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트소프트 로고

이스트소프트 (047560) 주가 및 종목 정보

이스트소프트 실시간 주가

이스트소프트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20,050 원
변동량 ▲ 50.00 원
변동률 0.25%
거래량 37,551
거래대금 754,801,475 원

이스트소프트 일별 주가

이스트소프트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17/2025 20,400 20,600 20,150 20,200 44,620 904,829,650
8/18/2025 20,200 20,400 19,910 19,910 44,145 883,977,555
8/19/2025 19,300 19,500 19,100 19,210 60,583 1,166,718,640
8/20/2025 19,080 19,340 19,080 19,110 48,347 927,863,460
8/21/2025 19,060 19,570 19,060 19,570 42,517 823,932,545
8/24/2025 19,830 20,400 19,700 20,250 58,226 1,175,416,660
8/25/2025 20,050 20,400 19,970 20,200 46,752 939,920,230
8/26/2025 20,500 20,500 20,150 20,250 35,620 721,236,250
8/27/2025 20,250 20,250 20,000 20,000 31,322 629,196,725
8/28/2025 20,150 20,400 19,920 20,050 37,551 754,801,475

관련 테마

  • 모바일게임 : 자회사 이스트게임즈가 카발의 IP를 활요한 모바일 게임 "카발 모바일""을 서비스하고 있음, 이외 모바일 게임 "고양이 다방", "밀리언키티"등을 출시
  • 게임 : 자회사 이스트게임즈가 카발의 IP를 활요한 모바일 게임 "카발 모바일""을 서비스하고 있음, 이외 모바일 게임 "고양이 다방", "밀리언키티"등을 출시
  • 핀테크 : 모바일 및 PC 통합 백신 업체로, 정보 보안업체와의 관련주로 부각
  • 전해철 : 정상원 대표와 전해철의원이 마산고 동문
  • 인터넷 보안 : 통합 백신 프로그램인 알약을 통해 PC 악성 코드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기능을 제공
  • 챗GPT : AI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스마트워크 협업 솔루션 팀업의 새로운 버전인 ‘팀업 4.0’을 출시한 바 있음
  • 딥시크 :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 중인 기업으로, AI 시장 확대와 함께 주목받고 있음

이스트소프트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2,342억 358위 11,685,392 0.99% IT/ICT 소프트웨어 29,300 11,990

이스트소프트 기업 개요

이스트소프트는 1993년 10월 설립된 기업으로 메타버스 사업, 인터넷S/W 사업, 인터넷포털 사업, 자산운용업, 커머스사업, 인터넷게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줌인터넷(주), (주)이스트게임즈, (주)이스트시큐리티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보안 및 인터넷S/W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 버추얼 휴먼, 알약 및 알툴즈, 포털(zum.com), 증강현실(AR) 기술이 적용된 안경 가상피팅 어플 ROUNZ, 카발IP 기반 게임 등이 있으며 버추얼휴먼, 가상피팅 기술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환경에서 적용가능한 사업을 확장시켜나갈 계획이다.

최신 이스트소프트 관련 뉴스

정부가 주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국가대표 AI)'의 핵심 파트너로 선정되면 그간 축적해 온 기술력을 인정 받은 조직이 있다. 바로 LG AI 연구원이다. 2020년 말 AI(인공지능) 분야의 원천 기술 확보와 산업 생태계 혁신을 목표로 출범했다. LG그룹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AI를 선정하며 세운 전담 연구조직으로, 거대언어모델(LLM) '엑사원(EXAONE)'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특화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넷플릭스를 비롯한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과 유튜브 등 글로벌 영상 플랫폼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콘텐츠 현지화의 핵심인 더빙 분야 시장도 커지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성우’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다양한 언어 구현이 가능할 뿐아니라,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월등한 효율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플랫폼은 속속 자체 AI 더빙 기능을 탑재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련 기술력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기업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언어와 문장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국가일수록 더빙 선호 경향이 강하다. 미국 여론조사업체 모닝컨설트가 2022년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독일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국가와 브라질 등 남미 국가에서는 더빙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넷플릭스도 최근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더빙 시스템을 전면 개편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시 최대 30개국 언어로 더빙을 지원하고, 일반 작품도 평균적으로 10개 언어 더빙판을 구비한다는 계획이다.정부는 K-콘텐츠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국내 AI 더빙 기술 적극 활용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FAST)와 AI 더빙 기술을 결합하는 80억원 규모의 ‘K-FAST 확산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AI 더빙 특화 지원 사업 주관사로는 이스트소프트가 선정됐다. 이스트소프트가 운영하는 AI 더빙 플랫폼 ‘페르소닷에이아이’의 기술을 통해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와 예능 프로그램 ‘나는 솔로’ 등 200시간 분량의 K-콘텐츠가 현지화 작업을 거칠 예정이다. 페르소닷에이아이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110개 언어 음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AI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음성에 다양한 감정을 담거나 여러 명이 동시에 말하더라도 매끄럽게 더빙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AI 더빙 스타트업 허드슨에이아이와 비브리지도 사업에 이름을 올렸다. 허드슨에이아이는 AI 더빙 서비스 ‘팀버’를 방송사와 언론사, 콘텐츠 창작자에게 제공한다. 오디오 분리와 화자 인식 기능을 통해 대사와 연기 타이밍을 정확히 분석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비브리지는 발화자의 목소리를 구현하면서 언어만 외국어로 더빙해주는 ‘AI 더빙 솔루션’을 내세우고 있다.글로벌 미디어 플랫폼은 자체 AI 더빙 서비스 도입에 관심을 두는 모습이다. 유튜브는 지난해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자동 번역 및 더빙 기능을 추가했다. 메타는 지난 19일 숏폼 ‘릴스’ 콘텐츠를 자동 더빙하고 입 모양까지 동기화해주는 ‘메타 AI 번역’ 기능을 일부 지역에서 시작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어스는 전 세계 AI 더빙 도구 시장이 2023년 7억9430만 달러(약 1조1000억원)에서 2033년 29억1890만 달러(4조400억원)로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

넷플릭스를 비롯한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과 유튜브 등 글로벌 영상 플랫폼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콘텐츠 현지화의 핵심인 더빙 분야 시장도 커지고 있다. 급증하는 수요에 ‘인공지능(AI) 성우’의 기세도 심상치 않다. 다양한 언어 구현이 가능할 뿐아니라,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월등한 효율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플랫폼의 경우 속속 자체 AI 더빙 기능을 탑재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련 기술력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기업들 움직임이 분주하다.더빙은 콘텐츠의 성공적 현지화에 꼭 필요한 요소다. 특히 언어와 문장 구조가 복잡한 국가의 경우 더빙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미국 여론조사업체 모닝컨설트가 2022년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독일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국가와 브라질 등 남미 국가에서는 더빙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넷플릭스도 최근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더빙 시스템을 전면 개편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시 최대 30개국 언어로 더빙을 지원하고, 일반 작품도 평균적으로 10개 언어 더빙판을 구비한다는 계획이다.정부는 K-콘텐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AI 더빙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FAST)와 AI 더빙 기술을 결합하는 80억원 규모 ‘K-FAST 확산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AI 더빙 특화 지원 사업 주관사로는 이스트소프트가 선정됐다. 이스트소프트가 운영하는 AI 더빙 플랫폼 ‘페르소닷에이아이’의 기술을 통해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와 예능 프로그램 ‘나는 솔로’ 등 200시간 분량의 K-콘텐츠가 현지화 작업을 거칠 예정이다. 페르소닷에이아이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110개 언어 음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AI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음성에 다양한 감정을 담거나, 여러 명이 동시에 말하더라도 매끄럽게 더빙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AI 더빙 스타트업 허드슨에이아이와 비브리지도 사업에 이름을 올렸다. 허드슨에이아이는 AI 더빙 서비스 ‘팀버’를 방송사와 언론사, 콘텐츠 창작자에게 제공한다. 오디오 분리와 화자 인식 기능을 통해 대사와 연기 타이밍을 정확히 분석 가능하다는 것이 강점이다. 비브리지는 발화자의 목소리를 구현하면서 언어만 외국어로 더빙해주는 ‘AI 더빙 솔루션’으로 방송과 유튜브 콘텐츠를 공략하고 있다.글로벌 미디어 플랫폼도 자체 AI 더빙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유튜브는 지난해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자동 번역 및 더빙 기능을 추가했다. 메타는 지난 19일 숏폼 ‘릴스’ 콘텐츠를 자동 더빙하고, 입 모양까지 동기화해주는 ‘메타 AI 번역’ 기능을 일부 지역에서 시작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어스는 전 세계 AI 더빙 도구 시장이 2023년 7억9430만 달러(약 1조1000억원)에서 2033년 29억1890만 달러(4조400억원)로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

정부와 민간이 함께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FAST)의 발전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댄 자리에 "뼈 아프다" "가슴 아프다"는 탄식이 쏟아졌다.한국의 전통문화와 K팝을 소재로 만들어져 국제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국내에서 제작되지 못했다는 점에 아쉬움을 토로한 것이다. 22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는 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 행사의 일환으로

딜라이브TV가 제작한 콘텐츠들이 지역을 넘어 해외 시청자들을 찾아간다.딜라이브는 이스트소프트 컨소시엄 FAST 채널에 딜라이브TV 오리지널 콘텐츠 두 편을 제공한다고 22일 밝혔다.이스트소프트 컨소시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AI 더빙 특화 K-FAST 확산 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해당 사업에는 총 6개 컨소시엄이 확정됐고, 20개 K-FAST 채널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딜라이브가 제공하는 '아트 앤..

이스트소프트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02,456,507,554 10.79% -13,456,406,745 -51.08% -14,571,880,098 -25.14%
2023.4Q 92,481,784,434 4.18% -8,907,053,307 -57.14% -11,644,670,471 -41.58%
2022.4Q 88,767,504,000 -0.91% -5,668,272,600 -156.32% -8,224,780,300 -336.56%
2021.4Q 89,582,770,000 7.09% 10,065,129,000 71.13% 3,476,892,000 -51.31%

순매수량

개인: -716

기관: 4

외인: 2,744

누적 순매수량

개인: 15,552

기관: -26,258

외인: 11,289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716 4 2,744
2025-08-28 -3,708 5 3,652
2025-08-27 -10,417 17 10,131
2025-08-26 -14,716 57 14,249
2025-08-25 -27,853 65 27,863
2025-08-22 -12,334 -7 12,276
2025-08-21 -11,387 19 12,207
2025-08-20 1,913 43 -2,015
2025-08-19 7,944 93 -8,037
2025-08-18 885 64 -1,176
2025-08-14 -5,002 44 4,839
2025-08-13 6,534 -41 -6,893
2025-08-12 -29,233 -21 27,589
2025-08-11 -2,712 -14 674
2025-08-08 16,961 -9,949 -6,802
2025-08-07 -2,452 -33 2,374
2025-08-06 3,556 -10 -2,540
2025-08-05 6,933 -452 -8,034
2025-08-04 29,741 -703 -31,483
2025-08-01 4,468 -27 -4,465
2025-07-31 -1,876 32 1,411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43,471 -10,814 48,564
2025-08-28 -42,755 -10,818 45,820
2025-08-27 -39,047 -10,823 42,168
2025-08-26 -28,630 -10,840 32,037
2025-08-25 -13,914 -10,897 17,788
2025-08-22 13,939 -10,962 -10,075
2025-08-21 26,273 -10,955 -22,351
2025-08-20 37,660 -10,974 -34,558
2025-08-19 35,747 -11,017 -32,543
2025-08-18 27,803 -11,110 -24,506
2025-08-14 26,918 -11,174 -23,330
2025-08-13 31,920 -11,218 -28,169
2025-08-12 25,386 -11,177 -21,276
2025-08-11 54,619 -11,156 -48,865
2025-08-08 57,331 -11,142 -49,539
2025-08-07 40,370 -1,193 -42,737
2025-08-06 42,822 -1,160 -45,111
2025-08-05 39,266 -1,150 -42,571
2025-08-04 32,333 -698 -34,537
2025-08-01 2,592 5 -3,054
2025-07-31 -1,876 32 1,411

이스트소프트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200,081,216,423 60.37% 39.63%

이스트소프트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AI, S/W 사업 51.6%
카발 온라인, 카발 모바일, 고양이 다방1, 고양이 다방2 [게임 사업] 22.4%
줌닷컴, 딥다이브, 인베스팅뷰 [포털 사업] 9.9%
라운즈 [커머스 사업] 8.3%
엑스포넨셜자산운용, 펀드 [자산운용업, 투자자문업, 투자일임업] 7.8%

이스트소프트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523 (0.85%)

최근 공매도 잔고: 262,752 (2.25%)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29 20,050 523 0.85%
2025-08-28 20,000 44 0.08%
2025-08-27 20,250 102 0.17%
2025-08-26 20,200 160 0.22%
2025-08-25 20,250 12 0.01%
2025-08-22 19,570 3,136 4.27%
2025-08-21 19,110 2,147 3.18%
2025-08-20 19,210 2,293 2.25%
2025-08-19 19,910 2,086 2.61%
2025-08-18 20,200 1,860 2.47%
2025-08-14 20,850 298 0.39%
2025-08-13 20,800 154 0.13%
2025-08-12 20,700 178 0.09%
2025-08-11 20,150 2,740 1.78%
2025-08-08 20,050 4,086 3.20%
2025-08-07 20,500 6,208 6.38%
2025-08-06 20,550 90 0.07%
2025-08-05 20,650 1,067 0.33%
2025-08-04 21,350 2,631 0.09%
2025-08-01 20,550 1,850 1.72%
2025-07-31 21,500 3,553 1.54%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27 20,250 262,752 2.25%
2025-08-26 20,200 268,130 2.29%
2025-08-25 20,250 278,364 2.38%
2025-08-22 19,570 300,457 2.57%
2025-08-21 19,110 310,980 2.66%
2025-08-20 19,210 319,774 2.74%
2025-08-19 19,910 322,746 2.76%
2025-08-18 20,200 314,833 2.70%
2025-08-14 20,850 315,019 2.70%
2025-08-13 20,800 318,310 2.73%
2025-08-12 20,700 317,377 2.72%
2025-08-11 20,150 338,401 2.90%
2025-08-08 20,050 337,896 2.89%
2025-08-07 20,500 333,708 2.86%
2025-08-06 20,550 332,590 2.85%
2025-08-05 20,650 330,527 2.83%
2025-08-04 21,350 334,240 2.86%
2025-08-01 20,550 293,162 2.51%
2025-07-31 21,500 293,034 2.51%
2025-07-30 20,550 293,117 2.51%
2025-07-29 20,300 282,413 2.42%

이스트소프트 업종 내 비교

소프트웨어 업종(80개) 연간 기준

항목 이스트소프트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2,337.078 1,560.31 12위
PER(최근4분기) -27.436 -5.24 63위
PBR 3.33 9.09 12위
ROE(최근4분기) -16.624 -3.41 63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3.134 -22.48 60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4.223 -5.42 61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24.922 75.88 10위
매출액(최근연도) 1,024.565 2,170.65 15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34.564 166.91 77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45.719 130.93 77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