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 신규사업으로 국책과제인 "AI기반 자율주행 컴퓨팅 모듈 개발 및 서비스 실증 사업" 수행과 관련해 관련 기업 투자를 통해 자율주행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으로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참여기업인 토르 드라이브의 지분을 보유 중임
생체인식 : 계열사 드림텍을 통해 휴대폰용 전자 부품, 지문 인식 센서 모듈, 자동차 LED 라이팅, IoT 기반 제품, 광센서 등의 개발 및 제조 사업을 영위
동물백신/방역 : 자회사 유큐아이파트너스(지분 100% 보유) 가 식물성 돼지열병 마커백신 개발 업체 "바이오앱"에 투자
차량용반도체 : 무선 단말기, 디지털 가전기기, 통신 기기 등에 사용되는 비메모리 반도체 판매 및 솔루션 제공 사업 영위하며 차량용 반도체 유통 사업도 영위하고 있음
유니퀘스트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330억
627위
21,600,102
58.75%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8,770
4,010
유니퀘스트 기업 개요
유니퀘스트는 국내의 IT제조사 등 고객사들이 개발하고자하는 제품에 부합되는 반도체 뿐 아니라 기술지원, 교육 등 토탈솔루션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매출은 반도체IC, 기타전기, 영상관련부품의 판매와 영업 및 기술지원에 대한 수수료의 대행사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가 주력하는 시장은 최첨단 비메모리 및 메모리 반도체를 이용하여 전자 IT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기술 마케팅, 영업, 기술지원, 교육을 통한 관련 제품을 공급하는 전문산업분야이다.
[인포스탁데일리=김문영 기자] LS증권은 16일 유니퀘스트에 대해 하반기에 서버용 비메모리 반도체 공급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밝히지 않았다.정홍식 LS증권 연구원은 유니퀘스트의 실적 동향과 관련해 "지난 1분기 매출액 1769억원(전년동기대비+2.7%), 영업이익 99억원(+15.8%, 영업이익률 5.6%)을 기록했으며 과거 10년 CAGR Sales(연평균매출성장률) 10.2%, 영업이익 16.0% 수준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정 연구원은 이같은 성장의 이유에 대해 "자동차용 비메모리
● 핵심 포인트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해 유심을 제조, 생산하는 기업들이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임
- 유심에는 가입자 정보, 전화번호 정보, 인증 키, 서비스 설정 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이 포함됨
- 이번 사태로 인해 사이버 보안 관련주와 생체 인증 관련주가 반사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
- 관련 종목으로는 슈프리마, 아이티센글로벌, 유니퀘스트, 현대모비스, 드림텍 등이 있음
- 이 중 아이티센글로벌을 추천하며, 1차 목표가는 7천원, 손절가는 5700원 제시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한 관련주 동향 지난 4월 28일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태가 알려진 이후, 주식 시장에서는 유심을 제조, 생산하는 기업들이 상당한 강세를 보였다. 이번 사태로 인해 소비자들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사이버 보안 관련주와 생체 인식 관련주가 반사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로 인해 유심에 저장된 정보들이 해킹될 위험이 높아졌다고 지적한다. 유심에는 가입자 정보, 전화번호 정보, 인증 키, 서비스 설정 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이 포
● 핵심 포인트
- 반도체와 양자컴퓨터주 : 현지 시간 17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는 GTC 2025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AI와 가속 컴퓨팅 기술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설 예정이며, 특히 올해 처음으로 퀀텀 데이, 양자의 날이 진행되면서 양자컴퓨터주의 기대감이 부각되고 있음.
- 로봇주 : 이번 GTC에서 블랙웰 울트라와 루빈이 공개될 것으로 전망되며, 추론 AI, 피지컬 AI 제품들도 소개될 것으로 보임. 또한 올 상반기엔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용 소형 컴퓨터 젯슨 토르가 출시될 예정임. 티로보틱스와 유니퀘스트가 각각 60%, 엔비디아의 국내 파트너사로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음.
- 중국 소비테마주 : 지난주 3400선을 탈환한 중국 증시가 회복세로 보이며, 내수 부양책에 훈풍을 받고 있음. 지난 양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제시했고, 내수 부양을 약속함. 이로 인해 중국의 내수 활성화 수혜가 전망되고 한한령 해제와 수출 다변화까지 기대됨. 화장품 ETF들이 견조한 1개월 수익률을 나타냄. ● GTC 2025개막, 반도체·로봇·중국소비주 들썩인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아센디오(012170)가 등락률 29.98%로 1위를 차지했다. 아센디오의 전 거래일 대비 등락률은 29.98%로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현재가는 2710원이었다. 이어 참엔지니어링(009310)은 등락률 29.79%로 두 번째로 높은 상승폭을 보였으며, 현재가는 305원이었다. 고려아연(010130)은 등락률 26.04%로 3위에 올랐고, 현재가는 106만 5000원이었다. 현대해상(001450)과 유니퀘스트(0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