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드래곤 로고

스튜디오드래곤 (253450) 주가 및 종목 정보

스튜디오드래곤 실시간 주가

스튜디오드래곤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43,100 원
변동량 ▲ 50.00 원
변동률 0.12%
거래량 54,488
거래대금 2,349,335,475 원

스튜디오드래곤 일별 주가

스튜디오드래곤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23/2025 47,100 47,150 45,800 46,600 66,472 3,075,308,175
9/24/2025 46,050 46,450 45,550 45,750 68,192 3,120,238,425
9/25/2025 45,750 45,950 44,750 44,850 68,990 3,119,146,150
9/28/2025 45,000 45,950 45,000 45,550 38,556 1,753,539,450
9/29/2025 45,550 45,550 44,550 44,850 48,366 2,166,626,525
9/30/2025 44,850 45,450 44,650 44,700 62,082 2,784,542,750
10/1/2025 45,100 45,100 44,250 44,250 88,581 3,931,835,250
10/9/2025 44,300 44,550 43,800 43,850 62,069 2,732,932,825
10/12/2025 43,600 43,800 42,900 43,550 67,891 2,938,256,275
10/13/2025 43,550 43,850 42,900 43,050 84,902 3,668,657,925

관련 테마

  • 엔터테인먼트 : CJ 그룹 계열의 드라마 등 방송 영상물 제작업체로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 사업 등을 영위
  • OTT서비스 : CJ 그룹 계열의 드라마 제작 업체로 관련주로 부각된 기업
  • 더글로리 :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는 기업으로 ‘더 글로리’의 제작을 맡은 ‘화앤담픽쳐스’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음.
  • 오징어게임 : 넷플릭스와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며, '오징어 게임' 시즌 2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업

스튜디오드래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2,955억 54위 30,058,498 10.41%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57,000 36,100

스튜디오드래곤 기업 개요

스튜디오드래곤은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방송국과 미디어 플랫폼, 해외시장에 공급하고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매출은 드라마 사업부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시그널",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 "사랑의 불시착", "스위트홈", "빈센조" 등 완성도 및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전통 미디어 뿐만 아니라 디지털, OTT 등 뉴미디어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며 드라마 산업을 리딩하고 있다.

최신 스튜디오드래곤 관련 뉴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4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1.4%나 급락하며 840선으로 밀려났다. 중국 상무부의 한화오션 미국 계열사 제재 발표에 따른 미중 무역갈등 우려 재점화 등으로 미중 갈등 우려가 재부각되며 한국증시를 냉각시켰다. 특히 삼성전자의 호실적 발표에도 코스피 시장에서 반도체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몰린 가운데 코스닥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주들도 약세를 나타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은 전일 대비 0.45% 상승한 44만6000원에 거래를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추석 장기 연휴를 지내고 문을 연 10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3거래일째 상승하며 860선 재진입을 눈앞에 뒀다. 연휴 휴장 기간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급등한 데다 AI(인공지능) 수요 기대감 속에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가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반도체 관련 이슈가 한꺼번에 반영되면서 한국증시에도 훈풍이 됐다. 다만 시장의 무게중심이 코스피 반도체 대형주로 쏠린 가운데 코스닥 지수 상승폭은 코스피에 미치지 못했다. 코스닥 업종별로는 반도체, 로봇주 등이 상승했다.한국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큰 사랑을 받았던 '폭군의 셰프'(연출 장태유, 극본 fGRD, 기획 스튜디오드래곤, 제작 필름그리다·정유니버스) 장태유 감독이 일문일답을 공개했다. '폭군의 셰프' 측은 큰 사랑을 보내준 시청자들을 위해 장태유 감독의 일문일답을 3일 공개했다. 장 감독은 종영 소감을 시작으로 이처럼 뜨거운 반응을 예상했는지, 요리 장면에서 특히 신경 쓴 부분, 화제가 된 CG 장면 연출 이유, 로맨스 연출 시 중점을 둔 부분, 배우들 이야기 등 다채로운 내용을 전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1. 첫 방송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던 '폭군의 셰프'가 마침내 막을 내렸습니다. 유종의 미를 거두신 소감은 어떠신가요? =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셰프가 만드는 정성스러운 음식이 사람을(왕을) 변화시키는 드라마, 한국의 본격 요리 사극을 해보자는 마음으로 시작한 이 드라마가 끝까지 많은 사랑을 받게 되어서 너무 기쁘고 보람을 느낍니다. '대장금'에 비교되는 것도 반갑습니다. 2. 셰프와 폭군의 로맨스부터 각종 먹음직스러운 음식들, 궐 내 세력 암투까지 다양한 이야기로 뜨거운 사랑을 받았습니다. '폭군의 셰프'가 이토록 사랑받은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이러한 반응을 예상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 대중성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준비했지만, 이렇게 뜨거운 사랑을 받을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순한 맛, 아는 맛 드라마가 나와서 그런 게 아닐까요? 특히 요리하는 장면, 먹는 장면을 공들여 찍으니, 마치 먹방을 보는 듯한 재미에 시청자들이 관심과 애정을 주신 것 같습니다. 궁중 암투는 원래 인기 있는 소재입니다. 익숙하지만 새로운 시각으로 표현된 '폭군의 셰프' 속 궁중 암투는 젊은 사람들이나 역사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도 보기 쉽게 각색이 되었기 때문에 대중들에게 인기를 끈 것 같습니다. 3. 해외에서의 반응 역시 폭발적이었습니다. tvN 드라마 최초로 넷플릭스 비영어 TV쇼 2주 연속 1위를 기록할 뿐만 아니라 외신에서도 '대장금' 이후 K-푸드를 다시 한번 조명하는 드라마로 관심을 모았는데요. 해외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또 특별히 기억에 남는 시청자분들의 반응이 있었다면 어떤 것일지요? = 음식은 언어나 문화가 달라도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소재라 해외 시청자분들도 비교적 쉽게 몰입할 수 있었던 것 같고, 요리 대회에서 우승을 거머쥔 프렌치 셰프 연지영(임윤아)의 입장을 따라가며, 현대적인 요리 지식으로 무장된 셰프가 과거에 와서 프렌치 요리를 궁중 요리와 섞어서 새로운 요리를 만들어내는 과정에 자연스럽게 흥미를 느낀 것 같습니다. 해외 시청자분들이 드라마 속의 요리를 재현한 SNS 게시물들이 기억이 납니다. '폭군의 셰프'를 통해 K-푸드에 대한 진입장벽이 한층 더 낮아진 것 같아 기쁩니다. 4. 첫 방송 전 이 드라마를 보며 시청자분들이 배고픔을 느꼈으면 좋겠다고 말씀해 주신 바 있는데요. 실제로 방송을 하는 동안 극 중 등장하는 메뉴들을 보며 허기가 진다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시청자분들의 야식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음식, 또는 요리 경합 장면에서 특별히 신경 쓰신 연출 포인트가 있다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어떤 순간에, 어떤 음식을, 어떻게 먹어야 가장 맛있어 보일지 계속 고민했습니다. 1회의 고추장 버터 비빔밥은 주인공 연지영이 타임슬립 직후 만난 이헌(이채민)과 온갖 고초를 겪은 후에 지저분한 몰골로 한데 모여 나눠 먹는, 드라마에서 가장 소박하고 평범한 음식입니다. 시청자들이 잘 아는 음식인 만큼 과거에서 식재료를 구하는 장면을 공들여 찍어 호기심을 유발하려고 했고 고추장과 버터를 넣고 슥슥 비비거나 수란을 만들고 터뜨리는 장면을 특수 촬영으로 찍어 아는 맛에서 오는 허기를 자극하려고 했습니다. 요리 경합 장면에서는 조리법과 최종 플레이팅에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연지영이 '플람베'라는 조리법을 많이 활용하는데 4회에서는 혼자 선보인다면, 8회에서는 명나라 숙수인 아비수(문승유)와 경쟁하듯 선보이기도 합니다. 눈요기와 함께 그렇게 완성된 요리에 대한 기대감을 올리기 위한 장면입니다. 연지영의 요리는 히어로물에서 주인공의 초능력과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한눈에 보기에 아름다우면서도 먹음직스러운 요리여야 했기에 최종 플레이팅이 나오기까지 자문 셰프님들과의 수많은 회의와 시연을 거치며 연지영의 필살기를 완성했습니다. 연지영과 경쟁하는 숙수들의 플레이팅도 중요해서 4회에 등장하는 궁중 요리인 어만두와 연포탕도 다채로운 색감, 색다른 배치가 돋보입니다. 또 명나라 숙수들의 플레이팅 포인트는 '식재료 카빙(조각)'이었어요. 오이를 조각해 만든 꽃 장식한 '궁보계정', 무를 깎아서 만든 용을 띄운 '불도장' 등 요리에 화려함을 더했지요. 5. 요리 장면 이외에도 음식을 먹고 난 후 나오는 독특한 CG(컴퓨터그래픽) 효과와 유쾌한 배경음악이 시청자분들의 폭소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시청자분들 중 일부는 "CG 보려고 본다"며 '폭군의 셰프'만의 독특한 관전 포인트로 꼽기도 했는데요. 이러한 CG는 어떻게 고안하시게 된 것일지, 촬영 현장의 에피소드를 말씀해 주신다면요? = 요리 드라마를 준비하면서, 요리는 만드는 행위만큼이나 먹는 행위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이헌을 비롯해 500년 전의 인물들이 지영의 현대적인 파인다이닝 요리를 처음 맛보고 느끼는 충격적인 식감에 대한 감상을 어떻게 전달하면 좋을까, 고민하다 재밌는 CG 효과를 넣기로 결심했습니다. 현장에서 처음으로 이헌이 수비드 요리를 먹을 때, MSG 맛에 대한 놀라움을 불꽃놀이 펑펑 터지는 환희의 감정으로 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직선 달리를 깔고 이헌을 이동차에 앉혀놓고 카메라와 같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조명을 확 바꾸어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한 듯한 착각이 들게 한 장면이 가장 공들인 장면 중 하나였습니다. 그밖에 오트 퀴진을 처음 맛보는 이헌이 '사슴고기 비앙드'를 먹을 때, 초원으로 공간 이동을 해서 들판을 뛰노는 사슴을 보며 저절로 파안대소를 하는 장면은 실제로 전남의 한 벌판에 가서 찍었지요. 포인트는 거대한 사슴이었습니다. 초현실적인 느낌을 주려고, 실제보다 거대한 코끼리 만한 사슴을 등장시켰습니다. 그만큼 맛에 대한 충격이 크다는 거지요. 6. 연지영과 이헌의 로맨스 장면은 아름다운 영상미로도 많은 호평을 받았었습니다. 특히 운영정에서의 고백 장면이 많은 사랑을 받았는데요. 연지영과 이헌이 처음으로 마음을 확인한 뒤 나눈 입맞춤인 만큼 연지영과 이헌의 로맨스 텐션을 극대화하기 위해 연출적인 부분에서 고민하신 지점이 있다면 어떤 것일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 내내 망운록을 찾아 현대로 돌아가려 했던 연지영이 처음으로 자신의 마음을 깨닫고 이헌과 입을 맞추는 장면인데, 이헌이 술김에 입을 맞췄던 4회 엔딩과 같은 운영정으로 설정했습니다. 같은 공간으로 설정해서 감정의 무게와 깊이가 성숙해졌다는 변화를 더 잘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키스는 서로의 마음이 맞아서 이루어진 완벽한 키스였기 때문에 온 세상이 축복하듯이 벚꽃이 나부낍니다. 축제 분위기인 거지요. 7. 극의 중심을 이끌어준 임윤아, 이채민 배우에 대한 관심도 뜨겁습니다. 미식 판타지 로맨틱코미디를 함께 만들어온 두 배우에게 지금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요? = 요리와 사극, 둘 중 하나만 소화하기에도 벅찰 텐데, 추운 겨울부터 무더운 여름까지 요리와 사극, 코미디와 로맨스, 어느 하나 소홀히 하지 않고 훌륭히 따라와 주었습니다. 이제는 임윤아, 이채민 배우가 아닌 연지영과 이헌을 상상할 수 없습니다. 너무너무 잘 해줘서 고맙고 감사하다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8. 임윤아, 이채민 배우 이외에도 수라간 숙수들, 이헌의 사람들, 숙적 등 막강한 존재감을 가진 배우분들의 연기 호흡이 빛났다는 반응도 많습니다. 이분들과의 호흡은 어떠셨는지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 수라간은 연지영의 주요 공간인 만큼 기획 단계부터 숙수들의 역할과 성격, 연지영과 숙수들 간의 케미스트리를 잘 보여주기 위해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사극 특성상 대부분 지방 촬영이고 요리 대결은 한번 찍으면 일주일 이상 소요되곤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배우들 사이에 생긴 끈끈한 정이 점점 하나가 되는 연지영과 수라간 숙수들의 관계에도 묻어나온 것 같습니다. 수혁(박영운), 창선(장광), 최상궁(박준면)은 폭군 이헌의 곁을 묵묵히 지켜주는 사람들입니다. 대사가 없어도 이헌을 바라보는 표정 하나하나에 많은 감정이 실립니다. 특히 최상궁은 연지영의 요리를 기미하는 순간이 매우 코믹하면서도, 가족처럼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 줍니다. 그 마음을 시청자분들도 알아주신 것 같아 기쁩니다 제산대군(최귀화)은 내내 바보 행세를 하다 드라마의 후반에서야 왕이 되고 싶은 욕심을 터트리는 인물인데 강목주(강한나)는 끝내 제산대군을 배신하지 않고, 비극적인 결말을 맞습니다. 5회 슈니첼 씬과 반정이 시작된 후반부는 톤이 굉장히 다른데 제산대군 역의 최귀화, 강목주 역의 강한나 배우가 그 밸런스를 굉장히 잘 맞춰주었습니다. 9. '폭군의 셰프'가 감독님께는 어떤 드라마로 남았는지, 또 시청자분들에게는 어떤 드라마로 기억되었으면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5번째 사극이지만, 마치 처음 사극을 한 것처럼 고되고 힘든 작업이었습니다. 음식 드라마는 사극 현대극을 떠나서 완전히 새로운 장르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도전으로 이루어낸 화제성과 시청률의 성취에는 충분히 만족스럽지만 연출자로서 아쉬웠던 부분들 부족했던 부분들에 대한 반성도 많이 되는 드라마였습니다. 고추장 버터 비빔밥으로 포문을 열며 강렬한 첫입을 선보인 저희 드라마를 사랑해 주신 시청자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드라마는 끝났지만 문득 '폭군의 셰프'의 한 장면을 떠올리면 웃음이 새어 나오는, 오래오래 기분 좋은 끝맛으로 남기를 바랍니다. 10. 마지막으로 '폭군의 셰프'를 시청해 주신 분들을 향한 인사 말씀 부탁드립니다. = 매회 수라상을 올리는 마음으로 드라마를 만들었습니다. 오늘도 드라마를 맛있게 즐겨주신 시청자분들 덕분에 행복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머리 숙여 깊이 감사드리고, 오늘 밤도 석수라 잘 챙겨 드시길 바랍니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이틀째 상승하며 850선을 회복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오픈AI의 700조원 규모 인공지능(AI) 프로젝트에 핵심 협력사로 참여한다는 소식이 한국증시 전반에 훈풍으로 작용했다. 다만 시장의 무게 중심이 코스피 대형주로 쏠린 가운데 코스닥 지수 상승폭은 코스피에 미치지 못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주들이 상승한 반면 로봇주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은 전일

스튜디오드래곤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550,080,744,350 -26.96% 36,393,818,100 -34.86% 33,488,155,067 11.32%
2023.4Q 753,145,749,935 7.91% 55,871,055,692 -14.33% 30,082,921,099 -40.51%
2022.4Q 697,945,800,000 43.28% 65,219,473,000 24.05% 50,564,997,000 29.49%
2021.4Q 487,113,520,000 -7.35% 52,576,805,000 7.04% 39,048,170,000 31.83%

순매수량

개인: 20,436

기관: 11,920

외인: -32,551

누적 순매수량

개인: 807,886

기관: -195,506

외인: -623,274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5 20,436 11,920 -32,551
2025-10-14 30,960 -3,494 -27,559
2025-10-13 28,964 -7,771 -21,270
2025-10-10 18,325 -7,628 -12,051
2025-10-02 50,890 -16,009 -35,253
2025-10-01 13,164 -6,956 -6,297
2025-09-30 22,067 -13,042 -9,532
2025-09-29 -2,216 682 1,422
2025-09-26 13,843 -10,529 -3,394
2025-09-25 16,739 -6,438 -10,136
2025-09-24 -1,514 3,544 -1,207
2025-09-23 11,193 4,004 -15,313
2025-09-22 -14,586 13,440 1,147
2025-09-19 -6,481 -956 7,547
2025-09-18 -19,644 9,366 10,258
2025-09-17 13,316 -12,061 -1,343
2025-09-16 7,435 -31,920 24,425
2025-09-15 4,377 -14,237 9,830
2025-09-12 13,642 -12,735 -261
2025-09-11 -48,043 70,351 -22,495
2025-09-10 5,648 6,003 -6,866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4 171,340 -39,850 -132,187
2025-10-13 140,380 -36,356 -104,628
2025-10-10 111,416 -28,585 -83,358
2025-10-02 93,091 -20,957 -71,307
2025-10-01 42,201 -4,948 -36,054
2025-09-30 29,037 2,008 -29,757
2025-09-29 6,970 15,050 -20,225
2025-09-26 9,186 14,368 -21,647
2025-09-25 -4,657 24,897 -18,253
2025-09-24 -21,396 31,335 -8,117
2025-09-23 -19,882 27,791 -6,910
2025-09-22 -31,075 23,787 8,403
2025-09-19 -16,489 10,347 7,256
2025-09-18 -10,008 11,303 -291
2025-09-17 9,636 1,937 -10,549
2025-09-16 -3,680 13,998 -9,206
2025-09-15 -11,115 45,918 -33,631
2025-09-12 -15,492 60,155 -43,461
2025-09-11 -29,134 72,890 -43,200
2025-09-10 18,909 2,539 -20,705
2025-09-09 13,261 -3,464 -13,839

스튜디오드래곤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979,741,966,023 21.62% 78.38%

스튜디오드래곤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드라마 78.2%
드라마 [드라마 편성] 20.45%
간접광고, DVD, OST, MD상품, 매니지먼트 [기타] 1.35%

스튜디오드래곤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8,772 (7.58%)

최근 공매도 잔고: 196,931 (0.66%)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14 43,050 8,772 7.58%
2025-10-13 43,550 8,930 9.33%
2025-10-10 43,850 7,687 8.87%
2025-10-02 44,250 4,632 3.99%
2025-10-01 44,700 2,401 3.03%
2025-09-30 44,850 1,568 2.44%
2025-09-29 45,550 1,135 2.06%
2025-09-26 44,850 972 1.03%
2025-09-25 45,750 1,243 1.40%
2025-09-24 46,600 1,562 1.61%
2025-09-23 46,950 2,154 1.96%
2025-09-22 47,000 1,849 1.19%
2025-09-19 46,900 3,466 3.41%
2025-09-18 46,700 670 0.70%
2025-09-17 46,500 5,371 4.50%
2025-09-16 46,200 2,915 2.39%
2025-09-15 46,450 3,363 3.99%
2025-09-12 46,200 5,828 5.30%
2025-09-11 46,200 7,968 3.48%
2025-09-10 45,150 9,045 8.07%
2025-09-09 44,900 6,057 8.50%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0-10 43,850 196,931 0.66%
2025-10-02 44,250 186,086 0.62%
2025-10-01 44,700 171,971 0.57%
2025-09-30 44,850 180,176 0.60%
2025-09-29 45,550 178,144 0.59%
2025-09-26 44,850 183,876 0.61%
2025-09-25 45,750 187,207 0.62%
2025-09-24 46,600 193,151 0.64%
2025-09-23 46,950 201,447 0.67%
2025-09-22 47,000 210,434 0.70%
2025-09-19 46,900 218,339 0.73%
2025-09-18 46,700 224,903 0.75%
2025-09-17 46,500 233,112 0.78%
2025-09-16 46,200 237,612 0.79%
2025-09-15 46,450 249,747 0.83%
2025-09-12 46,200 257,399 0.86%
2025-09-11 46,200 262,688 0.87%
2025-09-10 45,150 258,882 0.86%
2025-09-09 44,900 254,425 0.85%
2025-09-08 45,000 253,133 0.84%
2025-09-05 44,900 252,210 0.84%

스튜디오드래곤 업종 내 비교

엔터테인먼트 업종(52개) 연간 기준

항목 스튜디오드래곤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3,090.476 5,592.43 6위
PER(최근4분기) 346.523 29.11 2위
PBR 1.705 1.79 19위
ROE(최근4분기) 4.627 -11.38 9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6.616 -11.22 11위
순이익률(최근연도) 6.088 32.12 14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5.132 79.01 36위
매출액(최근연도) 5,500.807 3,703.39 10위
영업이익(최근연도) 363.938 83.45 6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34.882 -180 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