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브레인 로고

엠브레인 (169330) 주가 및 종목 정보

엠브레인 실시간 주가

엠브레인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980 원
변동량 ▼ 17.00 원
변동률 -0.85%
거래량 14,596
거래대금 28,943,172 원

엠브레인 일별 주가

엠브레인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9/2025 2,045 2,045 2,015 2,045 44,047 90,005,320
11/10/2025 2,040 2,075 2,005 2,030 14,453 29,214,880
11/11/2025 2,065 2,065 2,020 2,050 4,655 9,438,275
11/12/2025 2,090 2,090 2,030 2,070 2,470 5,075,025
11/13/2025 2,065 2,065 2,025 2,045 4,100 8,338,980
11/16/2025 2,045 2,075 2,015 2,050 5,913 12,124,215
11/17/2025 2,025 2,030 2,005 2,020 3,123 6,301,525
11/18/2025 2,080 2,080 1,997 2,010 2,562 5,132,896
11/19/2025 2,065 2,065 1,997 1,997 4,711 9,460,984
11/20/2025 1,997 2,050 1,977 1,980 14,596 28,943,172

엠브레인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362억 1438위 18,286,918 21.29% 기타 정보서비스 2,345 1,792

엠브레인 기업 개요

엠브레인은 1998년 10월 설립된 기업으로 리서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엠브레인퍼블릭이 있다. 주요 매출은 온라인 조사 상품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의 리서치 사업은 소비자, 국민으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나 사회 특정 이슈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묻고, 그 질문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태도를 수집, 정리, 데이터화한 후 결과물을 도출하여 클라이언트 등에게 제공하고 있다.

최신 엠브레인 관련 뉴스

고물가 시대 소비자들은 동일한 비용을 지출하더라도 더 확실한 만족을 얻으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단순한 '소비'보다 한 번의 선택에서 얻는 의미와 즐거움을 중시하는 이른바 '고농축 소비' 흐름이 강해지면서 스낵 시장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시즌 한정 제품부터 글로벌 말차 열풍을 반영한 '말차코어' 스낵,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는 경험형 마케팅까지, 제품 구매의 기준이 단순한 맛을 넘어 '경

국내 맥주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고(高)도수' 맥주는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논알코올 주류와 하이볼 등으로 수요가 분산된 가운데 한 잔으로 충분한 만족감을 주는 높은 도수의 맥주가 가성비 주류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14일 시장조사기업 엠브레인 딥데이터의 구매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최근 1년간 전체 맥주 시장 구매 추정액은 2조165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조3292억원) 대비 7.0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로코노미’(로컬+이코노미) 열풍이 식지 않고 있다. 경제 활성화와 농가와의 상생을 도모하는 동시에 소비자에게 맛과 스토리를 갖춘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하면서 업계의 주요 전략으로 자리 잡는 모습이다.16일 프랜차이즈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내년부터 ‘한국의 맛’ 프로젝트를 확대한다. 매년 여름에 집중하던 시행 기간을 1분기로 넓힌다. 버거뿐 아니라 스낵 및 음료 메뉴 개발에도 지역 농산물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맥도날드의 ‘한국의 맛’ 시리즈는 대표적인 로코노미 성공 사례로 꼽힌다. 2021년부터 창녕 마늘·진도 대파·익산 고구마 등을 활용한 버거와 나주 배·영동 샤인머스캣 기반 음료 등을 선보이며 올해 누적 판매량 3000만개를 돌파했다. 임팩트 측정 전문기관 ‘트리플라잇’에 따르면 지난 4년간 총 617억원 규모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까지 수급한 농산물 규모는 1000t을 넘었다.식품업계의 상생 상품 기획도 확대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올해 가을 ‘고창 고구마 시리즈’를 출시하며 ‘맛있는 대한민국 상생로드’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선보인 ‘부여 밤 시리즈’가 한 달여 만에 완판된 데 이어 올해는 생산 물량을 지난해 대비 70% 확대했음에도 2주 만에 물량이 소진됐다.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를 소상공인 카페의 경쟁력으로 제공하는 상생 프로그램도 있다. 스타벅스는 국내 농산물을 활용한 한정 음료를 개발해 소상공인 카페에 제공한다. 지난 12일 일곱 번째 상생음료 ‘안동 찐 사과’를 전국 150개 소상공인 카페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지원한 원부재료는 약 41만6000잔에 달한다.특산물 활용을 넘어서 특정 지역에서만 선보이는 상품 전략도 호응을 얻고 있다. 던킨은 지난달 제주 우도 땅콩을 활용한 한정판 도넛 2종을 제주 지역 14개 매장에서 한정 출시했다. 파리바게뜨 일부 매장에서만 판매하는 ‘제주마음샌드’ 역시 우도 땅콩을 넣어 만든 대표적인 지역 한정 상품이다. 2019년 출시 이후 여행객들 사이에서 ‘오픈런’이 벌어질 만큼 인기다.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로코노미 확산에 힘을 보탠다. 시장조사업체 엠브레인이 지난 4월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로코노미 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10명 중 6명은 이를 ‘가치 있는 소비’로 인식했다.신주은 기자 june@kmib.co.kr

엠브레인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56,161,085,757 4.56% -1,257,743,396 -175.08% -1,064,077,182 -156.24%
2023.4Q 53,710,500,356 4.76% 1,675,104,422 -77.35% 1,891,994,600 -68.75%
2022.4Q 51,268,070,000 17.15% 7,396,045,300 18.36% 6,053,756,000 23.88%

순매수량

개인: 507

기관: 0

외인: 208

누적 순매수량

개인: 3,718

기관: -40,000

외인: 40,130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1 507 - 208
2025-11-20 36 - -36
2025-11-19 363 - 5
2025-11-18 979 - -359
2025-11-17 857 - -153
2025-11-14 1,395 - -134
2025-11-13 14 - -14
2025-11-12 -388 - 61
2025-11-11 -164 - 33
2025-11-10 -87 -40,000 40,087
2025-11-07 268 - -57
2025-11-06 361 - 104
2025-11-05 -962 - 1,062
2025-11-04 538 - 535
2025-11-03 330 - -79
2025-10-31 71 - 41
2025-10-30 460 - 5
2025-10-29 685 - -52
2025-10-28 489 - -741
2025-10-27 4,372 - -79
2025-10-24 1,497 - -161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1 11,621 -40,000 40,276
2025-11-20 11,114 -40,000 40,068
2025-11-19 11,078 -40,000 40,104
2025-11-18 10,715 -40,000 40,099
2025-11-17 9,736 -40,000 40,458
2025-11-14 8,879 -40,000 40,611
2025-11-13 7,484 -40,000 40,745
2025-11-12 7,470 -40,000 40,759
2025-11-11 7,858 -40,000 40,698
2025-11-10 8,022 -40,000 40,665
2025-11-07 8,109 - 578
2025-11-06 7,841 - 635
2025-11-05 7,480 - 531
2025-11-04 8,442 - -531
2025-11-03 7,904 - -1,066
2025-10-31 7,574 - -987
2025-10-30 7,503 - -1,028
2025-10-29 7,043 - -1,033
2025-10-28 6,358 - -981
2025-10-27 5,869 - -240
2025-10-24 1,497 - -161

엠브레인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47,095,170,441 42.85% 57.15%

엠브레인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온라인 리서치 58.26%
오프라인 리서치 40.98%
패널빅데이터 0.66%
기타 0.1%

엠브레인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 (0.01%)

최근 공매도 잔고: 0 (0%)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21 1,980 1 0.01%
2025-11-20 1,997 64 1.36%
2025-11-19 2,010 12 0.47%
2025-11-18 2,020 7 0.22%
2025-11-17 2,050 35 0.59%
2025-11-14 2,045 16 0.39%
2025-11-13 2,070 0 0.00%
2025-11-12 2,050 0 0.00%
2025-11-11 2,030 0 0.00%
2025-11-10 2,045 40,013 90.84%
2025-11-07 2,060 44 1.45%
2025-11-06 2,045 131 3.32%
2025-11-05 2,080 9 0.03%
2025-11-04 2,030 0 0.00%
2025-11-03 2,040 2 0.01%
2025-10-31 2,080 27 0.28%
2025-10-30 2,085 8 0.03%
2025-10-29 2,090 20 0.39%
2025-10-28 2,110 0 0.00%
2025-10-27 2,075 21 0.08%
2025-10-24 2,110 0 0.00%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19 2,010 0 0.00%
2025-11-18 2,020 0 0.00%
2025-11-17 2,050 0 0.00%
2025-11-14 2,045 0 0.00%
2025-11-13 2,070 0 0.00%
2025-11-12 2,050 0 0.00%
2025-11-11 2,030 0 0.00%
2025-11-10 2,045 0 0.00%
2025-11-07 2,060 0 0.00%
2025-11-06 2,045 0 0.00%
2025-11-05 2,080 0 0.00%
2025-11-04 2,030 0 0.00%
2025-11-03 2,040 0 0.00%
2025-10-31 2,080 0 0.00%
2025-10-30 2,085 0 0.00%
2025-10-29 2,090 0 0.00%
2025-10-28 2,110 0 0.00%
2025-10-27 2,075 0 0.00%
2025-10-24 2,110 0 0.00%
2025-10-23 2,100 0 0.00%
2025-10-22 2,095 0 0.00%

엠브레인 업종 내 비교

정보서비스 업종(12개) 연간 기준

항목 엠브레인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365.19 2,487.21 11위
PER(최근4분기) 25.775 7.33 1위
PBR 1.421 1.76 6위
ROE(최근4분기) -3.643 11.18 1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4.006 4.67 4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2.24 11.9 1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895 9.22 11위
부채비율(최근연도) 65.922 61.01 5위
매출액(최근연도) 561.611 4,973.4 9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2.577 326.75 12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0.641 230.62 1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