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디테크놀로지 로고

에이디테크놀로지 (200710) 주가 및 종목 정보

에이디테크놀로지 실시간 주가

에이디테크놀로지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24,050 원
변동량 ▼ 500.00 원
변동률 -2.04%
거래량 143,321
거래대금 3,476,097,225 원

에이디테크놀로지 일별 주가

에이디테크놀로지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13/2025 22,250 22,300 21,350 21,400 216,331 4,721,053,675
11/16/2025 22,350 24,250 22,000 23,600 332,398 7,773,200,875
11/17/2025 23,000 25,150 23,000 23,750 347,574 8,422,704,050
11/18/2025 23,500 23,750 22,500 23,000 167,392 3,846,685,650
11/19/2025 24,150 24,500 23,000 23,700 172,051 4,077,935,925
11/20/2025 22,550 23,100 21,850 22,000 203,945 4,539,147,500
11/23/2025 22,400 22,700 21,700 22,150 88,782 1,977,329,025
11/24/2025 23,400 24,700 23,400 23,900 372,406 8,931,551,725
11/25/2025 24,950 25,000 23,900 24,550 274,602 6,693,531,300
11/26/2025 24,800 24,800 24,000 24,050 143,321 3,476,097,225

관련 테마

  • 오세훈 : 김준석 대표 및 강종민 상무가 고려대학교 동문
  • 사물인터넷 : 모바일, 디스플레이, IoT, 자동차 전장, 5G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고사양 고집적도 제품 개발 진행 및 IoT향 저전력 구현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보유
  • 시스템반도체 : 고사양 고집적 도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 및 양산 중이며, 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설계 및 제조(ASIC) 업체
  • 메모리반도체 : 고사양 고집적 도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 및 양산 중이며, 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설계 및 제조(ASIC) 업체
  • D램 : 고사양 고집적 도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 및 양산 중이며, 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설계 및 제조(ASIC) 업체
  • 반도체생산 : 고사양 고집적 도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 및 양산 중이며, 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설계 및 제조(ASIC) 업체
  • 반도체설계 : 비메모리를 설계하는 설계 전문 기업으로, 주고객사로는 삼성 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음
  • 온디바이스AI :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DSP 협력파트너 관계로 온디바이스AI와 관련해 디자인하우스 기업으로 부각

에이디테크놀로지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3,232억 275위 13,440,822 0.98%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29,650 12,060

에이디테크놀로지 기업 개요

에이디테크놀로지는 2002년 8월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소자의 설계 및 제조(ASIC)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모바일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다양한 IT 제품의 핵심부품인 시스템반도체를 개발하는 전문기업으로서 설립초기부터 여러 고객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다양한 분야의 ASIC/SoC 과제를 수행한 바 있다.

최신 에이디테크놀로지 관련 뉴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0일 한국증시에서 반도체주 가운데 HBM(고대역폭메모리),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유리기판 관련주 등이 장중 급등세를 기록 중이다. 지난밤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15분 현재 HBM 관련주 중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5.16% 뛰어오른 59만1000원, 삼성전자는 3.47% 급등한 9만9850원에 각각 거래 중이다.또 미래반도체(+4.13%), 와이씨켐(+3.54%), 예스티(+5.97%), 고영(+3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국내증시코스피 지수는 0.61% 하락한 3929.51에 마감했다.밤사이 뉴욕증시가 AI 관련주 고평가 논란 지속 속 엔비디아 실적 경계감, 12월 금리 인하 불확실성 지속 등에 하락했고, 유럽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기술은 물론, 거대언어모델(LLM)을 넘은 피지컬 AI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차세대 AI 반도체 시장이 폭발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반도체 테스트하우스 아이텍은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춰 기존 반도체 테스트 고객사에 이어 인공지능(AI)와 오토모티브 반도체, 온디바이스AI 분야로 사업영역과 고객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이텍은 국내를 대표하는 시스템반도체 테스트 전문 기업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상 마지막에 위치해 반도체 칩의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해 납품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160개 이상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디자인하우스 업체인 세미파이브, 에이직랜드, 에이디테크놀로지, 가온칩스뿐만 아니라 팹리스 업체인 텔레칩스, 동운아나텍, 넥스트칩, 아나패스, LG전자 등이 주요 고객사로 자리하고 있다. 현재 세미파이브는 상장을 앞두고 있는만큼...

[IT동아 남시현 기자] 2025년 10월 21일, 글로벌 반도체 자산 기업 Arm이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Arm 기반 기술 기업 및 반도체 파트너사, 산업생태계 관계자들을 위한 ‘Arm 언락드 코리아 2025(Arm Unlocked Korea 2025)’를 개최했다. Arm 언락드 코리아는 Arm의 연례 기술 행사인 Arm 테크 심포지아를 계승하지만 반도체 설계 및 산업 생태계 협업을 넘어 AI 리더십과 AI 컴퓨팅 전환이라는 더 큰 주제를 갖춘다. 올해 행사는 ▲차량 관련 생태계인 오토모티브 ▲ AI PC 및 CPU, GPU 등을 포괄하는 컨슈머 디바이스 ▲ Arm CSS 및 네오버스 CSS, 표준 칩렛 통합 기반 등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인프라스트럭처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되며 500여 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가 참여한다. 기자간담회는 에디 라미레즈(Eddie Ramirez) Arm 인프라 사업부 시장 진입 전략(Go-To-Market) 부사장이 Arm의 AI 반도체 생태계 전략을 발표했다. 에디 라미레즈(Eddie Ramirez) Arm 인프라 사업부 시장 진입 전략(Go-To-Market) 부사장 / 출처=IT동아 에디 라미레즈 부사장은 "Arm은 지금까지 데이터센터에 10억 개 이상의 네오버스 기반 프로세서를 제공했다. AWS는 Arm의 기술을 기반으로 4세대 칩을 제조했고,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알리바바 등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가 Arm의 고객사다"라면서, "아울러 Arm은 글로벌 서버 인프라의 표준화를 위해 개방형 서버 디자인 협의체인 '오픈 컴퓨팅 프로젝트(OCP)'의 첫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 글로벌 서버 생태계를 이끌어갈 것"이라며 발표를 시작했다. Arm은 엔비디아, AMD와 함께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상호호환을 위해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에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 출처=IT동아 OCP는 Arm과 엔비디아, AMD와 함께 AI 데이터서버가 상호 호환되고 설계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 위한 새로운 조직이다. 이는 서버 인프라의 전력 효율과 설계 비용은 최적화하고 향후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다. OCP는 앞으로 메타, 구글,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들과 함께 상호 운용 가능한 설계 구축에 나선다. 아울러 Arm은 칩렛 구축을 위한 개방형 프레임워크인 FCSA(개방형 칩렛 시스템 설계)를 OCP에 제공한다. 칩렛은 서로 다른 공정으로 제조된 반도체가 하나의 제품처럼 동작하게 패키징 하는 기술로 고성능 반도체의 제조 단가는 낮추고 성능 효율은 올리기 위한 방안이다. FCSA는 칩렛 구성 방식과 칩렛 타입, 연결 방법 및 통신 기준 등을 정의하는데, OCP에 이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표준 서버 생태계에 칩렛 기술이 더욱 범용적으로 도입될 기반이 마련됐다. Arm은 반도체 설계를 위한 자산부터 파운드리 연계, 서비스, 상업 소프트웨어 활용 등 산업 전반과 협력 중이다 / 출처=IT동아 에디 라미레즈 부사장은 “AI 컴퓨트 아키텍처를 위해서는 다양한 장치들이 혼합돼 쓰이는 이기종 컴퓨팅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하나의 반도체로 엮는 칩렛 기술이 성숙하려면 기술 표준화와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 Arm은 클라우드 AI 처리, 모바일, 노트북, 웨어러블 장치 등에서 원활하게 AI가 처리되도록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모두 지원하고,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이어나갈 수 있는 방안을 계속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Arm 기반 반도체 설계 서비스인 ‘Arm 토탈 디자인’은 출범 2년 만에 32개 업체가 참여한다 / 출처=IT동아 2023년 10월 공개한 Arm 토탈 디자인은 Arm 기반 반도체 제조 생태계의 주축으로 자리잡았다. 에디 라미레즈 부사장은 "Arm은 현재에 있다. 스마트폰은 이미 주류 컴퓨팅 아키텍처고, 자율주행 자동차도 Arm 기반으로 지원 중이다. 이제는 AI 렉 디자인도 혁신해 차세대 슈퍼컴퓨터도 지원할 예정이다. 앞으로의 도전 과제는 어떻게 커스텀 칩을 설계하고, 비용을 낮출 수 있을까다"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설계 효율은 높이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방식이 바로 Arm 토탈 디자인이다. Arm 토탈 디자인에는 현재 36개 파트너사가 포함되며, 국내에선 삼성 파운드리와 에이디테크놀로지, 세미파이브, 에이직랜드 등이 참여 중이다. 지난주에는 코아시아와 에이에스이코리아(ASE), 리벨리온 등 한국 기업을 포함해 마벨(MARVELL)과 에이엘칩(Alchip), 비아넥스트(VIA NEXT), 인사이드(insyde), 아스테라랩스(AsteraLabs), 크레도(CREDO), 엘리얀(eliyan)까지 총 10개 기업이 새롭게 합류했다. Arm은 리벨리온과 에이디테크놀로지, 삼성 파운드리의 협력 방안을 우수 사례로 꼽았다 / 출처=IT동아 Arm 토탈 디자인의 주목할만한 대표적인 사례는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과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에이디테크놀로지, 삼성 파운드리, Arm이 협력하는 칩렛 프로젝트 ‘리프프로그(Leapfrog)’다. 리프프로그는 리벨리온이 Arm 네오버스 CSS(V3)로 디자인한 AI 가속기 자산을 에이디테크놀로지가 설계하고, 이를 삼성 파운드리 2nm 공정으로 제조하는 프로젝트다. 제작되는 AI 반도체는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추론 용도로 사용된다. 에디 라미레즈 부사장은 “Arm 토탈 디자인을 통해 2년에서 3년 가량 소요되는 반도체 설계 과정을 1년 내외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 어려운 목표지만 반도체 기업 간의 협력과 칩렛 디자인을 바탕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Arm, 하드웨어 넘어 소프트웨어, 설계 생태계까지 가져가는 중 Arm 언락드는 앞으로 Arm이 나아갈 방향을 잘 알 수 있는 자리다. 그간 Arm은 반도체 기술, 자산 관련에 집중해왔지만, 나스닥 상장을 기점으로 반도체 자산을 넘어 IT 생태계 전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시장 영향력은 더 다각화하고, 수익성을 높이는 게 목표다. FCSA를 통한 칩렛 표준화나 OCP를 통한 서버 생태계 기준점 구축, Arm 토탈 디자인을 통한 Arm 기반 산업 생태계 구축 등의 노력이 모두 Arm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전략이다. 반도체 산업에서 Arm의 영향력이 지배적이라는 점은 경계가 필요하지만, 미국과 대만, 일본 등과 경쟁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좋은 사업 파트너다. 에디 라미레즈 부사장은 “한국은 반도체 공급망 전체 영역에 있어서 모든 기업들이 다 활용하는 파운드리, 주문형 반도체, 서드파티, 지식재산, 패키지까지 모두 가능한 국가다. 또 한국 정부가 AI에 전략적으로 투자하면서 AI 관련 생태계부터 스타트업까지 모두 급부상하고 있다. 앞으로 AI 혁신 사회에서 한국이 독보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을 평가했다. Arm 토탈 디자인에도 많은 한국 기업들이 참여한 만큼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 관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sh@itdonga.com)

에이디테크놀로지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06,545,463,919 6.36% -16,953,519,212 2.61% -15,176,761,422 6.64%
2023.4Q 100,172,177,678 -39.01% -17,407,233,831 -495.83% -16,256,430,677 -389.20%
2022.4Q 164,248,760,000 -49.00% 4,397,640,000 -61.38% 5,621,152,300 -62.43%
2021.4Q 322,083,650,000 10.17% 11,386,147,000 -15.54% 14,960,606,000 426.61%

순매수량

개인: 12,922

기관: -1,576

외인: -11,846

누적 순매수량

개인: -654,942

기관: 642,594

외인: 20,25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7 12,922 -1,576 -11,846
2025-11-26 56,848 3,211 -65,108
2025-11-25 -89,275 5,964 85,617
2025-11-24 -10,848 -23 11,064
2025-11-21 51,348 -17,687 -33,805
2025-11-20 9,890 10 -12,778
2025-11-19 50,324 853 -51,266
2025-11-18 -32,251 12,627 25,629
2025-11-17 -89,910 23,173 68,482
2025-11-14 37,825 -2,972 -31,995
2025-11-13 41,076 -53,159 14,923
2025-11-12 1,751 -28,281 25,418
2025-11-11 2,744 -7,800 7,121
2025-11-10 27,091 -47,009 19,988
2025-11-07 -6,568 -8,390 14,179
2025-11-06 -51,823 19,396 42,317
2025-11-05 52,694 -30,079 -21,552
2025-11-04 41,934 -34,458 -9,190
2025-11-03 13,827 -8,353 -2,765
2025-10-31 -40,983 20,036 14,589
2025-10-30 32,885 -134 -24,611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7 111,501 -154,651 64,411
2025-11-26 98,579 -153,075 76,257
2025-11-25 41,731 -156,286 141,365
2025-11-24 131,006 -162,250 55,748
2025-11-21 141,854 -162,227 44,684
2025-11-20 90,506 -144,540 78,489
2025-11-19 80,616 -144,550 91,267
2025-11-18 30,292 -145,403 142,533
2025-11-17 62,543 -158,030 116,904
2025-11-14 152,453 -181,203 48,422
2025-11-13 114,628 -178,231 80,417
2025-11-12 73,552 -125,072 65,494
2025-11-11 71,801 -96,791 40,076
2025-11-10 69,057 -88,991 32,955
2025-11-07 41,966 -41,982 12,967
2025-11-06 48,534 -33,592 -1,212
2025-11-05 100,357 -52,988 -43,529
2025-11-04 47,663 -22,909 -21,977
2025-11-03 5,729 11,549 -12,787
2025-10-31 -8,098 19,902 -10,022
2025-10-30 32,885 -134 -24,611

에이디테크놀로지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286,394,179,764 54.80% 45.20%

에이디테크놀로지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용역(개발) 59.21%
제품(양산) 35.4%
기타 2.96%
상품 2.43%

에이디테크놀로지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5,583 (3.9%)

최근 공매도 잔고: 277,334 (2.06%)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27 24,050 5,583 3.90%
2025-11-26 24,550 22,284 8.12%
2025-11-25 23,900 6,679 1.79%
2025-11-24 22,150 2,608 2.94%
2025-11-21 22,000 17,381 8.52%
2025-11-20 23,700 6,953 4.04%
2025-11-19 23,000 11,358 6.79%
2025-11-18 23,750 12,000 3.45%
2025-11-17 23,600 6,867 2.07%
2025-11-14 21,400 4,974 2.30%
2025-11-13 22,950 5,106 2.70%
2025-11-12 22,800 7,798 5.63%
2025-11-11 22,600 7,171 3.80%
2025-11-10 22,250 2,805 1.76%
2025-11-07 22,200 1,969 0.83%
2025-11-06 23,500 2,909 1.41%
2025-11-05 23,150 3,113 0.68%
2025-11-04 24,950 4,121 1.23%
2025-11-03 26,000 3,390 0.89%
2025-10-31 26,400 5,582 1.01%
2025-10-30 24,800 6,124 1.74%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25 23,900 277,334 2.06%
2025-11-24 22,150 144,930 1.08%
2025-11-21 22,000 328,707 2.45%
2025-11-20 23,700 145,749 1.08%
2025-11-19 23,000 303,347 2.26%
2025-11-18 23,750 290,437 2.16%
2025-11-17 23,600 298,916 2.22%
2025-11-14 21,400 322,474 2.40%
2025-11-13 22,950 307,765 2.29%
2025-11-12 22,800 321,335 2.39%
2025-11-11 22,600 341,391 2.54%
2025-11-10 22,250 353,676 2.63%
2025-11-07 22,200 369,103 2.75%
2025-11-06 23,500 386,808 2.88%
2025-11-05 23,150 412,347 3.07%
2025-11-04 24,950 386,496 2.88%
2025-11-03 26,000 399,019 2.97%
2025-10-31 26,400 401,876 2.99%
2025-10-30 24,800 404,128 3.01%
2025-10-29 25,100 382,133 2.84%
2025-10-28 25,100 380,324 2.83%

에이디테크놀로지 업종 내 비교

반도체/반도체장비 업종(153개) 연간 기준

항목 에이디테크놀로지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3,299.722 69,902.3 57위
PER(최근4분기) -31.314 -10.07 130위
PBR 2.467 2.31 46위
ROE(최근4분기) -10.238 -3.62 114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5.912 -6.91 121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4.244 -14.75 120위
부채비율(최근연도) 86.041 74.14 44위
매출액(최근연도) 1,065.455 26,011.73 7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69.535 3,832.01 142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51.768 3,643.72 13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