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토 로고

플리토 (300080) 주가 및 종목 정보

플리토 실시간 주가

플리토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1,290 원
변동량 ▼ 50.00 원
변동률 -0.44%
거래량 72,205
거래대금 817,537,990 원

플리토 일별 주가

플리토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17/2025 12,130 12,140 11,660 11,710 129,457 1,534,699,035
8/18/2025 11,730 11,920 11,200 11,840 162,128 1,898,682,150
8/19/2025 12,040 12,090 11,450 12,000 239,350 2,815,115,245
8/20/2025 11,810 11,970 11,690 11,700 143,335 1,687,101,505
8/21/2025 11,590 11,900 11,340 11,530 125,642 1,444,543,565
8/24/2025 11,550 12,000 11,550 11,920 132,993 1,577,637,190
8/25/2025 11,730 11,800 11,480 11,510 112,567 1,303,588,505
8/26/2025 11,530 11,530 11,120 11,270 113,052 1,274,112,950
8/27/2025 11,150 11,370 11,140 11,340 62,442 701,870,760
8/28/2025 11,410 11,530 11,180 11,290 72,205 817,537,990

관련 테마

  • 챗GPT : 당사 플랫폼인 ‘아케이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리워드 지급 후 언어데이터가 AI의 자연어 처리 기술 개발에 활용되고 있음
  • 딥시크 : AI 기반 다국어 데이터 및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딥시크의 AI 모델이 언어 데이터 기반으로 발전함에 따라 수혜가 예상돼 관련주로 거론됨

플리토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863억 459위 16,505,451 3.37% IT/ICT IT서비스 14,810 3,702

플리토 기업 개요

플리토는 수집된 언어 데이터를검수 및 정제 후 판매하거나, 번역가 자원 및 자동화된 당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번역 데이터 구축 서비스를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종속기업은 중국, 일본에 해외 기업이 있다. 주요 매출은 데이터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플랫폼 서비스가 뒤를 잇고 있다. 주요 사업인 플랫폼 외에도 플랫폼 매출로 분류되는 영상 콘텐츠 관련 번역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신 플리토 관련 뉴스

[IT동아 남시현 기자] 8월 28일, 언어 데이터 전문 기업 플리토(Flitto)가 창립 13주년을 맞아 첫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플리토 2.0’ 비전과 초개인화 기술 현황을 선보였다. 플리토는 2012년 설립된 이래 집단지성 기반의 영어 번역 서비스 및 플랫폼 사업을 운영해 왔지만, GPT 등 대형언어모델(LLM)이 AI시장의 주요 관심사로 커지면서 언어 빅데이터 전문 기업, 실시간 번역 서비스 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이정수 플리토 대표가 플리토의 새로운 비전인 ‘플리토 2.0’을 소개 중이다 / 출처=IT동아 이정수 플리토 대표는 “플리토가 기자간담회를 개최하는 건 13년 만의 일이다. 시간이 꽤 지났지만 플리토는 초창기의 꿈을 계속 실현해나가고 있으며, 지난 4월에 라이브 트랜스레이션(실시간 통역) 기능을 출시해 영문 번역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덕분에 창업 12년 만에 사업이 성장궤도로 올라섰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AWS, 애플,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며, IT를 넘어서 의료, 금융, 교육, 문화 등에서도 쓰인다. 콘퍼런스를 넘어 직무 교육이나 강의, 유튜브 등 음성 및 영상 콘텐츠 전반으로 통역 서비스가 확장되는 추세”라며 발표를 시작했다. 플리토 성장의 핵심 동력, 라이브 트랜스레이션과 초개인화 라이브 트랜스레이션은 화자가 말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통역하는 기능이다. 입력 후 처리 시간이 걸리는 일반 번역과 달리 약간의 시간차만 두고 즉시 내용을 번역한다. AI 성능이 향상되고 있는 지금으로서는 어떤 기업이든 금방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빠르게 처리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정확성이다. 편의성, 확장성, 비용 효율, 신뢰성은 어떤 기업이든 쉽게 확보할 수 있지만, 맞춤형과 정확성은 기술의 영역이라고 말했다 / 출처=IT동아 이정수 대표는 “편의성, 확장성, 비용 효율, 신뢰성은 시중의 기술로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맞춤형 결과와 정확성 부분까지 가져가긴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기업의 연사자 이름이나 고유명사 등은 번역 기술만으로는 정확하게 만들기 어렵다. 이정수라고 해도 이종수라고 받아 적는 식이다. 이것을 정확히 하려면 관련된 기술이나 내용 등을 사전에 학습한 뒤, 청자가 누구인지 고려를 해서 번역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부분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초개인화다. 플리토의 초개인화는 번역을 사용할수록 개인이 말하는 특정맥락과 어조, 대화 방식에 맞춰는 실시간 번역과 교정 결과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번역 기술은 고유명사나 흐린 발음 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는데, 특정 데이터를 사전에 학습하는 식으로 내용을 정확하게 교정한다. 이정수 대표는 “기업용 서비스는 현재 초개인화가 적용돼 있다. 예를 들어 의료 분야만 해도 어려운 전문 용어나 사람마다 발음 등이 모두 다 다르다. 초개인화를 통해 사전에 논문이나 관련 자료 등을 사전에 입력하고 학습시키면 어려운 내용도 논문에 있는 그대로 전달한다”라고 설명했다. 즉석에서 기자 개인 링크드인 링크를 넣고 번역 시 필요한 고유명사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 출처=IT동아 이정수 대표는 초개인화를 설명하기 위해 기자의 인적사항에서 데이터를 추출해 보였다. 플랫폼 내에 해당 인사의 SNS나 기사, 논문, 주요 분야 등등을 찾아 입력하면 플리토 플랫폼 상에서 자동으로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언어에 대입하는 용어를 판단하고 고유명사 등을 확인하면 해당 대상에 최적화된 번역 환경이 완성된다. 실제로 라이브 트랜스레이션이 기자의 이름을 Si-hyun으로 기재했다가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이름을 보고 Si Hyeon으로 교정하는 등의 내용도 볼 수 있었다. 전문 영역일수록 해당 기능이 번역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데이터 확보는 1400만 명이 활동하는 플리토의 번역 커뮤니티를 활용한다. 이정수 대표는 “메타의 대형언어모델 Llama를 놓고 사람마다 말하는 발음이 다 다르다. 누구는 엘엘에이엠에이, 엘라마 라고 할 수 있다. AI는 이런 부분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커뮤니티를 통해 작은 보상을 걸고 Llama에 대한 간단한 발음 테스트를 맡긴다. 이런 내용을 통해 다양한 발음과 악센트를 훈련하고, 서비스의 정확도를 높인다”라고 말했다. 플리토는 2024년 라이브 트랜스레이션 출시 이후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설루션을 공급 중이다 / 출처=IT동아 이정수 대표는 초개인화의 목표는 기업 시장을 넘어서 개인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정수 대표는 “해당 기능은 궁극적으로 개인 시장을 향한다. 언어가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대화할 때 라이브 트랜스레이션의 초개인화 기능을 활용하면, 엔진 내에서 자동으로 각자의 학습 데이터를 공유해 대화의 정확도를 높인다. 일단은 기업 환경에 대응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개인 용도로도 제공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국립국어원과 협력, 독자 AI 파운데이션 사업에도 참여 AI 시장 쪽으로의 가능성도 계속 확장하고 있다. 플리토는 유일하게 5년째 국립국어원 말뭉치 구축 사업에 참여 중이며, 최근 국내 AI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와도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추론 작업에서 GPU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에도 나섰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구축 사업도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으로 참여한다. 이정수 대표는 “국립국어원에서 원하는 데이터 정제 정확도는 99.9%다. 그런데 데이터 정제에 필요한 언어가 크메르어, 타갈로그어 같은 어렵고 소수만 쓰는 용어들이다. 이를 위해 플리토는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RLHF)과 사고 사슬(CoT) 등을 동원해 데이터를 고도화하며, TTA 데이터품질인증도 취득했다”라면서, “이런 노력 덕분에 플리토의 데이터 매출의 75%는 해외로 나가고, 매출 규모도 미국과 일본 순서로 큰 상황”이라고 정리했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좌)와 이정수 플리토 대표(우)가 AI 기술 공동 연구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출처=플리토 한국형 AI를 만드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구축 사업에는 업스테이지의 컨소시엄으로 참여한다. 이정수 대표는 “업스테이지와는 긴밀한 관계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데이터의 중요성을 늘 피력해 왔고 2024년 양해각서 체결 시점부터 언어 데이터 등을 구매한 바 있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구축도 같은 맥락으로 참여했고, 다른 대기업에는 없는 스타트업만의 역량을 보여주자며 의기투합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퓨리오사AI와 협력에 나선 부분은 GPU 추론을 NPU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다. 특히 보안 작업을 위해 자체 서버에서 플리토 서비스를 운용하려는 글로벌 기업들도 있는데, 이 경우에 GPU보다 NPU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라면서, “현재 작업은 텍스트 쪽만 하고 있고, 장기적으로 비전인식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기능에서 엔비디아 GPU를 대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협업해 나갈 예정”이라고 답했다. 창립 13년 차 맞은 플리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때 플리토의 다음 행보는 ‘플리토 2.0’이다. 이정수 대표는 “가장 고품질의 언어 데이터를 갖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다음 목표는 데이터 자산을 더 고도화하고 품질을 더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 플리토 1.0을 지나서 2.0이라는 새로운 목표로 비상할 때다. 앞으로 더 많은 글로벌 뉴스와 성장에 관련된 소식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좌측부터 신기영 최고전략책임자, 김진구 최고데이터책임자, 이정수 최고경영자, 강동한 최고기술책임자, 윤민용 최고재무책임자 / 출처=IT동아 이정수 플리토 대표는 2024년 본지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언어 장벽이 없는 세상을 만들자는 플리토의 미션은 변하지 않는다. 그 과정에서 매출을 늘리고,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도 포함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을 고도화해 참여율을 높이고, 데이터의 품질을 높여야 한다”라는 다짐을 밝힌 바 있으며,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그 목표를 더욱 명확히 볼 수 있었다.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기술특례상장 1호 기업이라는 부담이 내내 플리토에게 부담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하지만 AI 시장의 성장 덕분에 플리토 역시 가파른 성장세에 진입했다. 플리토는 올해 3월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836만 달러(약 113억 원대) 규모의 언어 빅데이터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7월에도 471만 달러(약 64억 원) 규모의 AI 기반 언어모델 연구 및 개발용 데이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3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기록 중이다. 이제 플리토는 번역 플랫폼 기업에서 언어 빅데이터 기업으로 더 넓은 길을 걷기 시작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sh@itdonga.com)

[파이낸셜뉴스] "앞으로 플리토는 인공지능(AI) 기반 번역 솔루션의 초개인화 성능을 고도화하고 데이터 정제 수준도 높여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 이정수 플리토 대표는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창립 13주년 ‘플리토 퍼스트 미디어 인사이트 데이'에서 "이제는 애플, 구글, 메타, 인텔 등 글로벌 기업들이 유치하는 대형 행사에서 플리토 솔루션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플리토가 13년간 축적한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고 AI 시대에 발맞춘 새 비전을 선포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먼저 이 대표는 AI 데이터·번역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서 플리토가 그동안 거둔 성과들을 소개했다. 특히 4분기 연속 흑자, 국내 유일 글로벌 빅테크 대상 데이터 공

인공지능(AI) 언어 데이터 및 솔루션 전문 기업 플리토는 21일부터 22일까지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리는 '이노엑스 2025(InnoEx 2025)'에 AI 동시통역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노엑스 2025는 베트남 최대 규모의 IT·테크 혁신 기술 박람회다. 스타트업 경진대회, 글로벌 CEO 포럼, 투자 상담회, 마켓 세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최신 산업 트렌드와 스타트업 생태계를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 행사에는 한국, 베트남을 비롯한 다

플리토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0,300,590,454 14.30% -396,344,850 92.22% 809,330,984 111.91%
2023.4Q 17,761,267,682 30.22% -5,094,024,751 22.76% -6,792,796,311 -15.75%
2022.4Q 13,639,437,000 46.06% -6,595,175,400 -7.35% -5,868,323,000 -1.52%
2021.4Q 9,338,275,000 25.54% -6,143,736,300 -80.15% -5,780,518,400 -95.15%

순매수량

개인: -12,021

기관: 90

외인: 11,528

누적 순매수량

개인: -60,883

기관: 183,457

외인: -163,362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12,021 90 11,528
2025-08-28 -10,070 2,568 7,256
2025-08-27 1,540 1,528 -3,561
2025-08-26 18,406 -3,053 -15,513
2025-08-25 -51,125 1,595 48,150
2025-08-22 17,512 -359 -17,436
2025-08-21 27,071 -1,837 -25,385
2025-08-20 66,563 1,449 -68,595
2025-08-19 32 13,022 -10,119
2025-08-18 4,682 1,881 -6,593
2025-08-14 10,608 3,013 -17,054
2025-08-13 12,328 6,622 -17,397
2025-08-12 -338,254 5,503 329,995
2025-08-11 -19,171 3,460 10,547
2025-08-08 21,012 -44,880 23,676
2025-08-07 -71,637 15,251 55,387
2025-08-06 32,642 367 -33,025
2025-08-05 18,316 10,095 -28,407
2025-08-04 452,922 31,822 -487,874
2025-08-01 -80,799 47,764 21,256
2025-07-31 27,771 3,135 -29,813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128,328 99,036 -252,977
2025-08-28 140,349 98,946 -264,505
2025-08-27 150,419 96,378 -271,761
2025-08-26 148,879 94,850 -268,200
2025-08-25 130,473 97,903 -252,687
2025-08-22 181,598 96,308 -300,837
2025-08-21 164,086 96,667 -283,401
2025-08-20 137,015 98,504 -258,016
2025-08-19 70,452 97,055 -189,421
2025-08-18 70,420 84,033 -179,302
2025-08-14 65,738 82,152 -172,709
2025-08-13 55,130 79,139 -155,655
2025-08-12 42,802 72,517 -138,258
2025-08-11 381,056 67,014 -468,253
2025-08-08 400,227 63,554 -478,800
2025-08-07 379,215 108,434 -502,476
2025-08-06 450,852 93,183 -557,863
2025-08-05 418,210 92,816 -524,838
2025-08-04 399,894 82,721 -496,431
2025-08-01 -53,028 50,899 -8,557
2025-07-31 27,771 3,135 -29,813

플리토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9,565,081,522 30.35% 69.65%

플리토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수출 [데이터] 37.33%
내수 [데이터] 37.06%
내수 [플랫폼 서비스] 20.58%
수출 [플랫폼 서비스] 5.04%

플리토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63 (0.14%)

최근 공매도 잔고: 91,153 (0.55%)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29 11,290 163 0.14%
2025-08-28 11,340 3,279 3.18%
2025-08-27 11,270 2,227 1.07%
2025-08-26 11,510 2,600 1.34%
2025-08-25 11,920 1,315 0.59%
2025-08-22 11,530 2,601 1.21%
2025-08-21 11,700 13,350 6.19%
2025-08-20 12,000 10,679 2.73%
2025-08-19 11,840 5,062 2.18%
2025-08-18 11,710 759 0.37%
2025-08-14 12,090 2,493 0.97%
2025-08-13 12,040 900 0.14%
2025-08-12 12,570 22,118 0.62%
2025-08-11 11,270 1,522 0.58%
2025-08-08 11,480 1,575 0.35%
2025-08-07 11,640 12,507 1.74%
2025-08-06 10,980 24,252 5.15%
2025-08-05 11,210 18,098 2.24%
2025-08-04 11,440 38,215 0.50%
2025-08-01 11,870 13,357 0.84%
2025-07-31 10,760 2,374 0.96%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27 11,270 91,153 0.55%
2025-08-26 11,510 90,885 0.55%
2025-08-25 11,920 93,233 0.56%
2025-08-22 11,530 93,089 0.56%
2025-08-21 11,700 93,121 0.56%
2025-08-20 12,000 87,128 0.53%
2025-08-19 11,840 84,834 0.51%
2025-08-18 11,710 81,231 0.49%
2025-08-14 12,090 92,603 0.56%
2025-08-13 12,040 97,405 0.59%
2025-08-12 12,570 105,446 0.64%
2025-08-11 11,270 117,471 0.71%
2025-08-08 11,480 125,312 0.76%
2025-08-07 11,640 146,513 0.89%
2025-08-06 10,980 156,747 0.95%
2025-08-05 11,210 132,178 0.80%
2025-08-04 11,440 103,273 0.63%
2025-08-01 11,870 61,001 0.37%
2025-07-31 10,760 56,406 0.34%
2025-07-30 10,750 55,288 0.33%
2025-07-29 10,260 54,403 0.33%

플리토 업종 내 비교

IT서비스 업종(101개) 연간 기준

항목 플리토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871.718 3,942.44 32위
PER(최근4분기) 44.504 10.94 12위
PBR 13.736 2.4 1위
ROE(최근4분기) 10.512 -6.6 21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952 -10.23 66위
순이익률(최근연도) 3.987 -17.74 45위
부채비율(최근연도) 50.105 95.89 53위
매출액(최근연도) 203.006 5,284.71 86위
영업이익(최근연도) -3.963 294.88 65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8.093 227.44 6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