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로고

현대로템 (064350) 주가 및 종목 정보

현대로템 실시간 주가

현대로템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205,000 원
변동량 ▲ 8500.00 원
변동률 4.33%
거래량 564,070
거래대금 114,019,019,950 원

현대로템 일별 주가

현대로템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6/16/2025 195,600 202,000 191,700 198,000 1,481,919 291,295,415,800
6/17/2025 201,000 204,000 195,600 196,500 1,081,241 215,163,431,400
6/18/2025 196,600 213,000 193,500 212,000 1,562,014 318,491,973,950
6/19/2025 219,000 220,000 204,500 212,000 2,063,225 436,758,518,500
6/22/2025 219,000 220,500 207,500 214,000 1,088,655 231,365,891,500
6/23/2025 201,500 206,000 196,900 200,000 1,683,634 338,689,951,850
6/24/2025 198,900 202,000 190,500 191,800 1,551,571 299,610,191,450
6/25/2025 195,500 202,000 190,000 196,700 1,550,510 302,928,191,700
6/26/2025 201,000 209,500 197,200 201,000 1,203,275 245,499,555,300
6/29/2025 199,000 202,500 195,000 196,500 804,130 159,843,511,250

관련 테마

  • 철도 : 다양한 차종의 철도 차량 완제품 제작 및 수출하며, 철도 차량의 핵심 전장품을 국산화하여 생산한 경험이 있음
  • 방산 : 국내 유일 전차 생산 업체로 전투차량, 무인 무기체계 등 방위산업 영위
  • 로봇 : 웨어러블 로봇용 전기·유압 복합 구동기 및 상용화 개발을 완료했으며, 무인 차량 및 로봇 사업을 추진
  • GTX : 현대자동차 그룹에 속한 회사로 철도 사업과 방산 사업 부문, 플랜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GTX-A 노선 사업을 수주한 기업
  • 남북경제협력 : 철도 산업의 대장주로 꼽히는 기업으로 다양한 차종의 철도 차량 및 핵심 전장품을 공급, 신호, 통신 등 철도 시스템 분야로 사업을 확장 중에 있음
  • 수소차인프라 : 국내 수소 산업 인프라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

현대로템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214,464억 25위 109,142,293 31.95% 건설/인프라 기계 220,500 37,450

현대로템 기업 개요

현대로템은 철도사업, K계열 전차와 차륜형장갑차 양산사업, 방산사업, 스마트팩토리 설비 및 수소인프라 설비 등을 납품하는 플랜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요 종속기업으로는 브라질과 미국에 해외법인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레일솔루션부문, 디펜스솔루션부문, 에코플랜트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수소나 방산 관련된 선행특허 확보를 강화하여 미래기술분야 선점을 꾀하고 있으며, 친환경 차량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특허를 취득하고 있다.

최신 현대로템 관련 뉴스

‘휴보’ 여러 세대 거치며 발전 거듭실험실서 나온 기술 상용화가 관건AI 기술을 휴보의 브랜드로 전환지금이 결정적 타이밍 될 수 있어인간을 닮은 로봇 ‘휴보(Hubo)’는 대한민국 로봇 기술의 상징이다.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오준호 KAIST 교수에게 ‘휴보 아빠’라는 별명이 붙은 것은 그 상징을 말해준다. 휴보는 2004년에 걷기, 계단 오르기, 문 열기, 운전 등 다양한 인간 동작을 구현해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마침내 2015년에는 미국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에서 운전, 장애물 돌파, 밸브 조작 등 8개 미션을 가장 빠르고 완벽하게 수행해 우승을 차지하고 상금 200만 달러(약 22억원)를 받았다. 대한민국 로봇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인정받은 쾌거였다.이후 휴보는 여러 세대를 거치며 발전을 거듭했고, 여기에 최신의 인공지능(AI) 기술이 융합됐다. 영국, 미국, 두바이 등에서 열린 국제 대회에서도 KAIST는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2023년에는 KAIST팀(명현 교수팀)이 ‘국제 사족보행 로봇 경진대회’에서 매사추세츠공대(MIT)팀을 246점 대 60점이라는 큰 차이로 제치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그해 말 사족보행 로봇 ‘하운드(Hound)’는 100m를 19.87초에 주파하며 기네스 세계 신기록을 세워 주목받았다(박해원 교수팀).지난해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해양로봇 경진대회에서 KAIST팀(김진환·심현철 교수팀)은 참가한 세계 52개국팀 가운데 우수한 성적을 거둬 총상금 65만 달러(약 8억6000만원)를 수상했다. 이어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ICRA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종합 1위를 기록하며 KAIST(명현·유지환 교수팀)의 로봇 기술력을 세계에 각인시켰다.AI가 인간의 뇌를 모방하듯 휴보는 인간의 신체 동작을 따라 한다. 그런데 인간의 몸동작 역시 지능에 의해 제어되므로 휴보는 ‘또 다른 AI’라고 할 수 있다. AI가 세상을 인식하면 ‘피지컬 AI’가 되고, 인간의 심부름꾼이 되면 ‘에이전트 AI’가 된다. 이들은 모두 휴보와 같은 자율형 휴머노이드를 통해 구현된다.휴보 로봇은 정말 다양하게 쓰인다. 농업, 의료, 물류, 제조, 안전,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처럼 일할 수 있다. 농장에서 딸기 따는 로봇, 매장과 병원에서 감성형 고객 응대 로봇, 환자를 돌보는 간호 로봇, 음식 배달 및 청소 로봇, 부품 운반 로봇, 무인 항공 정찰 로봇, 목욕탕에서 노약자를 돕는 로봇 등등. 특히 고령화와 인력난으로 휴보는 더욱 수요가 늘어났고,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효용성은 더욱 피부에 와닿게 됐다. 휴보에 모든 AI 기술과 이슈를 하나로 모을 수 있다. 여기에서 반도체, 디지털 트윈, 클라우드, 센서 등 첨단 기술이 융합된다. 이곳에서 승부처를 만들 수 있다.혁신은 실험실을 넘어 시장 한가운데서 완성된다. 이제 실험실에서 나온 휴보 기술은 빠르게 상용화돼야 한다. 진짜 혁신은 기술의 상용화, 즉 ‘돈이 되는 기술’로 입증될 때 진가를 인정받는다. 한국은 기술력과 연구개발(R&D) 역량에서는 우수성을 인정받은 만큼 상업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 자율 휴머노이드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제품 경쟁력과 브랜드’로 자리매김해야 할 때다. AI+ 자율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분야에서 한국은 아직 게임의 승자도, 패자도 아니다. 이제 다음 단계는 명확하다.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브랜드 제품으로 인식, 헤겔식으로 표현하자면 ‘인정투쟁’에서 승리하는 일이다.다행히도 현재 AI+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분야에는 아직 글로벌 절대 강자가 없다. 미국에서는 피겨AI, 테슬라(옵티머스), 보스턴 다이내믹스(아틀라스) 등 민간 기업이 상업화를 본격 추진 중이다. 피겨AI는 BMW 등과 협력해 10만대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테슬라는 옵티머스 로봇을 통해 범용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겨냥하고 있다. 중국 역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자동차·EV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속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은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전자, 현대로템, LG, 두산, HD현대 등이 참전 중이다.한국은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첫째, 로봇 밀도 세계 1위의 제조업 강국으로서 산업 현장에서 실전 데이터와 운영 경험이 풍부하다. 둘째, 부품·소재의 국산화와 함께 세계적 수준의 하드웨어 기술력이 우수하다. 셋째, AI, 로보틱스, 자동화, 자율주행 등 융합 기반 기술력이 견고하다. 넷째, 대학의 연구력, 기업의 생산력, 정부의 전략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며 민관협력 생태계가 형성돼 있다. 문제는 시간의 싸움과 인정투쟁이다.한국은 AI 연구 역량,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세계적인 강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생성형 AI의 시장 경쟁력은 때를 놓쳤다. 제2의 AI 자율주행 휴보 시장 점유를 위해 필요한 것은 ‘제품 실행력’과 ‘글로벌 브랜드’의 구축이다.인지과학·마케팅에 “인식이 제품에 우선한다”는 말이 있다. 제품력 그 자체의 중요성 못지않게 고객의 마음속에 강하게 자리 잡을 때 시장을 차지한다는 뜻이다. 마케팅 전문가 알 리스와 잭 트라우트는 이를 ‘포지셔닝’이라 불렀다. 기동전에 앞서 ‘진지전’에서 승리해야 한다.자율주행 휴보 시장은 현재 ‘심리적 포지셔닝을 위한 이미지 전쟁’ 중이다. 심리적 점유 전에 승리해야 시장에서 승리한다. 테슬라는 옵티머스 로봇 동영상을 띄우며 “전 세계 인류를 위한 범용 로봇”이라는 서사 중심의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피겨AI는 역시 BMW 등과의 협업을 강조하며, 커피를 만들고 사람과 대화하는 로봇 시연 영상을 SNS와 유튜브에 공유해 대중적 신뢰와 친밀감을 쌓고 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화려한 기계체조와 댄스 영상으로 기술력과 감성적 매력을 동시에 홍보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스즈키는 ‘작고, 적게, 가볍게, 빠르게, 아름답게’라는 제조 철학을 부각시키며, 전동 휠체어 및 자율 배송 로봇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제조업과 문화와 휴보 강국인 대한민국은 글로벌 인정투쟁에서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는다. 이미지 전에서 밀린다면 글로벌 경쟁에서 낙오자로 전락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한류가 세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듯 이제 ‘휴보 아이돌’이 나타나 관객의 반응에 실시간으로 교감하면서 ‘AI 휴보 강국’ 코리아의 이미지를 세계인들에게 심어준다면, 대한민국은 휴보 산업의 메카로 인식될 수 있을까. 이 AI 기술을 휴보의 브랜드로 바꾸는 시간, 지금이 그 결정적 타이밍이다.여현덕 KAIST-NYU 석좌교수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52% 상승한 3071.70에 마감했다.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무역협상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072.75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3063.4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오전중 상승폭을 키워 3086.0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소 반납하기도 했으나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3085선까지 올라섰다. 이후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줄였고, 결국 3071.70에서 거래를 마감했다.기관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30일 코스피 지수가 개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3거래일 만에 상승하며 3070선을 회복했다. 지난 금요일(현지시간 27일) 미국증시에서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감,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의 예상치 부합 속에 S&P500과 나스닥 지수가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한국증시에도 훈풍이 됐다. 다음달 8일(현지시간)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종료되는 가운데 미국과 각국의 무역협상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일부 전망도 긍정 요인으로 꼽혔다.기관들이 4600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지수를 이끌었다. 이날 원-

[파이낸셜뉴스]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이 재무와 사업 모두에서 A+ 학점을 받았다. 신용등급은 'A(긍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A+의 고지를 밟았다. 7월 K2전차 폴란드 2차 계약을 앞두고 3월 말 수주잔고만 21조원에 달하는 등 사업에서도 A+ 학점으로 평가된다. 오는 2026년 3월24일까지인 임기 연장에도 청신호가 켜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 사장은 2020년 임기를 시작했으며 2023년 초 재임에 한차례 성공했다. 이 사장은 임기가 3년 안팎이었던 역대 수장들과 달리 현대로템 최장수 CEO로 재직 중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현대로템의 신용등급을 'A(긍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높였다. 2022년 폴란드 군비청과 K2전차 공급 계약(차량 180대 및 탄약, 교육 등 포함, 총 수주금액 33.6억달러)을 체결하는 등 사업 성과를 높게 봐서다. 레일솔루

현대로템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4,376,597,857,000 22.00% 456,565,534,000 117.36% 405,259,414,000 158.49%
2023.4Q 3,587,382,453,000 13.40% 210,046,594,000 42.42% 156,778,978,000 -19.41%
2022.4Q 3,163,343,600,000 10.12% 147,486,670,000 83.86% 194,534,260,000 278.39%
2021.4Q 2,872,511,800,000 3.13% 80,217,965,000 -2.25% 51,411,600,000 129.42%

순매수량

개인: 30,949

기관: 79,220

외인: -110,169

누적 순매수량

개인: 822,860

기관: -1,402,334

외인: 579,474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6-30 30,949 79,220 -110,169
2025-06-27 -49,036 68,004 -18,968
2025-06-26 82,971 174 -83,145
2025-06-25 34,429 -198,729 164,300
2025-06-24 226,934 -197,038 -29,896
2025-06-23 234,564 -199,552 -35,012
2025-06-20 419,123 -128,572 -290,551
2025-06-19 -269,026 151,971 117,055
2025-06-18 92,616 -17,176 -75,440
2025-06-17 123,030 -89,050 -33,980
2025-06-16 -10,487 -39,256 49,743
2025-06-13 194,309 -168,784 -25,525
2025-06-12 -42,660 19,371 23,289
2025-06-11 422,582 -110,358 -312,224
2025-06-10 -237,622 -54,839 292,461
2025-06-09 9,086 -124,900 115,814
2025-06-05 137,330 -54,717 -82,613
2025-06-04 -173,220 -36,878 210,098
2025-06-02 -4,944 11,616 -6,672
2025-05-30 -56,899 -113,945 170,844
2025-05-29 -125,489 225,169 -99,680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6-30 1,038,540 -978,269 -60,271
2025-06-27 1,007,591 -1,057,489 49,898
2025-06-26 1,056,627 -1,125,493 68,866
2025-06-25 973,656 -1,125,667 152,011
2025-06-24 939,227 -926,938 -12,289
2025-06-23 712,293 -729,900 17,607
2025-06-20 477,729 -530,348 52,619
2025-06-19 58,606 -401,776 343,170
2025-06-18 327,632 -553,747 226,115
2025-06-17 235,016 -536,571 301,555
2025-06-16 111,986 -447,521 335,535
2025-06-13 122,473 -408,265 285,792
2025-06-12 -71,836 -239,481 311,317
2025-06-11 -29,176 -258,852 288,028
2025-06-10 -451,758 -148,494 600,252
2025-06-09 -214,136 -93,655 307,791
2025-06-05 -223,222 31,245 191,977
2025-06-04 -360,552 85,962 274,590
2025-06-02 -187,332 122,840 64,492
2025-05-30 -182,388 111,224 71,164
2025-05-29 -125,489 225,169 -99,680

현대로템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5,244,442,521,000 59.06% 40.94%

현대로템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방산물자 [디펜스솔루션 부문] 44%
전동차 [레일솔루션 부문] 43.3%
제철프레스환경운반설비 [에코플랜트 부문] 12.7%

현대로템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8,843 (1.75%)

최근 공매도 잔고: 81,834 (0.07%)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6-30 196,500 18,843 1.75%
2025-06-30 195,300 18,843 1.75%
2025-06-30 198,100 18,843 1.75%
2025-06-27 201,000 53,918 2.79%
2025-06-27 196,300 53,918 2.79%
2025-06-27 203,000 53,918 2.79%
2025-06-26 196,700 34,854 1.61%
2025-06-26 190,000 34,854 1.61%
2025-06-26 194,200 34,854 1.61%
2025-06-25 191,800 74,272 3.41%
2025-06-25 190,500 74,272 3.41%
2025-06-25 190,800 74,272 3.41%
2025-06-24 200,000 113,002 4.70%
2025-06-24 196,900 113,002 4.70%
2025-06-24 199,600 113,002 4.70%
2025-06-23 214,000 170,285 10.88%
2025-06-23 207,500 170,285 10.88%
2025-06-23 214,000 170,285 10.88%
2025-06-20 212,000 328,622 12.38%
2025-06-20 204,500 328,622 12.38%
2025-06-20 211,500 328,622 12.38%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6-26 194,200 81,834 0.07%
2025-06-26 190,000 81,834 0.07%
2025-06-26 196,700 81,834 0.07%
2025-06-25 190,800 109,313 0.10%
2025-06-25 190,500 109,313 0.10%
2025-06-25 191,800 109,313 0.10%
2025-06-24 199,600 212,027 0.19%
2025-06-24 196,900 212,027 0.19%
2025-06-24 200,000 212,027 0.19%
2025-06-23 214,000 263,509 0.24%
2025-06-23 207,500 263,509 0.24%
2025-06-23 214,000 263,509 0.24%
2025-06-20 211,500 227,777 0.21%
2025-06-20 204,500 227,777 0.21%
2025-06-20 212,000 227,777 0.21%
2025-06-19 216,000 49,209 0.05%
2025-06-19 193,600 49,209 0.05%
2025-06-19 212,000 49,209 0.05%
2025-06-18 198,100 60,758 0.06%
2025-06-18 193,700 60,758 0.06%
2025-06-18 196,500 60,758 0.06%

현대로템 업종 내 비교

기계 업종(121개) 연간 기준

항목 현대로템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219,376.009 8,865.79 2위
PER(최근4분기) 43.096 206.15 16위
PBR 10.039 4.37 6위
ROE(최근4분기) 21.848 -1.1 5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05 2.11 61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0.432 -3.36 13위
순이익률(최근연도) 9.26 -5.4 1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63.075 95.46 19위
매출액(최근연도) 43,765.979 5,564.14 3위
영업이익(최근연도) 4,565.655 315.48 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4,052.594 191.36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