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전자재료 로고

대주전자재료 (078600) 주가 및 종목 정보

대주전자재료 실시간 주가

대주전자재료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70,100 원
변동량 ▼ 600.00 원
변동률 -0.85%
거래량 41,255
거래대금 2,894,540,550 원

대주전자재료 일별 주가

대주전자재료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7/1/2025 70,500 70,800 69,000 70,300 108,482 7,555,079,300
7/2/2025 70,700 75,500 70,300 74,000 350,589 25,759,015,700
7/3/2025 73,400 75,000 71,900 74,000 161,212 11,857,223,400
7/6/2025 74,700 74,700 70,500 70,600 187,449 13,406,601,150
7/7/2025 70,400 71,500 69,100 69,800 133,606 9,327,850,450
7/8/2025 70,100 70,400 68,900 69,200 91,263 6,327,941,650
7/9/2025 69,700 69,800 68,800 69,400 80,756 5,586,646,600
7/10/2025 69,900 71,900 69,600 70,800 189,650 13,499,261,750
7/13/2025 72,000 72,100 70,300 71,100 115,358 8,217,723,200
7/14/2025 71,300 71,700 70,300 70,700 81,213 5,737,445,750

관련 테마

  • 2차전지 :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 재료 전문 기업
  • 태양광 : 전자 부품용 소재 전문 제조업체로 태양 전지 전극 재료(전면 전극 용도의 Ag 파우더, 후면 전극 용도의 Ag 페이스트와 Al 페이스트) 생산
  • 2차전지-소재부품 :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 재료 전문 기업
  • 적층세라믹콘덴서 : MLCC 등 전자 부품에 쓰이는 전도성 페이스트 및 LED 등에 쓰이는 형광체와 기타 고분자 재료 등을 생산/판매하는 기업
  • 전고체배터리 : LG화학 형광체 사업부를 인수하여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한 2차전지 음극 재료를 생산하는 기업

대주전자재료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0,944억 60위 15,480,593 17.53% 하드웨어/IT장비 전자장비/기기 129,400 66,000

대주전자재료 기업 개요

대주전자재료는 1981년 7월 설립된 기업으로 전도성페이스트, 태양전지용 전극재료,고분자재료, 형광체재료, 이차전지용 음극재 등의 생산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전도성 페이스트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의 주력 사업인 칩 부품용 전극재료, 고분자재료, LED 형광체 사업을 기반으로 향후에는 첨단 Solar Cell 전극 페이스트, PIG, 이차전지용 음극재료의 소재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여 미래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최신 대주전자재료 관련 뉴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5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1.6% 뛰어오르며 810선에 진입했다. 14일(이하 현지시간) 미국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각국에 대한 관세 부과 엄포에도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는 기대감 속에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한국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5일 미국의 6월 CPI(소비자물가지수)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이 거론됐지만 한국증시는 이런 우려를 뛰어넘었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는 알테오젠, 펩트론, 에이비엘바이오, 케어젠 등 시총 상위 일부

이차전지의 용량과 충전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소재인 실리콘 음극재에 대한 핵심 특허를 한국 기업들이 다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특허 수로는 중국이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14일 이차전지 시장 조사 업체인 SNE리서치가 발간한 '실리콘산화물(SiO)-실리콘카바이드(SiC) 특허 리포트'에 따르면 중국은 2024년 기준 2726건의 특허를 출원해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한국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9일 코스닥 지수가 개인과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사흘째 상승하며 790선을 회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압박이 지속됐지만 투자자들이 관세 불확실성에 다소 둔감해진 반면 국내 정책 기대감에 적극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시장의 무게중심이 코스피 대형주들로 옮겨가면서 코스닥 지수 상승폭은 코스피에 미치지 못했고 거래대금도 이틀째 5조원 대에 머물렀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코스닥 시총 1위인 알테오젠은 전일 대비 1.07% 상승한 42만3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HL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8일 코스닥 지수가 개인과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이틀째 상승하며 780선을 회복했다. 미국으로부터 관세 서한을 받았지만 부과시점이 당초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미뤄지면서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는 점이 증시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삼성전자가 이날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지만 3.9조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결정을 공시한 점,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대감이 거론된 점 등도 한국증시에 훈풍이 됐다. 다만 시장의 무게중심이 코스피 대형주들로 옮겨가면서 코스닥 지수 상승폭은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국내증시이날 코스피지수는 0.17% 상승한 3059.47에 장을 마감했다.수급별로는 개인이 1524억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912억, 810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

대주전자재료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19,316,249,770 18.56% 29,353,571,296 372.76% 36,394,010,154 5694.11%
2023.4Q 184,988,881,822 6.26% 6,208,941,102 -48.13% 628,120,911 -21.26%
2022.4Q 174,098,400,000 -12.38% 11,970,916,000 -31.97% 797,710,900 -96.53%
2021.4Q 198,707,690,000 28.58% 17,596,082,000 95.05% 22,969,305,000 337.43%

순매수량

개인: 31,625

기관: -4,243

외인: -27,280

누적 순매수량

개인: 851,041

기관: -410,936

외인: -414,579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5 31,625 -4,243 -27,280
2025-07-14 11,758 2,859 -14,922
2025-07-11 -52,382 19,898 31,733
2025-07-10 34,577 -3,639 -28,563
2025-07-09 55,506 -11,217 -44,806
2025-07-08 52,939 -15,070 -27,426
2025-07-07 114,455 -54,560 -61,986
2025-07-04 -25,077 42,091 -17,059
2025-07-03 -133,465 59,467 71,267
2025-07-02 33,171 -1,588 -32,883
2025-07-01 8,274 16,468 -24,965
2025-06-30 2,835 16,557 -16,966
2025-06-27 43,428 1,350 -45,303
2025-06-26 19,177 -586 -18,081
2025-06-25 4,301 614 -4,056
2025-06-24 -44,700 -1,127 47,871
2025-06-23 60,474 -9,171 -48,515
2025-06-20 -30,534 276 30,064
2025-06-19 19,865 -2,653 -18,565
2025-06-18 25,232 -3,881 -21,196
2025-06-17 20,066 -40,662 20,584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5 251,525 11,183 -251,053
2025-07-14 219,900 15,426 -223,773
2025-07-11 208,142 12,567 -208,851
2025-07-10 260,524 -7,331 -240,584
2025-07-09 225,947 -3,692 -212,021
2025-07-08 170,441 7,525 -167,215
2025-07-07 117,502 22,595 -139,789
2025-07-04 3,047 77,155 -77,803
2025-07-03 28,124 35,064 -60,744
2025-07-02 161,589 -24,403 -132,011
2025-07-01 128,418 -22,815 -99,128
2025-06-30 120,144 -39,283 -74,163
2025-06-27 117,309 -55,840 -57,197
2025-06-26 73,881 -57,190 -11,894
2025-06-25 54,704 -56,604 6,187
2025-06-24 50,403 -57,218 10,243
2025-06-23 95,103 -56,091 -37,628
2025-06-20 34,629 -46,920 10,887
2025-06-19 65,163 -47,196 -19,177
2025-06-18 45,298 -44,543 -612
2025-06-17 20,066 -40,662 20,584

대주전자재료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630,964,255,832 62.68% 37.32%

대주전자재료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전도성페이스트 44.56%
형광체재료 13.7%
나노재료 12.71%
고분자재료 11.26%
태양전지전극재료 10.29%
기타 7.48%

대주전자재료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5,597 (13.13%)

최근 공매도 잔고: 336,096 (2.17%)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7-15 70,700 15,597 13.13%
2025-07-14 71,100 10,690 6.60%
2025-07-11 70,800 32,491 11.33%
2025-07-10 69,400 22,483 19.99%
2025-07-09 69,200 22,549 16.44%
2025-07-08 69,800 26,833 14.23%
2025-07-07 70,600 24,408 9.84%
2025-07-04 74,000 11,484 5.00%
2025-07-03 74,000 9,916 1.95%
2025-07-02 70,300 16,274 9.46%
2025-07-01 71,200 21,127 9.74%
2025-06-30 71,600 24,949 3.37%
2025-06-27 68,800 16,842 12.36%
2025-06-26 70,400 14,802 7.39%
2025-06-25 69,700 8,626 5.58%
2025-06-24 69,300 6,139 2.36%
2025-06-23 66,800 17,573 9.75%
2025-06-20 69,000 5,626 2.33%
2025-06-19 67,100 6,932 5.35%
2025-06-18 66,600 9,187 6.44%
2025-06-17 66,600 6,710 3.34%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7-11 70,800 336,096 2.17%
2025-07-10 69,400 355,556 2.30%
2025-07-09 69,200 334,800 2.16%
2025-07-08 69,800 311,734 2.01%
2025-07-07 70,600 290,403 1.88%
2025-07-04 74,000 267,331 1.73%
2025-07-03 74,000 235,664 1.52%
2025-07-02 70,300 255,921 1.65%
2025-07-01 71,200 230,989 1.49%
2025-06-30 71,600 202,827 1.31%
2025-06-27 68,800 187,827 1.21%
2025-06-26 70,400 168,503 1.09%
2025-06-25 69,700 173,265 1.12%
2025-06-24 69,300 187,641 1.21%
2025-06-23 66,800 207,042 1.34%
2025-06-20 69,000 181,943 1.18%
2025-06-19 67,100 188,827 1.22%
2025-06-18 66,600 181,579 1.17%
2025-06-17 66,600 174,882 1.13%
2025-06-16 66,400 189,287 1.22%
2025-06-13 69,200 174,436 1.13%

대주전자재료 업종 내 비교

전자장비/기기 업종(99개) 연간 기준

항목 대주전자재료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1,006.702 4,526.7 7위
PER(최근4분기) 28.996 29.74 17위
PBR 4.587 2.42 13위
ROE(최근4분기) 19.303 -3.29 9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141 1.7 38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3.384 -8.91 10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6.594 5.18 11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70.567 93.53 14위
매출액(최근연도) 2,193.162 5,717.37 30위
영업이익(최근연도) 293.536 177.6 1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63.94 154.34 1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