리에 불을 지피는 모습이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비만치료제 테마는 3.79% 상승했다. 6% 이상 오른 조선주에 이어 상승률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테마 내 35개 종목 가운데 23개가 올랐다. 인벤티지랩, 고바이오랩, 큐라티스 등은 가격제한폭까
코스피가 기관의 순매수에 강보합 마감했다.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7.80포인트(0.25%) 오른 3187.16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특별한 방향성 없이 보합권에 머물렀다. 전거래일 대비 0.20% 오른 3185.87에 출발한 코스피는 장 초반부터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에 하락으로 전환하면서 장 중 3165.77까지 밀리기도 했다. 하지만 기관의 순매도가 점차 줄어들자 오후들어 강보합을 지속했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이 2041억원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7일 13시 국내 증시에서 인벤티지랩이 등락률 30%로 상승 중이다. 현재가는 4만 745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1만 950원 상승했다.앱코는 등락률 29.99%를 기록하며 현재 1153원에 거래되고 있다. 고바이오랩은 29.96% 상승한 6160원을 나타내고 있다. 큐라티스는 25.92% 오르며 1200원에 거래 중이며, 넥사다이내믹스는 18.69% 상승한 1810원을 기록 중이다.순위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