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셈 로고

유니셈 (036200) 주가 및 종목 정보

유니셈 실시간 주가

유니셈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6,860 원
변동량 ▼ 20.00 원
변동률 -0.29%
거래량 137,336
거래대금 940,375,265 원

유니셈 일별 주가

유니셈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6/30/2025 6,120 6,210 6,070 6,100 224,299 1,373,454,240
7/1/2025 6,080 6,100 5,950 6,060 150,386 903,072,265
7/2/2025 6,080 6,360 6,080 6,360 281,621 1,766,468,865
7/3/2025 6,490 6,750 6,370 6,570 885,990 5,829,896,105
7/6/2025 6,570 6,590 6,400 6,520 291,978 1,898,667,190
7/7/2025 6,520 6,620 6,410 6,430 207,878 1,351,249,305
7/8/2025 6,450 6,720 6,400 6,640 396,121 2,617,757,020
7/9/2025 6,640 6,650 6,480 6,550 286,242 1,873,184,035
7/10/2025 6,600 7,000 6,590 6,800 591,638 4,056,092,195
7/13/2025 6,810 6,970 6,740 6,880 344,580 2,359,543,060

관련 테마

  • 핀테크 : 보안 인증 및 결제 솔루션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한국 스마트아이디를 흡수합병한 기업
  • 삼성전자 : 반도체 장비인 Scrubber를 국내 최초로 개발한 업체로서, 반도체 장비, LCD 장비 등의 제작, 판매업을 영위
  • 반도체장비 : 반도체 공정에서 생기는 유해 가스 처리 장비인 스크러버와 온도 조절 장치인 칠러를 생산하는 기업
  • 반도체후공정 : 반도체 공정에서 생기는 유해 가스 처리 장비인 스크러버와 온도 조절 장치인 칠러를 생산하는 기업

유니셈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2,109억 404위 30,664,223 6.77%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11,500 5,210

유니셈 기업 개요

유니셈은 1988년 11월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장비 및 부품 제작 판매업, 전기, 전자제품 및 부품 제작 판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가스 스크러버 제품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신규 사업부문인 IoT사업부를 통해 AI 기반의 비전인식 기술과 첨단 IoT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큐리티, 스마트물류, 스마트트래픽분야에서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신 유니셈 관련 뉴스

[데일리한국 김영문 기자] 유니셈이 지난달 27일 포항시청에서 개최된 '제10회 환경·안전포럼 및 실천대상'에서 환경안전부문 경기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환경안전포커스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매년 국회, 지방자치단체, 언론 등에서 환경 분야 숨은 공로자를 찾아 환경안전 대상을 수여하는 시상식이다.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포항시민과 공무원, 관계자 등 180여명이 참석해 환경과 안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와 실천 의지를 다졌다.지속적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실천해온 유니셈은 이번 수상을 통해

유안타증권은 유니셈이 반도체 공정장비의 변화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14일 전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스크러버는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탄소 배출량을 축소하기 위해 번 타입(Burn Type)에서 플라즈마 타입(Plasma Type), 히터 타입(Heat-wet Type) 등으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삼성전자 신규 생산라인(Fab) 내 플라즈마 방식에 대한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사의 평균판매가격(ASP) 및 이익률 개...

유니셈(036200)은 연결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119억원으로 전년대비 31.3% 줄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2250억원으로 전년보다 3.06%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170억원으로 전년보다 6.39% 줄었다.

[파이낸셜뉴스]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 비오이(BOE)가 건설 중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장에 들어갈 장비 발주를 본격화하면서 신성이엔지와 나래나노텍, 아바코 등 국내 장비기업들이 잇달아 수혜를 보고 있다. 이어 디엠에스와 에스에프에이, 탑엔지니어링 등이 장비를 공급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신성이엔지와 나래나노텍, 아바코, 선익시스템, 아이씨디 등이 비오이가 중국 쓰촨성 청두첨단기술지구에 630억위안(약 12조원)을 들여 짓고 있는 OLED 공장에 들어갈 장비를 수주했다. 실제로 비오이는 8.6세대 OLED 공장인 ‘B16라인’을 짓고 있다. 8.6세대는 가로 2250㎜, 세로 2600㎜ 크기 OLED 유리 기판 규격을 말한다. 기존 가로 1500㎜, 세로 1850㎜ 크기인 6세대와 비교해 유리 기판 크기가 2배 이상 커 생산 효율이 높

이번주에 기관투자자들이 보유 비중을 확대한 종목은 펩트론, 유니셈, 코스메카코리아, 한성기업, 한국화장품제조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투자자들은 3일까지 펩트론을 52만9737주..

유니셈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18,160,735,643 -6.01% 9,974,310,432 -42.64% 15,504,799,224 -14.95%
2023.4Q 232,111,743,013 -8.34% 17,388,081,940 -40.12% 18,230,112,881 -6.94%
2022.4Q 253,229,090,000 -14.47% 29,036,650,000 -33.54% 19,588,907,000 -48.66%
2021.4Q 296,076,500,000 37.63% 43,689,320,000 35.58% 38,156,333,000 85.75%

순매수량

개인: 82,379

기관: 20,185

외인: -109,101

누적 순매수량

개인: 240,003

기관: -454,789

외인: 201,595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4 82,379 20,185 -109,101
2025-07-11 -113,493 67,093 42,937
2025-07-10 69,527 49,492 -119,019
2025-07-09 -23,618 73,425 -49,907
2025-07-08 57,227 999 -58,325
2025-07-07 31,507 50,054 -81,564
2025-07-04 -96,244 19,206 72,551
2025-07-03 -89,126 24 89,884
2025-07-02 11,271 -4,200 -7,648
2025-07-01 -24,470 -385 24,687
2025-06-30 23,814 -20,962 -2,914
2025-06-27 55,856 -32,146 -23,812
2025-06-26 -15,270 -608 15,893
2025-06-25 -14,000 -631 14,924
2025-06-24 -58,801 -2,337 61,258
2025-06-23 40,937 -641 -41,371
2025-06-20 30,212 -1,226 -27,061
2025-06-19 45,713 320 -46,032
2025-06-18 -58,646 43,593 15,461
2025-06-17 -31,775 -31,390 63,216
2025-06-16 14,326 -27,701 13,039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4 -62,674 202,164 -152,904
2025-07-11 -145,053 181,979 -43,803
2025-07-10 -31,560 114,886 -86,740
2025-07-09 -101,087 65,394 32,279
2025-07-08 -77,469 -8,031 82,186
2025-07-07 -134,696 -9,030 140,511
2025-07-04 -166,203 -59,084 222,075
2025-07-03 -69,959 -78,290 149,524
2025-07-02 19,167 -78,314 59,640
2025-07-01 7,896 -74,114 67,288
2025-06-30 32,366 -73,729 42,601
2025-06-27 8,552 -52,767 45,515
2025-06-26 -47,304 -20,621 69,327
2025-06-25 -32,034 -20,013 53,434
2025-06-24 -18,034 -19,382 38,510
2025-06-23 40,767 -17,045 -22,748
2025-06-20 -170 -16,404 18,623
2025-06-19 -30,382 -15,178 45,684
2025-06-18 -76,095 -15,498 91,716
2025-06-17 -17,449 -59,091 76,255
2025-06-16 14,326 -27,701 13,039

유니셈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268,199,936,950 14.22% 85.78%

유니셈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CHILLER UNIT [반도체 장비 사업부 - 제품] 34%
유지보수 [반도체 장비 사업부 - 기타] 33.1%
GAS SCRUBBER [반도체 장비 사업부 - 제품] 30.5%
VACUUM LINE [반도체 장비 사업부 - 공사] 2.4%

유니셈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4,287 (4.15%)

최근 공매도 잔고: 51,802 (0.17%)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7-14 6,880 14,287 4.15%
2025-07-11 6,800 6,592 1.11%
2025-07-10 6,550 9,002 3.14%
2025-07-09 6,640 7,805 1.97%
2025-07-08 6,430 9,880 4.75%
2025-07-07 6,520 16,698 5.72%
2025-07-04 6,570 2,390 0.27%
2025-07-03 6,360 79 0.03%
2025-07-02 6,060 6,477 4.31%
2025-07-01 6,100 565 0.25%
2025-06-30 6,120 1,254 1.45%
2025-06-27 6,160 1,267 0.82%
2025-06-26 6,380 1,324 0.70%
2025-06-25 6,350 19 0.01%
2025-06-24 6,230 854 0.35%
2025-06-23 6,000 1,920 0.89%
2025-06-20 6,210 777 0.46%
2025-06-19 6,190 3,301 2.23%
2025-06-18 6,290 7,201 4.01%
2025-06-17 6,130 994 0.38%
2025-06-16 6,110 1,553 1.48%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7-10 6,550 51,802 0.17%
2025-07-09 6,640 51,802 0.17%
2025-07-08 6,430 51,802 0.17%
2025-07-07 6,520 51,802 0.17%
2025-07-04 6,570 51,802 0.17%
2025-07-03 6,360 51,802 0.17%
2025-07-02 6,060 51,802 0.17%
2025-07-01 6,100 51,802 0.17%
2025-06-30 6,120 51,802 0.17%
2025-06-27 6,160 51,802 0.17%
2025-06-26 6,380 51,802 0.17%
2025-06-25 6,350 51,802 0.17%
2025-06-24 6,230 51,802 0.17%
2025-06-23 6,000 51,802 0.17%
2025-06-20 6,210 51,802 0.17%
2025-06-19 6,190 51,590 0.17%
2025-06-18 6,290 49,814 0.16%
2025-06-17 6,130 49,814 0.16%
2025-06-16 6,110 49,814 0.16%
2025-06-13 6,200 49,814 0.16%
2025-06-12 6,320 49,814 0.16%

유니셈 업종 내 비교

반도체/반도체장비 업종(153개) 연간 기준

항목 유니셈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2,085.167 42,217.43 66위
PER(최근4분기) 15.331 13.6 49위
PBR 0.87 11.04 117위
ROE(최근4분기) 7.005 -3.62 58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176 1.37 32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4.572 -6.91 71위
순이익률(최근연도) 7.107 -14.75 60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5.222 74.14 132위
매출액(최근연도) 2,181.607 26,011.73 46위
영업이익(최근연도) 99.743 3,832.01 57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55.048 3,643.72 44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