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출판사 로고

삼성출판사 (068290) 주가 및 종목 정보

삼성출판사 실시간 주가

삼성출판사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6,900 원
변동량 ▲ 590.00 원
변동률 3.62%
거래량 35,649
거래대금 594,527,620 원

삼성출판사 일별 주가

삼성출판사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24/2025 16,300 16,440 15,890 16,070 25,242 405,004,760
9/25/2025 16,110 16,270 15,770 15,880 18,562 295,912,350
9/28/2025 15,870 16,010 15,820 15,850 10,881 173,038,680
9/29/2025 15,900 15,900 15,380 15,390 22,270 345,011,265
9/30/2025 15,390 15,450 15,070 15,130 15,059 228,702,850
10/1/2025 15,180 15,180 14,810 15,100 20,740 310,757,380
10/9/2025 15,690 15,850 15,080 15,770 23,662 363,969,660
10/12/2025 15,810 16,540 15,430 16,300 30,691 492,392,015
10/13/2025 16,300 16,600 16,010 16,310 19,489 319,250,160
10/14/2025 16,350 16,920 16,310 16,900 35,649 594,527,620

관련 테마

  • 저출산 : 유아동 서적, 영어 교재 등의 출판 사업을 영위하며 키즈 컨텐츠(핑크퐁, 아기상어)를 제작하는 스마트스터디를 자회사로 보유
  • 교육 : 유치원과 초등학생 대상의 영어 교재 및 성인 교양물 등을 출간하는 사업 영위
  • 키즈 : 핑크퐁 캐릭터를 보유한 아동·유아용 출판물 제작사로 아트박스를 종속 회사로 보유
  • 크리스마스 : 핑크퐁을 만드는 회사인 스마트스터디의 2대 주주로 있는 기업

삼성출판사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690억 555위 10,000,000 0.72% 미디어 언론/출판 24,000 12,880

삼성출판사 기업 개요

삼성출판사는 유아동 출판, 교육, 완구류의 제조 및 판매를 주축으로 영어교재(삼성영어) 및 휴게소 사업, 부동산임대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종속기업은 문구 및 패션디자인제품 제조 및 유통업을 영위하는 (주)아트박스가 있다. 주요 매출은 문구 및 팬시, 출판, 휴게소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당사는 1960년대부터 수십년간 출판사업을 영위하면서 쌓아 온 다양하고 우수한 컨텐츠 및 유아동 출판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다.

최신 삼성출판사 관련 뉴스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교육 상장사 부문 1위에 웅진씽크빅이 선정됐다고 9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해당 부문별 트렌드(Trend)·미디어(Media)·소셜(Social)·긍정(Positive)·부정(Negative)·활성화(TA)·커뮤니티(Community) 인덱스 등의 가중치 배제 기준을 적용한 합산 수치로 산출된다. 이번 K-브랜드지수 교육 상장사 부문은 교육 상장사 시총 상위 주요 기업 브랜드를 대상으로, 2025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온라인 빅데이터 41만 245건을 분석했다. K-브랜드지수 교육 상장사 부문은 웅진씽크빅이 1위를 탈환했으며, 비상교육(2위), 와이즈넛(3위), 크래버스(4위), NE능률(5위), 삼성출판사(6위), 메가스터디교육(7위), 윌비스(8위), 멀티캠퍼스(9위), 대교(10위)이 TOP10에 이름을 올렸다. 한정근 아시아브랜드연구소 대표는 “이번 교육 상장사 부문에서는 웅진씽크빅이 1위를 차지하며 업계 주도권 변화를 보여줬다. 특히 와이즈넛과 크레버스와 같은 에듀테크 기반 기업들의 순위 상승은 교육 산업이 콘텐츠 중심에서 플랫폼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덧붙여

▶ 글 싣는 순서 ① 독서도 '죄'였다…총대신 책을 들고 일어선 항일 10대들 (계속) "우리는 조선의 자주 독립을 위하여, 책을 읽고, 생각하며, 행동한다."— 상록회 독서회 회칙 中 1937년 3월 14일 봄, 강원도 춘천공립고등보통학교(현 춘천고) 5학년 남궁태·이찬우·문세현·용환각·백흥기·조규석 등 7명은 '상록회'를 조직한다. 일본의 언어, 사상, 생활방식을 강요하는 조선총독부의 황국신민화 정책 아래에서도 상록회 회원들은 자신들은 물론 민족의 운명을 바꾸려는 행동에 나선 것이다. 겉으로는 '독서회'라는 이름의 학생 모임이었다. 그러나 목표는 조선의 자주성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을 이루는 데 필요한 '사상의 무장'을 목표로 한 항일운동 조직이었다. 그들은 책을 읽고 사상을 공유하고 마을로 나가 가르치고 계몽운동을 했다. 책 읽는 학생들, 독립을 꿈꾸다 1937년 처음 독서회가 결성 당시 작성된 선언문에 이들의 방향성이 명확히 드러난다. "조선 동포를 구제함과 동시에 일본의 착취와 압박을 받으며 살 수는 없다. 회를 조직해 이를 극복하자" 이날 모임의 주축이었던 이찬우, 용환각, 남궁태, 조규석 등은 회칙을 만들고 필독서를 정했다. 매월 80전을 회비로 내고, 최소 두 권 이상의 책을 읽는 것이 규칙이었다. 이광수의 『조선의 현재와 장래』, 심훈의 『상록수』 등 민족주의와 계몽주의 성향의 서적들이 중심이었다. 당시 춘천경찰서의 '압수금품총목록' 기록을 보면 상록회 소유 서적 목록에는 이광수의 사상서뿐만 아니라 조선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 당대의 대중소설류까지 두루 등장한다. 거친 옷과 죽 한 그릇… '오정'으로 간 학생들 1937년 여름방학. 독서회 간부였던 이찬우는 인근 농촌 시찰에서 참혹한 현실을 목격했다. "거친 옷을 입고 죽 한 그릇으로 겨우 살아가는 농민이 대다수였습니다" 상록회 구성원들은 농민들의 지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일이 독립운동의 핵심 과제 중 하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조선의 독립을 실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로 '농민의 자각'을 꼽았던 것이다. 즉각 행동에 나섰다. 춘천 근처 오정마을을 거점으로 실천적 계몽운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기존 청년 조직 '수양단'을 해산시키고 '오정 경로회'라는 새로운 단체를 출범시켰다. 겉으로는 노인을 공경하는 단체였지만 청년과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선의 역사와 언어, 민족의식을 전파하는 비밀 계몽조직이었다. 초기 활동은 순탄하지 않았다. 오정리에서 마주한 현실은 책에서 배운 이론과는 달랐다. 학생들은 민족의식과 계몽의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지만 글을 모르는 주민들에게는 그 뜻이 닿지 않았다. 말은 벽처럼 돌아왔고 열정은 허공에 흩어졌다. 결국 이들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글자부터 가르치기 시작했다. 장용경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문학박사)은 "1937년에 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당시 학생들이나 지식인들이 소규모 비밀 결사 형태로 민족 운동을 하는 것이 전형적인 방식이었는데 상록회가 바로 그런 10명 내외의 비밀 단체였다"며 "치안유지법은 조선 사회를 마비시키려는 제도적 폭력이었다. 상록회 같은 학생 조직은 이러한 억압에 맞선 상징이었다"고 평가했다. 빵 한 조각으로 벌어진 동맹휴교 '만수당 사건' 1994년 일본 효고교육대학 대학원 학교교육연구과 교과·영역교육전공 사회계 과정에 재학 중이던 이누마 히로카즈(飯沼博一) 씨가 저술한 『春川常緑事件硏究(춘천 상록회 사건 연구) - 상록회 신문 기록을 통해서』라는 논문에 따르면 상록회의 존재가 드라나게 된 도화선은 '민족 차별'에서 촉발된 학생들의 저항이다. '학칙 위반'이나 '비밀결사'라는 명목으로 탄압됐지만 그 본질은 조선인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겪어야 했던 구조적 차별에 대한 자각과 집단적 분노였다. 광주에서 비롯된 학생들의 차별 인식은 10년 후 춘천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반복됐다. 빵을 구매한 행위, 교사의 언사, 동일한 행동에 대한 조선인과 일본인 학생 간의 차별적 처벌 등이 누적되면서 학생들 사이에 불만이 고조됐다. 1938년 10월 8일. 음력 추석날 춘천고보 11명 학생들이 춘천 읍내 음식점 '만수당' (춘천읍 본정 2정목)에서 빵을 사먹던 중 스즈키 교사에게 발각됐다. 해당 음식점은 학생 출입이 금지된 장소였다. 당시 함께 빵을 먹고 있던 일본인 학생 2명은 '주의' 처분에 그쳤지만 조선인 학생 9명은 근신 혹은 정학이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같은 장소, 같은 행동이었지만 처분은 달랐던 것이다. 조선인 학생들은 이를 '내선일체의 원칙에 반하는 명백한 차별'로 규정하고 동맹휴교를 결의했다. 이른바 '만수당 사건'이었다. 상록회사건신문기록 제20권에 기록에 따르면 함영대 학생은 "만수당 사건은 일본인 학생과 조선인 학생이 같이 만수당에 갔는데 일본인 학생은 주의만 받고 조선인 학생만 정학을 당했기 때문에 조선인 학생들은 일본인과 조선인을 차별한다고 생각해 크게 분노했고 이 사건이 동맹휴교로 이어진 것"이라고 진술했다. 책을 읽는 것도 '죄'였다, 순국으로 이어진 저항 상록회는 1938년 쯤 춘천 인근에서 활동하던 '무명그룹'과 접촉한다. 이름도 남기지 못한 외부 민족운동조직과 회합을 가졌고 공동의 연대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는 당시 지역 간 항일운동조직이 연결망을 갖추기 시작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들의 연대는 비밀리에 진행됐지만 끝내 일제 경찰의 감시망을 피하지 못했다. 1939년 12월 21일자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피고인 남궁태를 비롯한 12명은 재학 중 민족주의 사상단체인 '상록회(常綠會)'를 결성해 활동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재판 결과 남궁태, 이찬우, 문세현, 용환각, 백흥기, 조규석, 배근석, 조흥환, 이연호, 신기철은 징역 2년 6개월, 전홍기와 차주환은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 받았다. 실형을 선고받은 10명 중 백흥기는 옥고를 치르던 중 감옥에서 순국했다. 상록회의 독서회는 결실을 보지 못했지만 사상과 현실을 연결했고 배움과 실천을 결합했다. 마을과 교실을 넘나들며 독립을 준비한 이들의 발자취는 전국 곳곳의 10대 학생항일운동과 궤를 같이했다. 1937년엔 상록회를 포함해 신의주공립동중학교, 춘천공립농업학교, 원산공립상업학교, 함흥공립농업학교 등의 독서회 및 친목회가 등장했다. 1938년엔 대구사범학교의 '윤독회', 광주공립서중학교의 '무등회', 의명학교 그룹 등이 활동을 이어갔다.이처럼 1930년대 후반은 '비밀결사 전성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엄찬호 춘천 의암학회 회장은 "1930년대 후반 국내 항일운동은 전체적으로 위축됐지만 상록회 등 전국의 학생들이 독서와 계몽이라는 비폭력적 방식으로 독립을 추구한 조직이 많이 있었다. 규모나 체계 면에서 매우 방대했으며 특히 상록회는 국내 학생운동 중 가장 두드러지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익히며 싸운다, 그 뜻을 오늘로 잇다 1930년대 춘천에서는 교복을 입은 10대들이 책을 나눠 들고 조선의 독립을 이끌었다. 상록회 학생들은 교실 안팎에서 책을 매개로 사상을 공유하고 행동했다. 감시를 피해 월례회를 열었고 조직을 위장해 활동했다. 독서회를 통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계몽활동도 벌였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지식을 통한 항일 운동과 민족 정신 계몽을 이어가며 동료, 선후배들의 뜻을 실천해 나갔다. 특히 신기철은 항일운동을 계기로 해방 이후 작고하기까지 민족의 언어 자주성을 지키고 발전시켜야겠다는 신념 아래 성균관대 교수직을 내려놓고 평생을 국어사전 편찬에 힘썼다. 1958년 표준국어대사전(을유문화사)을 출간한 이후 17년 만인 1974년 동생 신용철 선생과 새우리말큰사전(삼성출판사)을 펴냈다. 이후 25년에 걸쳐 한국문화대사전을 집필했고 200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북한 관련 사료를 찾던 중 쓰러진 뒤 유명을 달리했다. 다행히 그가 남긴 원고는 차남 신상진씨와 유족, 기업, 연구기관 등의 노력으로 2008년 총 10권으로 간행됐다. 정부는 1977년 고인에게 대통령 표창을, 1990년엔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기도 했다. 신기철 선생의 셋째 아들 신상진(64)씨는 "아버지께서는 '나의 종교이자 철학은 사전'이라고 평소에도 말씀하셨다. 3·1운동, 광주학생운동과 같이 수 많은 청년들이 피와 눈물로 민족정신을 이어왔고 상록회 역시 그 연장선에 있다"며 "지역마다 있었던 학생 항일운동들을 체계적으로 되살리고 후손들이 제대로 선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철 춘천고등학교 교장은 "일제강점기 동맹휴업과 비밀결사 상록회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펼친 유서 깊은 교정을 역사 투어코스로 개발하고, 재학생에게 상록정신을 알릴 예정"이라며 "이번 재조명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지역 항일운동의 실체를 복원하고 한국 항일학생운동사를 되짚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출판사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40,565,887,090 -2.97% -181,381,974 86.17% 10,853,322,505 23.98%
2023.4Q 41,805,582,644 -19.08% -1,311,944,874 -45.62% 8,753,853,880 -46.76%
2022.4Q 51,665,700,000 -8.10% -900,934,300 -178.58% 16,441,993,000 1432.24%
2021.4Q 187,479,540,000 12.19% 7,997,004,000 277.39% 5,934,976,500 -88.86%

순매수량

개인: -20,737

기관: 83

외인: 13,496

누적 순매수량

개인: 55,846

기관: -16,941

외인: -49,225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5 -20,737 83 13,496
2025-10-14 1,259 1,715 -3,029
2025-10-13 -3,826 -398 4,264
2025-10-10 5,533 -6,430 1,729
2025-10-02 1,617 -5,395 3,778
2025-10-01 3,457 -2,654 -865
2025-09-30 8,545 -5,493 -3,078
2025-09-29 2,030 -987 -781
2025-09-26 3,825 -11 -4,042
2025-09-25 1,092 -707 -305
2025-09-24 1,346 -122 -2,557
2025-09-23 8,666 -6,382 -2,467
2025-09-22 9,089 -46 -11,238
2025-09-19 1,573 493 -2,124
2025-09-18 -2,977 3,992 -2,018
2025-09-17 -1,665 426 1,229
2025-09-16 -1,154 909 357
2025-09-15 1,236 513 -1,871
2025-09-12 355 318 -673
2025-09-11 843 50 -893
2025-09-10 -1,525 -240 1,761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5 18,582 -20,366 -9,327
2025-10-14 39,319 -20,449 -22,823
2025-10-13 38,060 -22,164 -19,794
2025-10-10 41,886 -21,766 -24,058
2025-10-02 36,353 -15,336 -25,787
2025-10-01 34,736 -9,941 -29,565
2025-09-30 31,279 -7,287 -28,700
2025-09-29 22,734 -1,794 -25,622
2025-09-26 20,704 -807 -24,841
2025-09-25 16,879 -796 -20,799
2025-09-24 15,787 -89 -20,494
2025-09-23 14,441 33 -17,937
2025-09-22 5,775 6,415 -15,470
2025-09-19 -3,314 6,461 -4,232
2025-09-18 -4,887 5,968 -2,108
2025-09-17 -1,910 1,976 -90
2025-09-16 -245 1,550 -1,319
2025-09-15 909 641 -1,676
2025-09-12 -327 128 195
2025-09-11 -682 -190 868
2025-09-10 -1,525 -240 1,761

삼성출판사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210,079,482,200 15.82% 84.18%

삼성출판사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유아동 도서,성인교양물 등 [출판] 43.87%
유치원,초등학원 영어교재 등 [출판] 24.98%
직영매장 도서 및 완구 등 [출판] 24.76%
국밥,호도과자,커피 등 [휴게소] 16.93%
사무실 및 창고 임대 등 [임대] 6.4%
중단영업손익 -16.93%

삼성출판사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48 (0.27%)

최근 공매도 잔고: 19,470 (0.19%)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15 16,900 148 0.27%
2025-10-14 16,310 408 1.17%
2025-10-13 16,300 328 0.67%
2025-10-10 15,770 85 0.20%
2025-10-02 15,100 129 0.37%
2025-10-01 15,130 134 0.50%
2025-09-30 15,390 572 1.40%
2025-09-29 15,850 1,108 5.90%
2025-09-26 15,880 301 1.09%
2025-09-25 16,070 1,017 2.25%
2025-09-24 16,290 1,477 2.62%
2025-09-23 16,610 1,867 2.67%
2025-09-22 16,610 271 0.12%
2025-09-19 17,070 445 2.40%
2025-09-18 17,240 638 2.12%
2025-09-17 17,050 39 0.22%
2025-09-16 16,560 30 0.24%
2025-09-15 16,290 74 0.50%
2025-09-12 16,490 24 0.26%
2025-09-11 16,360 28 0.38%
2025-09-10 16,440 24 0.20%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0-13 16,300 19,470 0.19%
2025-10-10 15,770 19,467 0.19%
2025-10-02 15,100 19,467 0.19%
2025-10-01 15,130 19,467 0.19%
2025-09-30 15,390 19,467 0.19%
2025-09-29 15,850 19,171 0.19%
2025-09-26 15,880 19,171 0.19%
2025-09-25 16,070 19,171 0.19%
2025-09-24 16,290 18,661 0.19%
2025-09-23 16,610 18,661 0.19%
2025-09-22 16,610 18,661 0.19%
2025-09-19 17,070 18,661 0.19%
2025-09-18 17,240 18,661 0.19%
2025-09-17 17,050 18,661 0.19%
2025-09-16 16,560 18,661 0.19%
2025-09-15 16,290 18,661 0.19%
2025-09-12 16,490 18,661 0.19%
2025-09-11 16,360 18,661 0.19%
2025-09-10 16,440 18,661 0.19%
2025-09-09 16,200 18,661 0.19%
2025-09-08 16,150 18,661 0.19%

삼성출판사 업종 내 비교

언론/출판 업종(4개) 연간 기준

항목 삼성출판사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631 813.64 1위
PER(최근4분기) 16.516 8.03 1위
PBR 0.922 0.56 1위
ROE(최근4분기) 6.337 -13.82 1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226 1.61 2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0.447 -16.99 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26.755 -47.67 1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8.244 87.04 2위
매출액(최근연도) 405.659 431.25 2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814 -94.7 2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08.533 -210.29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