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로고

CJ제일제당 (097950) 주가 및 종목 정보

CJ제일제당 실시간 주가

CJ제일제당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233,500 원
변동량 ▼ 500.00 원
변동률 -0.21%
거래량 50,170
거래대금 11,667,949,500 원

CJ제일제당 일별 주가

CJ제일제당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22/2025 235,500 236,500 234,000 235,000 44,962 10,565,991,250
9/23/2025 236,000 236,000 232,500 233,000 41,147 9,603,813,750
9/24/2025 233,000 235,000 232,000 234,000 43,544 10,176,817,250
9/25/2025 233,000 233,500 230,000 230,500 61,198 14,118,375,250
9/28/2025 232,000 234,000 230,500 233,000 36,447 8,459,433,500
9/29/2025 232,000 232,000 230,000 230,500 42,015 9,702,422,500
9/30/2025 235,500 237,500 231,000 234,500 85,432 20,036,434,500
10/1/2025 235,000 236,000 232,000 233,500 78,923 18,472,433,500
10/9/2025 232,500 234,500 230,500 234,000 87,281 20,288,801,250
10/12/2025 232,000 234,500 230,000 233,500 50,170 11,667,949,500

관련 테마

  • 건강기능식품 : 2007년 9월 CJ에서 기업 분할되어 국내 1위 식품 기업 포지션을 공고히 하고 있으며, 생명 공학 분야로 사업을 확장 중인 기업
  • 식자재 : 설탕, 밀가루, 식용유, 조미료 등을 생산ㆍ판매하는 식품 사업을 영위
  • 1인가구 : 육가공식품, 쌀가공 식품, HMR 등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 간편식품 : 육가공식품, 쌀가공 식품, HMR 등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환율하락 : 국내 최대 종합식품업체로 원재료(원당, 원맥, 대두) 수입 비중이 높아 환율 하락 시 수혜주로 부각됨
  • 대두 : 식품 및 바이오생명공학 분야를 주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발효대두박을 생산하여 농축대두단백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 밀가루 : CJ 그룹 계열의 국내 최대 종합식품업체로 설탕, 밀가루, 식용류 등을 판매하는 식품 산업을 영위하고 있음
  • 합성수지 : 미국 메타볼릭스사의 폴리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관련 자산 인수를 통하여 생분해 플라스틱을 활용한 비닐, 빨대, 페트병 등을 연구 중인 기업
  • 소금 : 자사의 백설 브랜드를 통해 꽃소금, 천일염, 구운소금, 맛소금 등 다양한 소금 제품 판매

CJ제일제당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35,151억 111위 15,054,186 16.81% 음식료/식자재 식품 291,500 220,000

CJ제일제당 기업 개요

CJ제일제당은 2007년 9월 CJ 주식회사에서 분할 설립된 기업으로 식품사업과 바이오 사업, 물류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씨제이대한통운(주), 씨제이씨푸드(주), 삼해상사(주)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식품사업과 물류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K-Food의 글로벌화, 현지화를 통해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해외 식품시장 진출에 집중하고 있으며, 글로벌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Plant Based(대체육) 사업을 본격화 하고, "비비고" 브랜드를 국내 및 글로벌 대형 브랜드로 육성하고 있다.

최신 CJ제일제당 관련 뉴스

정부가 식량과 주요 식품의 공급 불안에 대비하고 식량위기상황에 식량반입 등을 위해 15년간 해외농업자원개발기업에 2000억이 넘는 자금을 지원하며 해외자원확보에 투자했으나, 자금을 지원받은 기업의 절반 이상이 실적 없이 폐업하거나 휴업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해외투자기업의 부실로 이들 기업을 통해 국내 반입되는 해외자원은 전체 곡물수입량의 2%도 되지 않아 부실한 사업계획과 무리한 투자로 국민의 혈세가 낭비됐다는 비판이 제기된다.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비례대표)이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가 국가식량위기대응과 해외농업자원 확보를 명분으로 지난 2009년부터 50곳(중복 제외)의 해외농업자원개발기업에 총 2137억원을 저리(연리 1.5~2%,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로 융자해왔다.기업 당 최대 380억원까지 지원됐지만, 현재 이들 중 25개 기업(중복 제외)이 폐업하거나 사실상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특히 굴지의 대기업들조차 줄줄이 실패했다.셀트리온은 2010년부터 러시아에서 밀·콩 재배를 이유로 68억원을 지원받았으나 단 한 차례 반입도 없이 2020년 사업을 접었다. 현대중공업은 2016년 20억원을 지원받아 2017년 러시아에서 콩, 옥수수 등 156톤 반입 후 실적 없이 사업을 종료했다.한진중공업은 2012년 26억 9000만원을 받고 필리핀에서 옥수수 재배를 추진했으나 곡물 반입 실적 없이 폐업했고 CJ제일제당은 2012년 75억 9000만원을 받아 호주 진출을 선언했지만 한 번도 자원 반입 없이 철수했다.한진해운은 미국에서 2011년 옥수수·콩 재배를 명목으로 95억원을 받았으나 자원 확보량 및 반입량 ‘0’으로 폐업했다.현재 활동중이라고 보고한 나머지 25개 기업의 실적도 저조하긴 마찬가지다.이들 기업 중 2024년 기준 국내에 자원반입실적이 있는 기업은 8곳에 불과하고 반입량도 총 2만4696톤으로 극히 저조하다. 이로 인해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성과는 참담한 수준이다.그동안 해외농업투자를 신고하고 해외에 진출한 기업은 융자지원을 받지 않은 곳을 포함해 총 225곳인데 이중 현재 활동 중인 기업은 57개에 불과하며 지난해(2024년) 기준 국내 곡물 수입량 1700만톤 중 57개 기업을 통해 반입된 양은 37만톤, 전체의 1.7% 수준에 머물렀다. 그마저도 35만톤, 95%가량은 미국에서 옥수수 재배에 성공한 팬오션 한 곳의 실적이었다.게다가 해외진출 21개국 가운데 농업 협력체계를 맺은 국가는 러시아·호주·중국·캄보디아·베트남 등 5곳 뿐으로 해외진출국가와의 협력체계도 갖추지 않아 국가식량위기 대응 기반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가 식량위기가 확대됐을 당시 해외농업개발기업을 통한 국내 반입량은 2021년 63만톤에서 2022년 25만톤 2023년 9만 8000톤으로 오히려 급감했다. 식량위기상황 시 국내 식량 반입이라는 제 역할을 못한 것이다.현재 우리나라는 연간 1700만톤을 수입하는 세계 7위 곡물 수입국이며 곡물자급률이 21%에 불과해 자급률 확대와 안정적 곡물 수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임 의원은 “해외농업자원개발사업의 총체적 부실이 드러났다”며 “식량위기 대응이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원 구조와 관리감독 전반을 재검토하고 국가 차원의 ODA 연계와 해외 농업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근본적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지난6월19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한 논에서 농민이 모내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외농업자원개발 사업으로 정부 지원을 받은 기업 중 절반은 현재 사업을 접거나, 휴업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CJ제일제당 등 주요 대기업들도 수십억원의 융자지원을 받았으나 현지에서 빈손으로 철수했다. 식량 위기 대응이라는 본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어···

국제구호개발 NGO 희망친구 기아대책(회장 최창남)이 연말연시를 앞두고 ‘2025 따뜻한 희망상자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13일 밝혔다.올해 5년차를 맞은 따뜻한 희망상자 캠페인은 위기가정을 지원하는 기아대책 나눔 프로젝트다. 매칭 그랜트 방식을 적용해 후원자가 5만원을 기부하면 기아대책이 같은 금액 상당의 물품을 더해 총 10만원 상당의 키트를 어려운 가정에 전달한다. 지역사회와 기업, 개인 후원자를 통해 마련된 희망상자엔 식료품과 위생용품 등 생활필수품이 담긴다.지난해까지 희망상자를 전달받은 가정은 국내외 11만 6714곳에 달한다. 기아대책은 “파키스탄 대홍수 피해 지역과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지역 등 해외 재난 현장에도 전달돼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나눴다”며 “올해도 국내 위기가정뿐 아니라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 이웃들에게도 물품을 지원해 따뜻한 위로를 전할 계획”이라고 했다.올해 캠페인은 다음 달 16일 추수감사절부터 성탄절, 설 명절까지 5개월간 진행된다. 고려은단, 대웅제약, 오뚜기, 애경산업, VT코스메틱, 아이소이, CJ제일제당, 켈로그, 청정원, 백제광천김 등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물품을 후원하며 캠페인에 힘을 보탰다.최창남 회장은 “이번 희망상자 캠페인이 단순한 물품 지원을 넘어 사회적 고립을 해소하고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따뜻한 희망의 매개로 전달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이현성 기자 sage@kmib.co.kr

CJ제일제당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9,359,081,823,000 1.16% 1,553,017,638,000 20.24% 361,835,555,000 -35.32%
2023.4Q 29,023,472,909,000 - 1,291,582,413,000 - 559,462,096,000 -
2022.4Q 30,079,514,000,000 14.42% 1,664,708,200,000 9.20% 802,674,100,000 -10.05%
2021.4Q 26,289,228,000,000 8.43% 1,524,429,400,000 12.13% 892,393,200,000 13.47%

순매수량

개인: 682

기관: -10,371

외인: 9,598

누적 순매수량

개인: 740,594

기관: -302,226

외인: -449,394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3 682 -10,371 9,598
2025-10-10 7,609 -20,189 12,142
2025-10-02 2,197 -18,375 17,188
2025-10-01 977 -11,172 9,113
2025-09-30 12,904 -7,174 -5,916
2025-09-29 -724 5,566 -5,354
2025-09-26 35,042 -8,341 -26,920
2025-09-25 348 -4,364 3,899
2025-09-24 11,583 2,348 -13,988
2025-09-23 23,185 -10,056 -13,172
2025-09-22 9,256 -2,156 -6,946
2025-09-19 7,987 1,957 -9,820
2025-09-18 2,409 -1,416 -906
2025-09-17 15,802 -8,165 -8,098
2025-09-16 2,262 13,155 -13,351
2025-09-15 11,455 -1,973 -9,508
2025-09-12 1,839 18,727 -20,503
2025-09-11 -2,861 13,832 -11,399
2025-09-10 274 5,453 -3,723
2025-09-09 -7,613 4,099 3,843
2025-09-08 4,192 5,427 -10,005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3 138,805 -33,188 -103,826
2025-10-10 138,123 -22,817 -113,424
2025-10-02 130,514 -2,628 -125,566
2025-10-01 128,317 15,747 -142,754
2025-09-30 127,340 26,919 -151,867
2025-09-29 114,436 34,093 -145,951
2025-09-26 115,160 28,527 -140,597
2025-09-25 80,118 36,868 -113,677
2025-09-24 79,770 41,232 -117,576
2025-09-23 68,187 38,884 -103,588
2025-09-22 45,002 48,940 -90,416
2025-09-19 35,746 51,096 -83,470
2025-09-18 27,759 49,139 -73,650
2025-09-17 25,350 50,555 -72,744
2025-09-16 9,548 58,720 -64,646
2025-09-15 7,286 45,565 -51,295
2025-09-12 -4,169 47,538 -41,787
2025-09-11 -6,008 28,811 -21,284
2025-09-10 -3,147 14,979 -9,885
2025-09-09 -3,421 9,526 -6,162
2025-09-08 4,192 5,427 -10,005

CJ제일제당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0,975,305,272,000 50.44% 49.56%

CJ제일제당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설탕, 밀가루, 식용유 등 [식품사업부문] 39%
운송, 하역, 건설 등 [물류사업부문] 38%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원 등 [BIO사업부문] 12%
배합사료, 축산물 등 [F&C사업부문] 9%
핵산, 천연맛소재 등 [FNT사업부문] 2%

CJ제일제당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0,572 (16.32%)

최근 공매도 잔고: 49,896 (0.33%)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13 233,500 10,572 16.32%
2025-10-10 234,000 14,387 12.62%
2025-10-02 233,500 4,405 4.65%
2025-10-01 234,500 11,599 10.08%
2025-09-30 230,500 3,168 5.96%
2025-09-29 233,000 1,330 2.75%
2025-09-26 230,500 8,138 10.27%
2025-09-25 234,000 3,247 5.53%
2025-09-24 233,000 1,675 3.11%
2025-09-23 235,000 3,656 6.20%
2025-09-22 236,000 2,550 4.26%
2025-09-19 237,500 3,046 4.10%
2025-09-18 239,000 1,728 3.89%
2025-09-17 237,500 2,314 3.71%
2025-09-16 241,000 3,925 4.92%
2025-09-15 242,000 1,230 1.72%
2025-09-12 242,000 4,513 3.12%
2025-09-11 237,500 1,508 1.06%
2025-09-10 234,500 639 0.84%
2025-09-09 233,000 992 1.62%
2025-09-08 232,500 2,293 5.53%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0-02 233,500 49,896 0.33%
2025-10-01 234,500 48,561 0.32%
2025-09-30 230,500 41,226 0.27%
2025-09-29 233,000 40,380 0.27%
2025-09-26 230,500 39,884 0.26%
2025-09-25 234,000 39,947 0.27%
2025-09-24 233,000 40,530 0.27%
2025-09-23 235,000 42,873 0.28%
2025-09-22 236,000 40,926 0.27%
2025-09-19 237,500 42,616 0.28%
2025-09-18 239,000 40,349 0.27%
2025-09-17 237,500 39,030 0.26%
2025-09-16 241,000 38,279 0.25%
2025-09-15 242,000 37,735 0.25%
2025-09-12 242,000 37,170 0.25%
2025-09-11 237,500 37,215 0.25%
2025-09-10 234,500 38,556 0.26%
2025-09-09 233,000 39,440 0.26%
2025-09-08 232,500 40,510 0.27%
2025-09-05 232,500 38,676 0.26%
2025-09-04 232,000 40,299 0.27%

CJ제일제당 업종 내 비교

식품 업종(41개) 연간 기준

항목 CJ제일제당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35,226.795 8,344.54 3위
PER(최근4분기) -13.901 6.8 36위
PBR 0.689 1.15 21위
ROE(최근4분기) 1.974 4.11 29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923 2.3 13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5.29 4.98 1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232 3.23 2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46.267 111.92 11위
매출액(최근연도) 293,590.818 19,564.96 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5,530.176 1,168.25 1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618.356 725.31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