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인공지능 의료기기인 DEEP:AI를 판매하는 것을 주 수익원으로 하며, 나아가 인공지능 효율화 툴 사용에 따른 수익을 추가적으로 획득하고 있고 현재까지 식약처 인허가를 획득한 DEEP:AI 제품은 총 17개로, 뇌혈관질환, 폐질환, 척추질환, 흉부질환 등 주요 질환 별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지능형로봇 : 의료 인공지능 사업, 산업 인공지능 사업, 인공지능 교육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인공지능 전문 기업
AI의료 : 의료진단, 판독 보조 및 질병 조기 진단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회사로 인공지능 의료기기인 DEEP:AI 를 판매, 메디허브와 의료 AI 플랫폼 협약 이력을 보유
딥노이드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041억
785위
22,536,788
0.36%
IT/ICT
IT서비스
9,090
4,640
딥노이드 기업 개요
딥노이드는 의료 진단ㆍ판독 보조 및 질병 조기진단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의료 인공지능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매출은 라이선스 제공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용역, 상품 판매가 뒤를 잇고 있다. 당사는 의료 분야에서 축적한 인공지능 기술 역량과 인공지능 개발, 배포, 활용의 전 과정을 효율화하는 툴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사업영역을 의료 및 보안 인공지능 사업과 인공지능 교육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다.
국내 1세대 의료 인공지능(AI) 개발업체 딥노이드는 글로벌 의료영상 AI 대회 'VLM3D Challenge'에서 2개 부문 1위, 1개 부문 3위 수상 성과를 거뒀다고 29일 밝혔다. 'VLM3D Challenge'는 지난 24일 대전에서 열린 '국제의료영상처리학회(MICCAI) 2025'의 공식 등록 챌린지다. 세계 최대 규모의 흉부 CT-판독문 쌍 오픈 데이터셋 'CT-RATE'를 활용해 3D 비전-언어(Vision-Language) 모델 기술의 혁신성을 겨루는 대회다. 총 4개 부
[파이낸셜뉴스] 국내 1세대 의료 AI 전문기업 딥노이드는 글로벌 의료영상 AI 대회 'VLM3D Challenge'에서 2개 부문 1위, 1개 부문 3위 수상 성과를 거뒀다고 29일 밝혔다.
'VLM3D Challenge'는 지난 24일 대전에서 열린 ‘MICCAI(국제의료영상처리학회) 2025’의 공식 등록 챌린지다. 세계 최대 규모의 흉부CT-판독문 쌍 오픈 데이터셋 ‘CT-RATE’를 활용해 3D 비전-언어(Vision-Language) 모델 기술의 혁신성을 겨루는 대회다.
총 4개 부문으로 구성됐으며, 각 부문의 과제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토대로 팀별 순위를 가린다.
딥노이드 연구원으로 구성된 ‘M4CT’팀(△박종권 △최교윤 △윤병무)은 자체 개발한 'M4CT’ 솔루션으로 3개 부문에 참여했다.
그중 △자가지도학습 기반 다중 이상소견 위치 탐지 (Self‑Supervised Multi‑Abnormality Localization)와 △다중 이상소견 분류(Multi‑A
[앵커] 딥노이드가 대한영상의학회에서 흉부 엑스레이 판독 업무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신모델을 공개했습니다. 내년 식약처 인증을 거쳐 상용화에 나설 예정인데 의료 현장 변화는 물론, 매출 성장도 기대됩니다.김효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십여 개 수준에 그쳤던 흉부 엑스레이 진단 범위가 40개 이상으로 대폭 확대됩니다.정면과 측면 영상을 동시에 분석해 정확도를 높였고,판독 소견 초안까지 자동 작성해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크게 줄였습니다. 딥노이드가 대한영상의학회에서 새롭게 공개한 흉부 X-ray AI 진단 'M4CX
[파이낸셜뉴스] 국내 1세대 의료 AI 전문기업 딥노이드는 이 회사 연구팀의 흉부 X-ray 영상 분석 기술 ‘RadZero’ 연구 논문이 국제 AI 학술대회 ‘NeurIPS(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025’에서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NeurIPS’는 AI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대회로, 매년 전 세계에서 2만여 편의 논문이 투고되어 약 25% 내외의 논문만이 엄격한 심사를 거쳐 채택된다. 이는 딥노이드가 개발한 ‘RadZero’ 기술이 학술적 우수성과 혁신성을 갖춘 연구로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번 성과는 딥노이드 연구팀(△박종권 △최교윤 △윤병무 △김수범)의 단독 연구 성과로 기업의 독자적인 기술력과 연구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딥노이드 연구팀은 오는 12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연구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