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젠셀이 교모세포종 파이프라인 ‘VC302’의 연구 결과(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피지훈 교수팀 공동연구)를 오는 17일부터 열리는 2025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포스터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유럽종양학회는 전 세계 암 연구자와 유럽 최대 규모이자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올해는 베를린에서 열린다. 이번 연구는 ‘동소성 교모세포종(orthotopic glioblastoma) 모델에서 iPSC 유래 GD2-CAR iNK 세포의 항종양 효능 평가’다. 공동연구진은 GD2 CAR-iNK 세포치료제인 ‘VC302’의 항암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암제 내성 교모세포종을 활용한 생체 암환경 모사 3D 스페로이드 모델’과 ‘교모세포종 이식 마우스 모델’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연구진은 기존 교모세포종 치료제에 내성을 지닌 GD2 양성 교모세포종 세포주와 GD2 CAR-iNK를 공배양한 지 4시간 만에 90% 이상 종양세포가 사멸되는 것을 확인했다.실제 종양과
바이젠셀이 교모세포종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VC302' 공동연구 성과를 '유럽종양학회 2025'(ESMO 2025)에서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ESMO는 전 세계 암 연구자와 전문의가 참여하는 유럽 최대 규모이자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오는 17일(현지시간)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다. 바이젠셀은 이번 학회에서 동소성 교모세포종 모델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유래 GD2 키메릭 항원 수용체-유도 자연살해(CAR-iNK) 세포의 항종양 효능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할 예정이다. 바이젠셀은소아 뇌종양 분야에 선도적 연구역량을 보유한 피지훈 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교수팀과 해당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진은 GD2 CAR-iNK 세포치료제인 VC302의 항암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암제 내성 교모세포종을 활용한 생체 암환경 모사 3D 스페로이드 모델과 교모세포종 이식 마우스 모델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3D 스페로이드...
바이젠셀이 iPSC유래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테라베스트와 간세포암 치료를 위한 GPC3 CAR 발현 iPSC 유래 NK세포치료제 ‘TB-420’에 대한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바이젠셀은 지난 4월 체결한 교모세포종을 비롯한 난치성 뇌종양 치료를 위한 GD2 CAR-NK세포치료제 ‘TB-302’(바이젠셀 파이프라인명 ‘VC-302’) 공동 연구개발에 이어, 신규 후보물질 ‘TB-420’ 도입과 함께 간세포암 치료제 개발분야에서도 테라
바이젠셀이 테라베스트와 간세포암 치료를 위한 NK세포치료제(GPC3 CAR 발현 iPSC 유래) ‘TB-420’에 대한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바이젠셀은 지난 4월 체결한 교모세포종을 비롯한 난치성 뇌종양 치료를 위한 GD2 CAR-NK세포치료제 ‘TB-302’(바이젠셀 파이프라인명 ‘VC-302’) 공동 연구개발에 이어, 신규 후보물질 ‘TB-420’ 도입과 함께 간세포암 치료제 개발분야에서도 테라베스트와의 협력을 이어 나가게 됐다. TB-420은 간세포암 특이적 항원인 GPC3를 인식해 선택적으로 간세포암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NK세포 활성 수용체를 통해 GPC3 미발현 간세포암과 간섬유화 유발 세포를 제거하는 기전을 가졌다. 또한, 염증인자를 매우 소량 분비해 세포치료 관련 부작용(CRS, ICANS 등)에서도 안전하다는 설명이다. 이번 계약으로 바이젠셀은 테라베스트에게 40억원의 계약금과 함께 개발 단계에 따라 마일스톤을 지급하며, 기술이전 및 자체매출 발생시 양사 간의 합의된 비율에 따라 수익금을 배분한다. 바이젠셀과 테라베스트는 ‘TB-302’과 ‘TB-420’의 임상 진입과 글로벌 기술이전을 목표로 개발을 가속화 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