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온커뮤니티는 2000년 2월 설립된 기업으로 지문인식 관련 제품을 개발, 생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생체인식 출입통제기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생체정보 인식을 기반으로 한 출입관리, 근태관리 등의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전문 기술인력 확보를 기반으로 자체 인프라를 구축하여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인공지능) 생체인식 전문기업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는 새로운 전자태그(RFID) 리더 출입통제 단말기 '유바이오 엑스 태그'(UBio-X Tag)를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유바이오 엑스 태그는 45㎜ 폭의 슬림한 외형으로 협소한 공간이나 유리문 프레임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엠(EM), 마이페어(MIFARE), 데스파이어(DESFire), 에이치아이디(HID) 등 다양한 표준의 카드와 모바일 카드(NFC·BLE)를 지원한다. 3x4 키패드 모델도 별도로 제공돼 환경과 보안 수준에 맞춰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다. 출입통제 외에도 근태·식수 관리 기능을 지원해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방수·방진규격(IP67)과 충격보호규격(IK08) 인증을 확보해 실내외 어디서든 안정적인 보안 운영이 가능하다. 공장·창고·건설 현장 등 외부 충격이 많은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이더넷 전원 공급(PoE) 지원을 통해 전원과 데이터를 단일 케이블로 처리할 수 있어 배선 공정 단순화와 비...
[데일리한국 김영문 기자]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는 새로운 전자태그(RFID) 리더 출입통제 단말기 '유바이오 엑스 태그(UBio-X Tag)'를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유바이오 엑스 태그는 45밀리미터(mm) 폭으로 협소한 공간이나 유리문 프레임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엠(EM), 마이페어(MIFARE), 데스파이어(DESFire), 에이치아이디(HID) 등 다양한 표준의 카드와 모바일 카드(NFC·BLE)를 지원한다. 그뿐만 아니라 3x4 키패드 모델도 별도로 제공돼 환경과 보안 수준에 맞춰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다. 출
[파이낸셜뉴스] 부산시는 동물등록률 향상 및 동물복지 증진을 위해 지난 9월 30일 시청 회의실에서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4월과 7월 '동물등록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논의된 제도 개선 방안의 후속 조치로, 동물 등록률 향상과 동물복지 증진을 위해 마련됐다.
시와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책임 있는 반려동물 양육 문화에 필수 요소인 동물등록제도를 활성화하고, 동물 등록률을 높여 동물복지 증진과 반려동물 친화도시 부산 조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두 기관은 동물등록 향상을 위한 신기술 적용, 유실·유기동물 보호관리 강화 및 동물복지 증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반려동물 친화도시 확산을 위한 홍보 캠페인 추진 등에서 협력한다.
[데일리한국 김영문 기자]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는 부산광역시와 동물등록 향상 및 동물복지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양 기관은 △동물등록 향상을 위한 신기술 적용 △유실·유기동물 보호관리 강화 및 동물복지 증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반려동물 친화도시 확산을 위한 홍보 캠페인 추진 등에서 협력한다.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접촉식 비문(코지문) 인식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마이크로칩 생체인식 방법과 병행해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비문 인식 기반 동물등록 시스템을 부산시에 적용할 계획
부산시는 시청 회의실에서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와 반려동물의 등록률 향상과 동물복지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시는 앞으로 기존의 마이크로칩 생체인식 등의 방법과 병행해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동물의 코 지문(비문) 인식 기반 등록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게 된다.
시는 동물병원 또는 수의사에게 위탁해 비문 등록 업무를 실시하고 등록에 따른 수입도 동물병원 등 등록기관에 환급할 계획이다.
비문 등록으로 생성된 데이터는 유기·유실 방지뿐 아니라 입양센터, 동물놀이터, 동물병원의 출입통제·보안·책임입양 추적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해 활용된다.
시는 이미 동물입양센터, 반려견 놀이터, 보호소 등 동물복지 인프라를 운영 중으로 이번 사업을 첨단 기술 기반으로 통합 관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