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로고

오리온 (271560) 주가 및 종목 정보

오리온 실시간 주가

오리온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07,800 원
변동량 ▲ 600.00 원
변동률 0.56%
거래량 111,036
거래대금 11,923,192,650 원

오리온 일별 주가

오리온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17/2025 109,500 109,600 107,500 108,200 132,529 14,324,131,350
8/18/2025 109,400 109,500 107,500 108,000 123,614 13,368,092,975
8/19/2025 108,000 108,000 102,700 107,000 197,819 20,875,449,750
8/20/2025 108,800 108,800 106,600 106,700 72,164 7,748,388,350
8/21/2025 107,700 108,400 106,200 106,300 93,712 10,036,519,600
8/24/2025 106,400 107,000 105,900 106,100 75,193 7,988,771,350
8/25/2025 106,000 107,900 105,800 107,500 105,921 11,366,502,750
8/26/2025 107,500 108,100 105,700 107,000 127,646 13,622,136,900
8/27/2025 107,000 107,900 106,200 107,200 98,543 10,552,846,950
8/28/2025 107,500 108,600 105,900 107,800 111,036 11,923,192,650

관련 테마

  • 수돗물 : 식음료 및 제과 전문 기업으로 초코파이, 닥터유, 마켓오 등 스낵류 브랜드와 생수인 "제주용암수"를 판매하는 기업
  • 환율하락 : 각종 과자류를 생산/판매하는 업체로 원재료(유지류, 분유류 등) 수입 비중이 높아 환율 하락 시 수혜주로 부각됨
  • 생수 : 음식료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생수 브랜드인 제주용 암수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업체
  • 제과 : 초코파이를 위시한 여러 파이 제품과 포카칩, 오징어땅콩 등 음식료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오리온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42,619억 99위 39,536,132 31.93% 음식료/식자재 식품 127,300 86,400

오리온 기업 개요

오리온은 2017년 6월 (주)오리온홀딩스에서 분할 설립된 기업으로 비스킷, 파이, 껌, 초콜릿, 스낵 등 과자류 제조와 판매, 수출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홍콩, 베트남 등 다수의 해외기업이 있다. 주요 매출은 비킷, 스낵, 파이 등의 제품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초코파이, 포카칩, 오징어 땅콩과 같은 우수한 장수 브랜드들의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매년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해 성공시키며 높은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간편대용식, 닥터유 제주용암수 판매 등 신규사업 추진을 지속하며 미래성장동력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

최신 오리온 관련 뉴스

미국 관세 충격으로 K푸드, 특히 과자의 대미 수출이 지난달 26%나 급감했습니다. 하지만 국내 제과업체 매출 1위인 오리온은 큰 영향 없이 해외에서 순항하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앞으로의 성장 전략은 뭔지 산업부 성낙윤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성 기자, 과자도 15% 관세가 붙는데, 영향 어느 정도입니까? 지난달 K푸드의 대미 수출 성장세가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꺾였습니다. 지난달 라면, 과자 등 가공식품을 포함한 농식품 대미 수출 금액은 약 1,900억원(1억3,900만 달러)으로, 전 년 동기 대비 6.7%(1천만 달러) 줄었습니다. 성장세가 줄어든 건 2년 2개월 만에 처음인데요. 특히 과자류는 280억원(2천만 달러)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급감했습니다. 라면(-17.8%), 인삼류(-13.4%), 소스류(-7.2%), 전체(-6.7%) 보다도 큰 폭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바이어들이 관세 부담을 느껴 발주량을 선제적으로 줄인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과자 등 소액제품은 철강·자동차 등보다 관세 민감도가 낮습니다. 2천원에 15% 붙는 것과, 2천만원에 15% 붙는 것은 소비자 체감 자

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농심·오리온 등 식품 기업 성장과 관련해 내수보다 해외 시장이 더 중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조 연구위원은 27일 한국경제TV에서 "농심의 경우 팬데믹 기간까지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다 작년부터 부침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최근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지역에서 신라면 투움바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일본 등 국가에서 메인 유통 업체 입점이 이뤄지고 있다"며 "미국에서는 월마트나 코스트코 같은 유통 채널에 들어가는 게 장기화 되는 모양새라 성공 여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은 "오리온은 해외 매출과 영업이익 비중이 60%가 넘는 K-푸드 대장주이나 최근 매출·수익성이 부진한 모습"이라며 "판매량 증진이 문제 해결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회사는 가성비 제품군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 핵심포인트 - 농심은 팬데믹 기간 동안 고성장을 구가하다 작년부터 부침을 겪고 있으며, 최근 신라면 툼바의 확장을 지속적으로 계획 중임. 미국에서는 메인스트림 채널 입점 과정이 장기화되고 있으나,

이병학 농심 대표이사 사장이 스낵 사업 확장을 위한 신제품 출시와 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사진은 3월21일 농심 제61기 정기주주총회에 나선 이병학 사장. [비즈니스포스트] 농심이 올해 스낵을 제2의 핵심 사업으로 키운다는 방침을 정한 가운데 국내 출시 스낵 신제품이 잇달아 판매 호조를 띠고 있다. 해외에서는 돈 한 푼 안 들이고 글로벌 마케팅 효과까지 톡톡히 보는 호재를 잇달아 맞았다.농심은 국내 라면시장에서 압도적 1위 업체지만 스낵시장에서는 오리온과 양강체제를 구축하며 치열한 시장점유율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병학 농심 대표이사 사장은 시장 환경에 발맞춘 스낵 신제품 출시와 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다.농심은 올해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통해 2030년 매출을 지난해 2배인 7조 원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해당 목표의 달성에는 스낵사업 확대 성공 여부가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21일 유통업계

오리온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3,104,338,576,129 6.59% 543,587,778,241 10.40% 533,229,552,422 38.51%
2023.4Q 2,912,358,051,475 1.36% 492,391,149,504 5.52% 384,981,955,249 -3.35%
2022.4Q 2,873,247,000,000 21.98% 466,654,500,000 25.14% 398,308,080,000 51.07%
2021.4Q 2,355,499,600,000 5.64% 372,909,900,000 -0.85% 263,661,810,000 -3.97%

순매수량

개인: 3,061

기관: -15,091

외인: 11,029

누적 순매수량

개인: 243,485

기관: -1,125,507

외인: 876,440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3,061 -15,091 11,029
2025-08-28 -343 -17,211 17,456
2025-08-27 18,265 -33,899 15,680
2025-08-26 -11,784 -8,176 19,577
2025-08-25 15,749 -18,579 363
2025-08-22 -2,230 -11,409 13,457
2025-08-21 4,406 -26,752 21,053
2025-08-20 10,374 7,446 -23,154
2025-08-19 4,338 -18,857 14,766
2025-08-18 14,209 -13,997 -2,573
2025-08-14 -22,762 -33,796 56,398
2025-08-13 13,112 -23,535 9,774
2025-08-12 24,680 -36,769 11,497
2025-08-11 41,347 -39,595 -6,431
2025-08-08 -9,778 -37,559 47,679
2025-08-07 9,368 -50,110 39,576
2025-08-06 -3,546 -24,710 28,196
2025-08-05 9,104 -41,083 30,913
2025-08-04 7,162 -5,925 -1,927
2025-08-01 -853 -32,775 33,529
2025-07-31 6,799 -18,358 11,666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130,678 -500,740 348,524
2025-08-28 127,617 -485,649 337,495
2025-08-27 127,960 -468,438 320,039
2025-08-26 109,695 -434,539 304,359
2025-08-25 121,479 -426,363 284,782
2025-08-22 105,730 -407,784 284,419
2025-08-21 107,960 -396,375 270,962
2025-08-20 103,554 -369,623 249,909
2025-08-19 93,180 -377,069 273,063
2025-08-18 88,842 -358,212 258,297
2025-08-14 74,633 -344,215 260,870
2025-08-13 97,395 -310,419 204,472
2025-08-12 84,283 -286,884 194,698
2025-08-11 59,603 -250,115 183,201
2025-08-08 18,256 -210,520 189,632
2025-08-07 28,034 -172,961 141,953
2025-08-06 18,666 -122,851 102,377
2025-08-05 22,212 -98,141 74,181
2025-08-04 13,108 -57,058 43,268
2025-08-01 5,946 -51,133 45,195
2025-07-31 6,799 -18,358 11,666

오리온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4,138,475,038,306 13.14% 86.86%

오리온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제품 86%
상품 10.8%
소계 [기타] 3.2%

오리온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26,587 (21.76%)

최근 공매도 잔고: 326,163 (0.8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29 107,800 26,587 21.76%
2025-08-28 107,200 21,075 19.76%
2025-08-27 107,000 32,344 23.40%
2025-08-26 107,500 22,528 19.66%
2025-08-25 106,100 24,944 31.19%
2025-08-22 106,300 23,851 24.28%
2025-08-21 106,700 19,978 25.90%
2025-08-20 107,000 54,920 25.58%
2025-08-19 108,000 32,894 25.76%
2025-08-18 108,200 25,848 18.33%
2025-08-14 109,500 35,342 16.86%
2025-08-13 108,500 30,347 26.32%
2025-08-12 108,700 37,287 23.58%
2025-08-11 109,500 40,614 27.65%
2025-08-08 112,000 23,790 18.77%
2025-08-07 111,100 23,238 18.66%
2025-08-06 110,800 30,584 32.66%
2025-08-05 109,700 6,003 5.33%
2025-08-04 109,500 9,864 9.18%
2025-08-01 109,500 18,864 15.55%
2025-07-31 111,300 11,002 10.89%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27 107,000 326,163 0.82%
2025-08-26 107,500 302,664 0.77%
2025-08-25 106,100 297,070 0.75%
2025-08-22 106,300 281,532 0.71%
2025-08-21 106,700 265,785 0.67%
2025-08-20 107,000 251,270 0.64%
2025-08-19 108,000 220,782 0.56%
2025-08-18 108,200 219,004 0.55%
2025-08-14 109,500 205,514 0.52%
2025-08-13 108,500 191,832 0.49%
2025-08-12 108,700 176,748 0.45%
2025-08-11 109,500 164,132 0.42%
2025-08-08 112,000 151,926 0.38%
2025-08-07 111,100 146,795 0.37%
2025-08-06 110,800 135,053 0.34%
2025-08-05 109,700 123,248 0.31%
2025-08-04 109,500 121,517 0.31%
2025-08-01 109,500 115,871 0.29%
2025-07-31 111,300 111,404 0.28%
2025-07-30 111,500 116,141 0.29%
2025-07-29 110,900 104,202 0.26%

오리온 업종 내 비교

식품 업종(41개) 연간 기준

항목 오리온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42,382.734 8,659.66 2위
PER(최근4분기) 8.043 6.31 20위
PBR 1.213 1.21 10위
ROE(최근4분기) 16.565 4.11 4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166 2.31 24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7.511 4.98 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7.177 3.23 2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0.548 111.92 39위
매출액(최근연도) 31,043.386 19,564.96 10위
영업이익(최근연도) 5,435.878 1,168.25 2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5,332.296 725.31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