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어 로고

스피어 (347700) 주가 및 종목 정보

스피어 실시간 주가

스피어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0,980 원
변동량 ▲ 180.00 원
변동률 1.67%
거래량 409,879
거래대금 4,582,122,305 원

스피어 일별 주가

스피어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23/2025 10,520 10,560 10,250 10,370 218,660 2,260,720,440
9/24/2025 10,440 10,440 9,900 10,040 224,165 2,255,457,155
9/25/2025 9,900 9,940 9,520 9,790 223,799 2,168,079,565
9/28/2025 10,050 10,110 9,520 10,090 161,318 1,593,018,110
9/29/2025 11,270 11,330 10,020 10,420 613,906 6,547,656,615
9/30/2025 10,470 10,670 10,120 10,150 249,322 2,572,757,835
10/1/2025 10,330 10,740 10,320 10,430 170,960 1,803,903,310
10/9/2025 10,530 10,540 9,910 10,440 245,906 2,489,389,195
10/12/2025 9,980 11,430 9,980 11,190 484,016 5,323,349,330
10/13/2025 11,250 11,480 10,720 10,800 276,030 3,061,941,655

관련 테마

  • 원격의료 : 디지털헬스 기술 플랫폼 및 솔루션 공급 업체로, 개인 건강기록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진료 플랫폼 "닥터콜" 등을 개발
  • AI의료 : 디지털 헬스 기술 플랫폼, 솔루션, 치료제 등의 개발과 공급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전립선암 발생을 예측하는 정밀 의료 AI 솔루션을 보유

스피어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4,236억 205위 39,228,419 1.32% IT/ICT IT서비스 17,280 2,600

스피어 기업 개요

라이프시맨틱스는 2012년 9월 설립된 기업으로 디지털 헬스, 디지털 치료제 등의 건강 정보 서비스 및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디지텔 헬스 기술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개인 건강 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건강관리 시장의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지속적인 B2B 계약을 통해 맞춤형 헬스 솔루션 제공서비스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최신 스피어 관련 뉴스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기술주 피로감에 매도 우위…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약세로 마감해. 엔비디아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인공지능(AI) 칩을 수출하는 길이 열리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오라클도 3% 넘게 반등. - 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3.36포인트(0.52%) 밀린 46,358.42에 거래를 마감해. 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61포인트(0.28%) 하락한 6,735.11, 나스닥종합지수는 18.75포인트(0.08%) 떨어진 23,024.63에 장을 마쳐. - 3대 주가지수가 모두 하락했으나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장 초반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한 뒤 조정을 받아. AI 산업의 총아 엔비디아는 호재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는 기술주에 대한 차익실현성 매도 우위 흐름이 보여. 엔비디아는 UAE에 그래픽처리장치(GPU) 칩을 수출할 수 있게 돼. 2) 中, 美에 일격…희토류 통제 '더 세게' -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재점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 글 싣는 순서 ①'손바닥 기지국'의 공포…KT, 수차례 '경고' 무시했다 ②정부 뚫렸을 땐 쉬쉬…기업만 처벌하다 화재까지 ③'보안' 외양간만 고친다…"자진신고 활성화해야" 올해 SK텔레콤 대규모 유심 해킹에 이어 KT와 LG유플러스에서도 해킹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는 징벌적 과징금 카드를 꺼내 드는 등 즉각 제재에 나섰다. 그러나 이동통신사 해킹은 빙산의 일각이다. 최근 공개된 해외 해킹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통신사뿐만 아니라 정부 주요 부처도 중국 측 해커에 의해 줄줄이 뚫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는 민감한 정부 업무 시스템 관련 자료까지 넘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킹이 국가 간 '사이버전쟁' 성격을 띤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부 부처 대상 해킹은 국가 안보와도 직결돼 있다. 그러나 정작 정부는 해킹 사태의 책임을 지지 않고 사태를 축소·은폐하기에 급급해, 기업만 이중잣대로 처벌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통신사 '줄해킹'에…정부 "징벌적 과징금 도입해야" 방망이 정부는 최근 연달아 발생한 이동통신사 해킹 사태에 대해 엄중히 처벌하겠다는 기조로 기업들과 각을 세워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8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을 콕 집어 "사건 축소, 은폐 의혹도 제기되고 있는데 분명히 밝혀서 책임을 명확히 물어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의 발언 이후 개인정보위원회는 개인 정보 유출과 관련해 최고경영자(CEO)의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의 대책을 내놨다. 기업에서 해킹이 발생해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나면 CEO가 처벌을 받도록 법을 개정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개인정보위는 SKT 유심 해킹 사태와 관련해 지난달 역대 최대 과징금인 1347억 9100만원을 부과하기도 했는데, 이는 기존의 최대 과징금이었던 구글 692억원, 메타 308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해킹 피해 기업에 대해 징벌적 과징금을 도입하겠다는 움직임도 일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제2차관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서 "IT 보안의 실패가 치명적인 결과들을 계속해서 낳을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해 징벌적 과징금도 검토해 볼 단계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국회도 발 빠르게 제재에 나섰다. 현행 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사업자가 자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정부는 현장 정밀조사를 실시할 수 없다. 이에 법을 개정해 정부가 해킹 의혹이 있는 기업에 대해 사전신고 전 즉각 조사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정부도 줄줄이 '해킹'…데이터 관리 부실해 화재까지 그러나 기업에 칼을 대는 정부도 본인들은 속수무책이라는 것이 더 큰 문제다. 통신사 대상 해킹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정부 주요 부처도 마찬가지로 줄줄이 뚫려 국가의 주요 정보가 유출되고 있다. 지난달 해외 보안 매체 '프랙(Phrack)'은 북한의 해킹 조직 '김수키'가 KT와 LG유플러스를 비롯해 국방부, 외교부, 국군방첩사령부, 대검찰청, 행정안전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를 지속적으로 해킹해 왔다고 공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행안부는 정부 내부 업무 네트워크 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이 공격당해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서가 유출됐다. 외교부는 이메일 플랫폼의 소스코드(설계도)가 해킹됐으며, 플랫폼의 사본 파일도 공개됐다. 통일부·해양수산부의 업무관리시스템 소스코드도 유출됐다. 방첩사에 대한 '스피어 피싱' 공격 흔적은 최근 6월 초까지 이어졌고, 대검찰청도 피싱을 시도한 기록이 남았다. 사법 기록은 물론 등기부등본 등 국민의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법원도 허술 하긴 마찬가지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는 북한 해커 조직인 '라자루스'가 법원 전산망을 장기간 해킹한 사실이 CBS노컷뉴스 취재 결과 밝혀져 심각한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고려대학교 김승주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과기정통부 청문회에서 "(통일부·해수부 직원) 계정이 두 개만 털린 것인지, 백도어가 더 있는지 등 피해 범위조차 파악이 안 되고 있다. 공인인증서 소스코드, 내부 메일 서버 소스코드까지 유출된 정황이 있다"며 "이 모든 문제가 한 명의 해커 PC에서 발견됐다. 보통 팀을 짜서 움직이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핵융합, 보안기술 등 국가 핵심 기술을 다루는 정부 기관도 수천 건의 해킹 공격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이정헌 의원실이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 23곳은 2016년부터 지난달까지 총 2776건의 해킹 시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 산하 우정사업본부는 집중적인 사이버 공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실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우정사업본부와 산하 기관에서 탐지된 사이버 침해 시도는 총 5만 2656건에 달했다. 이는 과기정통부와 소속, 산하기관 64곳 전체의 시도(5만 6076건)의 93.9%에 해당한다. 우정사업본부에 금융과 물류 기반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집중적인 표적이 된 것으로 보인다. 우정사업본부는 사이버 위협에 더해 최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인터넷 우체국과 금융 서비스까지 마비돼 큰 국민 불편을 초래하기도 했다. 국정자원 1개 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의 수백 개 전산 시스템이 먹통이 된 것이다. 정부가 사이버 위협에 치명적으로 노출된 데 더해, 물리적인 데이터 관리 및 복구 체계에도 큰 허점이 있다는 점을 방증한 셈이다. 그럼에도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예산을 올해 감소해 경각심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기정통부의 내년도 편성 예산 중 정보보호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48%로 지난해보다 오히려 0.07%p 감소했다. 정부, 이중잣대로 기업만 때리나…"정보보호 TF 꾸려야" 결국 스스로도 해킹을 당한 정부가 기업 제재에만 몰두하는 것은 이중잣대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기업에서 유출된 개인 정보보다 정부의 정보 유출이 심각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고려대학교 임종인 정보보호대학원 석좌교수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최근 정부 부처를 겨냥한 해킹은 일종의 사이버전쟁과 같은 국면이다. 극단적인 예지만 국내 첨단 무기 시스템이 해킹됐다고 하면 개인정보 유출 이상의 큰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라며 "어느 한쪽이 잘못했다고 책임만 묻기보다는 보안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합심해서 역량 제고를 노력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정보보호를 위한 정부의 컨트롤타워를 세워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승주 교수는 청문회에서 "총체적 난국을 헤쳐나가려면 정부부처 간 사이버보안 업무에 대한 정보교류와 협력체계가 유기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제대로 작동되는지 의문"이라며 "국가 정보보호 TF 긴급 구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 송파구(구청장 서강석)는 올 봄 조성한 미디어아트 시설 ‘더 스피어(The Sphere)’의 영향으로 석촌호수 일대 방문객이 지난해 5월 대비 한 달간 172만명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더 스피어’는 송파구가 지난 5월 석촌호수 서호에 설치한 직경 7m 공 모양 미디어아트다. LED 패널 3096개를 활용해 태양계, 명화 등 27종의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구의 자체 빅데이터(SKT 통신데이터) 분석 결과, 올해 5월 방

스피어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557,761,611 -23.08% -6,372,865,544 33.56% -17,001,454,365 -50.93%
2023.4Q 3,325,344,082 - -9,591,751,526 - -11,264,104,627 -
2022.4Q 2,818,920,000 -39.17% -5,609,469,000 7.09% -3,348,738,000 46.12%
2021.4Q 4,634,373,000 73.87% -6,037,732,400 -65.07% -6,215,407,600 33.23%

순매수량

개인: -4,898

기관: 32,030

외인: -23,514

누적 순매수량

개인: 558,946

기관: -301,534

외인: -245,925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4 -4,898 32,030 -23,514
2025-10-13 -197,980 1,156 196,866
2025-10-10 25,146 -18,671 -12,468
2025-10-02 -74,745 53,570 18,024
2025-10-01 -92,694 32,272 59,628
2025-09-30 100,254 -30,718 -62,212
2025-09-29 13,646 27,643 -35,191
2025-09-26 13,377 -33,894 17,740
2025-09-25 60,433 -43,457 -20,322
2025-09-24 -13,855 -47,046 66,374
2025-09-23 26,492 -56,973 35,418
2025-09-22 48,575 -69,900 16,563
2025-09-19 78,778 -72,101 -10,919
2025-09-18 -19,123 14,872 1,107
2025-09-17 -40,565 46,472 -6,555
2025-09-16 -11,176 18,626 -13,680
2025-09-15 -125,436 110,283 21,650
2025-09-12 -20,906 40,837 -21,342
2025-09-11 -10,907 24,295 -14,121
2025-09-10 -7,631 50,180 -41,076
2025-09-09 -40,489 24,791 15,499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4 -293,704 104,267 187,469
2025-10-13 -288,806 72,237 210,983
2025-10-10 -90,826 71,081 14,117
2025-10-02 -115,972 89,752 26,585
2025-10-01 -41,227 36,182 8,561
2025-09-30 51,467 3,910 -51,067
2025-09-29 -48,787 34,628 11,145
2025-09-26 -62,433 6,985 46,336
2025-09-25 -75,810 40,879 28,596
2025-09-24 -136,243 84,336 48,918
2025-09-23 -122,388 131,382 -17,456
2025-09-22 -148,880 188,355 -52,874
2025-09-19 -197,455 258,255 -69,437
2025-09-18 -276,233 330,356 -58,518
2025-09-17 -257,110 315,484 -59,625
2025-09-16 -216,545 269,012 -53,070
2025-09-15 -205,369 250,386 -39,390
2025-09-12 -79,933 140,103 -61,040
2025-09-11 -59,027 99,266 -39,698
2025-09-10 -48,120 74,971 -25,577
2025-09-09 -40,489 24,791 15,499

스피어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20,671,589,326 41.32% 58.68%

스피어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뉴트리션 제품 및 원료 48.94%
라이프레코드 [디지털헬스케어 기술플랫폼] 45.82%
데이터기반 금융상품 2.85%
AI기반 전문의료기기 2.36%
기타 0.03%

스피어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4,898 (1.21%)

최근 공매도 잔고: 250,670 (0.64%)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14 10,800 4,898 1.21%
2025-10-13 11,190 2,627 0.36%
2025-10-10 10,440 4,234 1.20%
2025-10-02 10,430 4,483 1.59%
2025-10-01 10,150 13,404 3.99%
2025-09-30 10,420 16,178 2.05%
2025-09-29 10,090 11,087 4.52%
2025-09-26 9,790 11,188 3.37%
2025-09-25 10,040 5,026 1.49%
2025-09-24 10,370 2,123 0.69%
2025-09-23 10,540 188 0.07%
2025-09-22 10,590 311 0.07%
2025-09-19 11,230 1,475 0.46%
2025-09-18 11,670 1,819 0.43%
2025-09-17 11,720 1,186 0.28%
2025-09-16 11,570 428 0.15%
2025-09-15 11,590 605 0.11%
2025-09-12 11,030 554 0.18%
2025-09-11 10,710 1,160 0.38%
2025-09-10 10,600 545 0.13%
2025-09-09 10,160 677 0.22%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0-10 10,440 250,670 0.64%
2025-10-02 10,430 228,002 0.58%
2025-10-01 10,150 224,861 0.57%
2025-09-30 10,420 216,955 0.55%
2025-09-29 10,090 205,204 0.52%
2025-09-26 9,790 205,802 0.52%
2025-09-25 10,040 209,197 0.53%
2025-09-24 10,370 216,136 0.55%
2025-09-23 10,540 223,521 0.57%
2025-09-22 10,590 237,736 0.61%
2025-09-19 11,230 250,791 0.64%
2025-09-18 11,670 253,230 0.65%
2025-09-17 11,720 250,933 0.64%
2025-09-16 11,570 238,383 0.61%
2025-09-15 11,590 239,150 0.61%
2025-09-12 11,030 252,007 0.64%
2025-09-11 10,710 250,126 0.64%
2025-09-10 10,600 239,400 0.61%
2025-09-09 10,160 236,538 0.60%
2025-09-08 10,370 236,712 0.60%
2025-09-05 10,680 238,120 0.61%

스피어 업종 내 비교

IT서비스 업종(101개) 연간 기준

항목 스피어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4,389.66 4,085.81 14위
PER(최근4분기) 20.969 5.89 28위
PBR 5.6 2.5 15위
ROE(최근4분기) -84.528 -6.6 95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249.158 -10.23 100위
순이익률(최근연도) -664.701 -17.74 101위
부채비율(최근연도) 42.846 95.89 64위
매출액(최근연도) 25.578 5,284.71 10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63.729 294.88 8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70.015 227.44 96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