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테크 로고

유진테크 (084370) 주가 및 종목 정보

유진테크 실시간 주가

유진테크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48,350 원
변동량 ▲ 50.00 원
변동률 0.10%
거래량 75,295
거래대금 3,645,560,275 원

유진테크 일별 주가

유진테크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12/2025 50,000 51,500 49,300 49,800 329,047 16,487,306,450
8/13/2025 49,350 51,100 49,300 50,800 218,069 11,039,117,050
8/17/2025 49,900 50,300 48,750 49,400 148,849 7,353,158,300
8/18/2025 49,550 50,400 49,100 49,250 131,950 6,549,366,650
8/19/2025 48,500 49,450 47,750 49,250 143,215 6,989,621,250
8/20/2025 49,600 49,950 48,500 49,400 153,794 7,589,322,100
8/21/2025 48,850 49,150 47,350 48,000 169,555 8,132,055,300
8/24/2025 48,750 49,100 48,200 49,000 96,887 4,733,219,500
8/25/2025 48,850 49,200 48,350 48,450 76,209 3,714,988,250
8/26/2025 48,700 49,150 47,800 48,300 78,398 3,788,427,325

관련 테마

  • 삼성전자 :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로, 삼성전자와 제조장비 공급계약을 체결
  • 메모리반도체 : 웨이퍼 처리 공정 중 박막 형성 재료를 화학 반응을 통해 반도체 기판(wafer) 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 중인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
  • D램 : 웨이퍼 처리 공정 중 박막 형성 재료를 화학 반응을 통해 반도체 기판(wafer) 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 중인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
  • 3D낸드 : 반도체 전공정 장비업체로 전공정의 웨이퍼 처리 공정 중 박막 형성 재료를 화학 반응에 의해 반도체 기판(wafer) 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
  • 반도체생산 : 웨이퍼 처리 공정 중 박막 형성 재료를 화학 반응을 통해 반도체 기판(wafer) 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 중인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
  • 반도체장비 : 반도체 전공정장비업체. 반도체 전공정단계에서 "박막(Thin Film)형성"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개발 중
  • 반도체전공정 : 웨이퍼 처리 공정 중 박막 형성 재료를 화학 반응을 통해 반도체 기판(wafer) 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 중인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

유진테크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1,068억 56위 22,916,042 32.39%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51,500 30,300

유진테크 기업 개요

유진테크는 2000년 1월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장비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Eugenus Inc.가 있다. 주요 매출은 반도체 장비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창사이래 전공정 CVD장비의 국산화 및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왔으며, 앞으로도 자체적인 연구개발 활동 및 반도체 소자 업체와의 공동개발 활동으로 반도체 전공정 장비의 국산화에 이바지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최신 유진테크 관련 뉴스

글로벌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발 수요 확대에 힘입어 반도체 업종 투자 매력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반도체 대표주인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업계 전반에 번지면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관련주까지 온기가 확산되고 있다. 빅테크 AI 경쟁에 반도체 '맑음'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776.31로 거래를 마쳤다. 이달 초와 비교해 3% 뛰었고, 최근 3개월로 범위를 넓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3일 한국증시에서 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관련주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주 등이 장중 강세를 기록 중이다. 미국 마이크론의 실적 가이던스(예상치) 상향 소식 속에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35분 현재 HBM 관련주 중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2.51% 상승한 27만5750원에 거래 중이다. 또 한미반도체(+2.79%), 이오테크닉스(+2.39%), 에스티아이(+3.39%), 오로스테크놀로지(+7.79%), 피에스케이홀딩스(+1.79%) 등이 상승 또는 급등

미국 메모리반도체 회사 마이크론이 D램 가격 개선을 이유로 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높여 발표했다. 6~8월 매출액은 기존 104억~110억 달러에서 111억~113억 달러로, 주당순이익(EPS)은 2.35~2.65달러에서 2.78~2.92달러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D램 수요가 늘며 가격이 높아진 여파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미칠 전망이다. 13일 한국투자증권은 '마이크론의 예고편, 3분기 흥행 예감' 보고서에서 "실제 3분기 서버를 중심으로

이재모 독립리서치 ARIS 대표는 "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 반도체 공장의 클린룸 공사를 오는 10월 정도 마무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대표는 12일 한국경제TV에서 "삼성전자가 1년 이상 지연시켰었던 미국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 장비 발주를 한다는 소식에 증시 기대감이 생기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통상적으로 클린룸 공사가 마무리되면 다음 장비인 공정 자동화나 노광 증착 장비 기타 검사 장비, 이후 가스 정화와 같은 보통 설비 등 주변 장치를 잇따라 도입한다"며 "지금 해당 장비 발주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총 52조 원 정도가 투입되는 공장"이라며 "규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장비에 대한 발주 기대감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테슬라 등) 고객사를 확보를 했기 때문에 공장을 지어도 되겠다는 의미로 본다"며 "삼성전자와 협력했던 업체들 대부분 수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대표는 "한양이엔지와 신성이엔지는 장비 수주를 이미 받아 장비가 들어가고 있는 상태"라며 "공정 자동화 장비는 에스에프에이, 로체시스템즈가 가장 유력하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또 "증착 장비 경우에

평온하고 인적이 드문 전형적 농촌 마을 경기도 용인특례시 원삼면 독성·죽능리 일대가 매일 아침 수천명의 인파로 북적인다. 수십대의 대형 크레인들도 역동적으로 움직이며 아주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오는 2027년 첫 번째 팹(Fab) 가동을 목표로 초대형 건설공사를 진행 중인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때문이다.이처럼 SK하이닉스가 122조원을 투자하는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 이동·남사읍에 삼성전자가 360조원을 투자하는 첨단시스템반도체클러스터를 구심점으로, 지금 용인시에는 세계를 뒤흔들 ‘거대 반도체클러스터 밸리’가 조성 중이다. 그야말로 반도체 기업 중심의 세계 첨단기업도시로 급부상할 채비를 갖추고 있는 모양새다.세계 5대 반도체 장비업체 중 ASML과 램리서치, 도쿄일렉트론 등 3개 업체가 이미 용인에 들어왔거나 용인 입주를 확정했다.램리서치의 한국법인인 램리서치코리아는 기흥구 지곡일반산단 내에 지난 2022년 미국 외 지역 최대 규모 연구개발(R&D)센터인 코리아테크놀로지센터를 개설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엔 본사와 트레이닝센터가 포함된 용인캠퍼스를 이곳에 개관해 가동하고 있다.도쿄일렉트론 한국법인인 도쿄일렉트론코리아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인근 원삼일반산단 내 2만7032㎡ 산업시설용지에 연면적 6만1788㎡ 규모 R&D센터인 ‘TEL Technology Center Korea-Y’를 지난 18일 착공했다.세계적 EUV 노광장비 업체인 ASML은 구체적 계획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용인반도체클러스터 협력화단지 내에 사무소를 설치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용인시와 입주 협약까지 마친 상태다.세계 5대 반도체장비업체는 ASML(네덜란드), 어플라이드머터리얼즈·램리서치·KLA(미국), 도쿄일렉트론(미국) 등이다.국내 굴지의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도 대거 용인으로 몰려오고 있다.에어프로덕츠코리아,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유진테크, 테스, 로체시스템즈, 주성엔지니어링 등이 이미 터를 잡고 있었는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초대형 산단을 조성하자 소부장 기업들도 서로 앞다퉈가며 들어오고 있거나 시설을 확장하는 데다가 신설하는 기업도 늘어나는 추세다.시에 따르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협력화단지에는 분양 대상 39개 필지 중 35개 필지에 이미 원익IPS, 솔브레인, 주성엔지니어링, SK스페셜티 등 굴지의 소부장 기업 32곳이 입주를 확정했다.내년부터 부지 조성 공사가 진행되는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에도 60곳 이상의 소부장 기업이 들어올 예정이다.무엇보다 반도체 제조 관련 기업들만 들어오는 게 아니라 대규모 연구개발(R&D) 투자도 함께 진행된다는 점이다.이는 단순 제조 도시가 아니라 첨단 연구개발 인력이 대거 유입돼 제조·연구개발 기능을 함께 갖춘 뛰어난 경쟁력의 첨단기업도시로 발전하고 있어서다.대표적으로 삼성전자는 기흥캠퍼스(미래연구단지) 일대에 20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기술 초격차 유지에 필수 시설인 연구용 팹(Fab) 3기를 조성 중이다. 이곳엔 2030년까지 14만평 규모 차세대 반도체 연구동(3개동)도 조성된다.SK하이닉스가 조성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엔 첫 번째 팹(Fab)과 함께 소부장 기업들의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테스트베드(양산연계형 미니팹)도 조성된다.용인시가 경기도, SK하이닉스 등과 공동으로 건설하는 이 테스트베드는 트리니티팹으로 불리는 데 반도체 양산 팹과 동일한 환경에서 12인치 웨이퍼 기반의 최신 공정·계측 장비 약 40대를 갖추고 소부장 기업들이 개발한 제품의 양산 신뢰성을 반도체 칩 제조기업과 함께 검증하게 된다.“시간이 곧 보조금… 인허가 등 지원에 역량 총동원”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상일(사진) 용인특례시장은 3일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용인특례시는 반도체 산업엔 ‘시간이 곧 보조금’이란 마음가짐으로 중앙정부와 협력해 인허가 등 행정지원에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를 반드시 성공시키기 위해 필요한 행정지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그는 “세계 주요 선진국은 반도체 패권을 잡기 위해 속도전을 벌이고 있다”며 “특히 도로·철도 등 교통 인프라 확충에도 남다른 노력을 기울이며, 대한민국의 반도체·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용인시는 통상 국가산단 계획이 발표된 뒤 정부의 산단계획 승인까지 4년 반 정도 걸리는 것을 지난해 12월 26일 약 1년 9개월 만에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계획(삼성전자 360조원 투자)에 대한 정부 승인을 받은 바 있다.이 시장은 “최근 용인에 여러 기업이 들어오고 있으나 이는 ‘첨단기업도시 용인’을 알리는 서막일뿐”이라며 “SK하이닉스가 122조원을 투자하는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는 계획된 4기 생산라인(Fab) 중 1기 팹의 절반을 짓는 공사가 시작됐을 뿐으로, 앞으로 투자가 마무리되고, 삼성전자의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에 들어설 6기 팹까지 완성되면 용인엔 셀 수 없이 많은 첨단 우량기업이 입주해서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창출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앞서 이 시장은 국가산단을 신속히 조성하려면 보상을 원활하게 진행해서 국가산단 구역 내 주민들과 기업들을 신속히 이주시켜야 한다며 정부를 설득해 2023년 11월 29일 36만㎡ 규모 이주자택지를 확보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 26일엔 50만㎡ 규모 이주기업 전용산단까지 확보했다.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유진테크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338,067,812,312 22.25% 61,177,012,897 151.49% 65,440,277,257 157.67%
2023.4Q 276,533,350,776 -10.98% 24,325,728,964 -54.65% 25,397,015,593 -40.38%
2022.4Q 310,632,900,000 -4.30% 53,640,954,000 -27.43% 42,595,164,000 -32.60%
2021.4Q 324,575,850,000 60.21% 73,911,984,000 231.65% 63,193,770,000 541.13%

순매수량

개인: 5,463

기관: 464

외인: -5,967

누적 순매수량

개인: -1,090,194

기관: 534,725

외인: 575,300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7 5,463 464 -5,967
2025-08-26 4,004 -9,771 6,390
2025-08-25 134 7,752 -7,542
2025-08-22 41,278 8,792 -51,426
2025-08-21 -18,668 44,319 -23,662
2025-08-20 -55 10,711 -10,761
2025-08-19 -18,979 5,684 13,552
2025-08-18 -5,153 -4,111 9,130
2025-08-14 -89,421 64,259 24,942
2025-08-13 -44,739 41,568 2,946
2025-08-12 -61,788 42,059 19,426
2025-08-11 -26,955 41,724 -14,808
2025-08-08 -72,781 55,553 17,282
2025-08-07 -5,420 -14,386 19,680
2025-08-06 19,202 -72,279 52,908
2025-08-05 17,767 -22,846 5,104
2025-08-04 4,081 -33,968 30,258
2025-08-01 -3,211 -31,404 33,900
2025-07-31 15,025 -6,639 -8,613
2025-07-30 -80,689 68,689 11,769
2025-07-29 1,305 16,435 -17,810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7 -319,600 212,605 106,698
2025-08-26 -325,063 212,141 112,665
2025-08-25 -329,067 221,912 106,275
2025-08-22 -329,201 214,160 113,817
2025-08-21 -370,479 205,368 165,243
2025-08-20 -351,811 161,049 188,905
2025-08-19 -351,756 150,338 199,666
2025-08-18 -332,777 144,654 186,114
2025-08-14 -327,624 148,765 176,984
2025-08-13 -238,203 84,506 152,042
2025-08-12 -193,464 42,938 149,096
2025-08-11 -131,676 879 129,670
2025-08-08 -104,721 -40,845 144,478
2025-08-07 -31,940 -96,398 127,196
2025-08-06 -26,520 -82,012 107,516
2025-08-05 -45,722 -9,733 54,608
2025-08-04 -63,489 13,113 49,504
2025-08-01 -67,570 47,081 19,246
2025-07-31 -64,359 78,485 -14,654
2025-07-30 -79,384 85,124 -6,041
2025-07-29 1,305 16,435 -17,810

유진테크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527,722,035,559 15.05% 84.95%

유진테크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LPCVD, Plasma, ALD [반도체장비] 87.1%
원부자재 [기타] 9.3%
전구체 [반도체용 산업가스 반도체 소재] 3.6%

유진테크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8,769 (9.94%)

최근 공매도 잔고: 56,420 (0.25%)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27 48,300 8,769 9.94%
2025-08-26 48,450 13,920 15.59%
2025-08-25 49,000 16,339 14.73%
2025-08-22 48,000 16,292 7.98%
2025-08-21 49,400 20,372 11.50%
2025-08-20 49,250 15,060 9.07%
2025-08-19 49,250 16,900 10.64%
2025-08-18 49,400 3,617 2.00%
2025-08-14 50,800 21,368 8.05%
2025-08-13 49,800 28,534 6.50%
2025-08-12 48,000 29,225 6.23%
2025-08-11 46,250 20,558 8.45%
2025-08-08 43,950 20,182 7.42%
2025-08-07 42,300 5,792 5.26%
2025-08-06 41,650 2,980 1.41%
2025-08-05 42,150 3,588 4.51%
2025-08-04 41,750 3,957 3.09%
2025-08-01 41,950 8,097 4.76%
2025-07-31 44,750 16,478 10.43%
2025-07-30 46,150 45,896 10.01%
2025-07-29 43,950 15,175 9.52%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25 49,000 56,420 0.25%
2025-08-22 48,000 51,499 0.22%
2025-08-21 49,400 61,109 0.27%
2025-08-20 49,250 52,822 0.23%
2025-08-19 49,250 45,479 0.20%
2025-08-18 49,400 57,004 0.25%
2025-08-14 50,800 70,128 0.31%
2025-08-13 49,800 88,136 0.38%
2025-08-12 48,000 74,360 0.32%
2025-08-11 46,250 64,709 0.28%
2025-08-08 43,950 42,738 0.19%
2025-08-07 42,300 31,130 0.14%
2025-08-06 41,650 33,185 0.14%
2025-08-05 42,150 65,801 0.29%
2025-08-04 41,750 66,155 0.29%
2025-08-01 41,950 80,919 0.35%
2025-07-31 44,750 87,210 0.38%
2025-07-30 46,150 68,154 0.30%
2025-07-29 43,950 36,112 0.16%
2025-07-28 43,400 20,586 0.09%
2025-07-25 42,050 23,726 0.10%

유진테크 업종 내 비교

반도체/반도체장비 업종(153개) 연간 기준

항목 유진테크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1,102.822 43,654.32 16위
PER(최근4분기) 17.486 15.54 48위
PBR 2.581 9.99 33위
ROE(최근4분기) 16.847 -3.62 20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413 1.4 62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8.096 -6.91 16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9.357 -14.75 18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3.812 74.14 113위
매출액(최근연도) 3,380.678 26,011.73 32위
영업이익(최근연도) 611.77 3,832.01 18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654.403 3,643.72 1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