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는 한국, 중국, 미국, 베트남에 위치한 8개 타이어 생산공장을 토대로 글로벌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전세계 판매 네트워크를 갖춘 타이어 제조, 판매 기업이다. 주요 종속기업으로는 미국, 독일, 호주 등의 타이어 제조, 판매 업체가 있다. 주요 매출은 국내외에서의 타이어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글로벌 무역갈등 심화에 따른 경기 및 환율 변동성 확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판매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판매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판매 체계 재정비를 실시해 나가고 있다.
[광주=데일리한국 봉채영 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28일 자치구, 건축안전자문단과 함께 화재 피해로 해체작업 중인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정련반 해체현장에 대한 기획점검을 실시했다.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지난 5월 발생한 화재 이후 8월12일 해체 착공신고가 접수돼 구조물 붕괴 위험과 오염물 확산 방지를 위해 8월18일부터 경찰·소방 입회 하에 현장 감식 및 해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체 계획에 따라 지붕 위 위험요소 제거 후 외부에서 압쇄장비를 활용해 3층부터 순차적으로 철거할 예정이다.이번 점검은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광주 광산구의회는 22일 광산구의 '고용 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관련해 성명서를 내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의회는 지역경제 회복과 고용 안정을 위해 정부, 지자체, 기업, 노동계가 긴밀히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광산구는 최근 대유위니아 계열사 경영 악화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등으로 고용 불안과 지역경제 침체 우려가 커지자 정부로부터 '고용 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번 지정은 정부가 고용 위기 발생
[광주=데일리한국 봉채영 기자] 광산구의회(의장 김명수)가 22일 광산구의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에 대해 환영의 뜻을 전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며 지역경제 회복과 고용 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촉구했다.광산구는 최근 대유위니아 계열사의 경영 악화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등 악재가 겹치며 고용 불안과 지역경제 침체 우려가 커진 가운데 정부로부터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이는 정부가 고용 위기 이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첫 사례로, 향후 6개월간 고용유지지원금, 직업훈련, 생활안정자금 융자 등 정부의 특별
금호타이어가 북미 러버뉴스(Rubber News)가 선정한 ‘2025 일하기 좋은 기업(2025 Best Place to Work)’에 3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일하기 좋은 기업(Best Place to Work Top 9)’ 조사는 인적자원 관리 기관인 워크포스 리소스 그룹(Workforce Resource Group)을 통해 북미에 위치한 고무 생산 및 가공 관련 업체 중 9곳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평가 기준은 ▲직장 내 문화 ▲정책과 관행 등 기업 환경 ▲직원 설문조사를 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