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켐생명과학 로고

엔지켐생명과학 (183490) 주가 및 종목 정보

엔지켐생명과학 실시간 주가

엔지켐생명과학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135 원
변동량 ▼ 21.00 원
변동률 -1.82%
거래량 272,602
거래대금 310,321,057 원

엔지켐생명과학 일별 주가

엔지켐생명과학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22/2025 1,144 1,178 1,135 1,178 362,144 419,145,864
9/23/2025 1,178 1,190 1,140 1,159 339,438 391,934,727
9/24/2025 1,159 1,165 1,133 1,135 183,924 210,469,313
9/25/2025 1,135 1,135 1,100 1,109 292,252 323,772,215
9/28/2025 1,104 1,123 1,104 1,118 103,809 115,647,297
9/29/2025 1,118 1,118 1,071 1,085 334,415 363,836,611
9/30/2025 1,093 1,107 1,070 1,085 196,659 212,685,794
10/1/2025 1,086 1,247 1,077 1,140 3,749,615 4,356,780,903
10/9/2025 1,145 1,161 1,130 1,146 495,775 567,443,914
10/12/2025 1,132 1,167 1,106 1,156 499,089 572,968,913

관련 테마

  • 췌장염 : 코로나19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제조 방법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제약 : 원료의약품 전문업체로 글로벌 신약개발 사업, 건강기능식품 사업 등을 영위

엔지켐생명과학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965억 825위 85,065,562 3.89% 헬스케어 제약/건강기능식품 1,714 937

엔지켐생명과학 기업 개요

엔지켐생명과학은 1999년 7월 설립된 기업으로 원료의약품 의약화학을 기반으로 합성신약의 연구 및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원료의약품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신약물질 EC-18의 작용기전을 활용하여 항암화학방사선 유발 구강점막염, 급성방사선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아토피,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40종 이상의 원료의약품을 식약처에 등록하였다.

최신 엔지켐생명과학 관련 뉴스

우주에서의 미세중력이 찌그러진 인간의 정자를 정상으로 돌려놓을 수 있을까. 재벌가의 혈통 잇기를 위해 정자를 우주로 보낸다는 설정은 드라마에서만 가능한 것일까. 올 초 방송된 tvN 드라마 ‘별들에게 물어봐’는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어느새 친숙해진 우주라는 소재를 안방으로 끌어들였다.우주 산업은 위성 발사, 달 착륙, 로봇 탐사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다. 맥킨지는 전 세계 우주 산업 규모가 2023년 6300억 달러(약 875조원)에서 10년 뒤인 2035년에는 1조7900억 달러(약 2486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우주 산업이 ‘개척’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지구에서 진행하기 어려운 실험이나 인공장기를 활용한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바이오 산업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우주는 지구 표면보다 중력이 훨씬 약한 ‘미세 중력(microgravity)’ 상태다. 중력이 약해 우주 환경에서는 노화가 빠르게 오고, 신경이 퇴행하는 속도도 빠르다. 특정 병원성 박테리아는 우주에서 더 빨리 자라기도 한다. 이는 곧 암을 치료하거나 노화를 지연시킬 신약 개발에 시간이 덜 걸린다는 뜻이기도 하다. 암세포가 우주에서는 더 빠르게 자라고, 사람 몸도 지구에서보다 더 빨리 노화가 진행된다.룩셈부르크의 바이오 스타트업 ‘엑소바이오스피어(Exobiosphere)’는 우주에 보낼 오가노이드 실험 장비를 개발 중이다. 우주에서 신약 임상시험을 진행하기 위해서다.신약 개발은 통상적으로 10~15년이 시간이 걸리고, 2조~3조원가량의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막대한 시간과 비용 투자에도 신약 개발 시도의 90%가량은 실패로 끝난다. 약효가 기대했던 것만큼 충분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독성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수많은 실패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대안으로 우주가 떠오르는 이유다.지난달 29일 찾은 엑소바이오스피어는 우주에 보낼 오가노이드 장비 개발에 한창이었다. 오가노이드는 우주 공간에서 원격으로 운용되는 엑소바이오스피어의 장비에 실려 우주에서 실험을 진행하게 된다. 엑소바이오스피어는 내년 1분기 내 민간 우주정거장에 실험실을 설치하고 신약 개발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엑소바이오스페이스와 협업하고 있는 룩셈부르크 국립보건연구원(LIH)의 권용준 박사는 “우주에서는 암도 더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특정 약물에 대한 저항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주에서라면 도전적 연구도 가능하다”고 말했다.우주 바이오 분야는 우주 환경이라는 특수한 조건에 노출된 생물체나 오가노이드의 변화를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지구 저궤도 우주정거장 내 실험장비를 활용한다.엑소바이오스페이스는 우주에서의 오가노이드 시험 표준화와 자동화를 구상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우주에서의 시험 과정과 결과를 지구에서 확인할 수 있고, 시험 조건도 지구에서 조정할 수 있다. 우주비행사가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지구에서 원격으로 간단한 조작을 가능케 한다는 구상이다.특히 노인성 뇌 질환이나 근육·뼈 손실 등 노화와 관련 있는 신약 개발이 우주 실험의 적합한 분야로 꼽힌다. 미세 중력 상태에서 노화가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지구에서 임상시험 하는 것보다 더 빠른 결과를 낼 수 있어서다.권 박사는 “오가노이드를 전이성 암 치료에 활용해 6개월 시한부 환자가 27개월까지 살 수 있었다”며 “노인성 질환을 앓는 환자 상태를 세포 단위에서 유사하게 만들고자 한 연구는 지금까지 성공하지 못했지만, 우주에서는 노화가 가속화되기 때문에 노인성 뇌 질환을 구현하기에 최적의 연구 환경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단백질 결정 확보에도 우주 환경이 적합하다. 지상에서는 단백질 결정이 잘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미세 중력 환경에서는 중력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고순도의 단백질 결정을 얻을 수 있다. 미세 중력 환경은 지상보다 단백질 결정 구조가 원활하게 형성돼 단백질 3차 구조를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다.우주에서만 가능한 실험 조건은 각국 제약·바이오 업계를 우주로 가게 했다. 미국 제약회사 머크는 항암제 ‘키트루다’의 제형 변경 실험을 우주 환경에서 진행했다. 이 실험을 통해 효율적인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스위스와 이스라엘의 합작 회사인 ‘스페이스파마’는 미세중력 환경에서 원격 제어 가능한 무인 소형 실험실을 만들어 운영한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하지 않고 우주선을 타고 지구 궤도를 도는 방식이다. ‘마운자로’로 유명한 미국 일라이릴리 역시 비만과 당뇨 치료제의 제형 변경을 연구하기 위해 우주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는 ISS에서 신약 물질을 연구 중이다.국내 기업들도 하나둘 우주로 향하고 있다. 보령은 지난해 미국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와의 국내 합작법인 ‘브랙스 스페이스’를 공식 출범했다. 브랙스 스페이스는 우주정거장 내 연구·실험 플랫폼 서비스, 한국인 유인 우주 개발 프로젝트, 우주정거장 모듈 공동 개발 등을 추진한다. 스페이스린텍은 우주 의학 연구를 통한 뇌 질환 진단과 치료 기술을 개발 중이고, 엔지켐생명과학은 우주 방사선 치료제를 연구하고 있다.미세 중력(microgravity): 지구 표면 중력의 약 1000만 배 이하로 매우 약한 중력 상태. 우주의 미세 중력은 노화를 촉진하고, 신경 퇴행을 가속화한다.오가노이드(organoid): 장기(organ)와 유사(oid)의 합성어. 우리 몸의 실제 장기와 비슷한 3차원 구조물로, 시험관에서 배양해 만드는 인공 장기다.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데일리한국 민병무 기자] 엔지켐생명과학은 방사선의학의 국제적 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의학원(KIRAMS) 방사선의학연구소와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GI-ARS, Gastrointestinal Acute Radiation Syndrome)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엔지켐생명과학의 EC-18은 2017년 미국 FDA에서 급성방사선증후군(ARS)에 대한 희귀의약품지정(Orphan Drug Designation)을 받았으며, 2024년 10월 EC-18이 방사선 조사로 인한 위장관계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

증권사들이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공모 메자닌 업무 수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이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주관업무에서 최근 대규모 실권으로 손실을 겪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입장도 보수적이라 시장에선 당분간 침체된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공모 전환사채(CB) 발행은 지난해 11월 이차전지 전해액 전문업체 '엔켐' 이후 1건도 없다. 메자닌은 기업 경영에 필요한 자금조달 수단이다. 엔켐이 발행한 CB를 비롯해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등 채권과 주식의...

[데일리한국 민병무 기자] 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제약 바이오 행사 ‘CPHI China 2025’에 참가해 결핵치료제 ‘사이클로세린’의 러시아 수출 확대 및 카자흐스탄 공급 재개 협의, 진해거담제 ‘에르도스테인’의 유럽시장 공급 확대 협의 등의 해외영업 성과를 거뒀다고 7일 밝혔다.‘CPHI China’는 120여개국에서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 및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전시회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산업부-KOTRA 한국관에 부스를 마련했고, 전시기간

국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초기기업들이 해외 기술이전 파트너 및 투자회사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고 상호 소통이 가능한 전문 매칭 서비스가 출시됐다. 바이오북(대표 홍순재)은 국내 제약 바이오 관련 초기기업의 핵심정보와 해외 주요 제약회사, 벤처캐피털(VC) 등 전문투자회사의 최근 주요 거래내용 및 투자전략 등을 수록한 'TMP connect(tmpconnect.com)' 상용화 버전을 3일 공개했다고 밝혔다. 해외 1500여개

엔지켐생명과학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77,377,688,864 1.76% -13,193,969,766 8.10% -22,087,607,114 -134.91%
2023.4Q 76,038,893,905 185.46% -14,356,144,695 2.08% -9,402,652,311 62.53%
2022.4Q 26,637,631,000 15.94% -14,661,777,000 29.35% -25,093,110,000 9.95%
2021.4Q 22,975,498,000 -11.01% -20,753,517,000 -8.61% -27,864,832,000 -59.16%

순매수량

개인: 53,639

기관: 6,475

외인: -60,546

누적 순매수량

개인: -821,397

기관: 647,396

외인: 118,930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4 53,639 6,475 -60,546
2025-10-13 -35,518 29,371 6,147
2025-10-10 -122,855 10,243 112,886
2025-10-02 -177,584 -1,571 209,354
2025-10-01 -32,549 24,434 14,651
2025-09-30 -18,139 14,491 5,157
2025-09-29 -26,468 -2,628 31,147
2025-09-26 -86,581 11,126 76,418
2025-09-25 2,033 15,300 -17,157
2025-09-24 98,875 28,048 -128,974
2025-09-23 -37,174 18,999 18,525
2025-09-22 -98,101 21,948 76,153
2025-09-19 -311 30,000 -29,689
2025-09-18 -51,125 7,100 44,025
2025-09-17 -28,231 2,099 26,132
2025-09-16 -37,590 23,655 13,935
2025-09-15 -17,899 11,361 8,069
2025-09-12 -10,904 -31,765 48,719
2025-09-11 56,299 20,931 -78,076
2025-09-10 -81,453 13,795 67,642
2025-09-09 -34,818 22,667 12,635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3 -780,022 270,028 557,478
2025-10-10 -744,504 240,657 551,331
2025-10-02 -621,649 230,414 438,445
2025-10-01 -444,065 231,985 229,091
2025-09-30 -411,516 207,551 214,440
2025-09-29 -393,377 193,060 209,283
2025-09-26 -366,909 195,688 178,136
2025-09-25 -280,328 184,562 101,718
2025-09-24 -282,361 169,262 118,875
2025-09-23 -381,236 141,214 247,849
2025-09-22 -344,062 122,215 229,324
2025-09-19 -245,961 100,267 153,171
2025-09-18 -245,650 70,267 182,860
2025-09-17 -194,525 63,167 138,835
2025-09-16 -166,294 61,068 112,703
2025-09-15 -128,704 37,413 98,768
2025-09-12 -110,805 26,052 90,699
2025-09-11 -99,901 57,817 41,980
2025-09-10 -156,200 36,886 120,056
2025-09-09 -74,747 23,091 52,414
2025-09-08 -39,929 424 39,779

엔지켐생명과학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71,647,448,376 10.03% 89.97%

엔지켐생명과학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회수유 [바이오유지] 53.8%
진해거담제, 항응고제 [원료의약품] 46.2%

엔지켐생명과학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559 (0.11%)

최근 공매도 잔고: 101,727 (0.1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13 1,156 559 0.11%
2025-10-10 1,146 1 0.00%
2025-10-02 1,140 6,797 0.18%
2025-10-01 1,085 1 0.00%
2025-09-30 1,085 0 0.00%
2025-09-29 1,118 15,000 14.45%
2025-09-26 1,109 1 0.00%
2025-09-25 1,135 0 0.00%
2025-09-24 1,159 1,177 0.35%
2025-09-23 1,178 1 0.00%
2025-09-22 1,142 1 0.00%
2025-09-19 1,135 0 0.00%
2025-09-18 1,158 3,000 1.01%
2025-09-17 1,124 1 0.00%
2025-09-16 1,120 2,637 1.18%
2025-09-15 1,113 364 0.19%
2025-09-12 1,119 0 0.00%
2025-09-11 1,114 60 0.02%
2025-09-10 1,129 0 0.00%
2025-09-09 1,116 99 0.05%
2025-09-08 1,118 1,000 0.21%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0-02 1,140 101,727 0.12%
2025-10-01 1,085 101,727 0.12%
2025-09-30 1,085 101,727 0.12%
2025-09-29 1,118 101,727 0.12%
2025-09-26 1,109 0 0.00%
2025-09-25 1,135 0 0.00%
2025-09-24 1,159 86,727 0.10%
2025-09-23 1,178 86,727 0.10%
2025-09-22 1,142 0 0.00%
2025-09-19 1,135 0 0.00%
2025-09-18 1,158 86,727 0.10%
2025-09-17 1,124 0 0.00%
2025-09-16 1,120 0 0.00%
2025-09-15 1,113 0 0.00%
2025-09-12 1,119 0 0.00%
2025-09-11 1,114 0 0.00%
2025-09-10 1,129 0 0.00%
2025-09-09 1,116 0 0.00%
2025-09-08 1,118 0 0.00%
2025-09-05 1,130 0 0.00%
2025-09-04 1,098 0 0.00%

엔지켐생명과학 업종 내 비교

제약/건강기능식품 업종(141개) 연간 기준

항목 엔지켐생명과학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974.851 13,400.24 98위
PER(최근4분기) -4.317 -2.82 95위
PBR 0.581 6.8 122위
ROE(최근4분기) -12.494 -3.4 107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7.051 -7,838.77 114위
순이익률(최근연도) -28.545 -8,460.51 115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2.547 75.44 128위
매출액(최근연도) 773.777 3,597.29 92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31.94 254.03 120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220.876 155.42 12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