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신탁 로고

한국토지신탁 (034830) 주가 및 종목 정보

한국토지신탁 실시간 주가

한국토지신탁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304 원
변동량 ▼ 34.00 원
변동률 -2.54%
거래량 628,012
거래대금 823,137,979 원

한국토지신탁 일별 주가

한국토지신탁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28/2025 1,382 1,415 1,380 1,410 956,872 1,343,097,556
9/29/2025 1,405 1,411 1,398 1,403 466,976 655,796,227
9/30/2025 1,405 1,433 1,392 1,414 1,094,468 1,545,029,570
10/1/2025 1,420 1,420 1,376 1,382 863,314 1,199,773,964
10/9/2025 1,382 1,400 1,292 1,340 1,233,494 1,659,333,060
10/12/2025 1,339 1,345 1,313 1,336 558,767 744,435,722
10/13/2025 1,342 1,343 1,317 1,326 628,998 833,439,622
10/14/2025 1,326 1,346 1,325 1,344 388,964 521,211,738
10/15/2025 1,344 1,361 1,326 1,338 440,600 592,602,112
10/16/2025 1,338 1,338 1,300 1,304 628,012 823,137,979

관련 테마

  • 부동산/리츠 : 종합 부동산 금융 기업으로서 리츠, 신탁 등 포괄적인 부동산 사업을 전문적으로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 관련주로 부각됨

한국토지신탁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3,292억 401위 252,489,230 4.70% 금융 부동산 1,452 973

한국토지신탁 기업 개요

한국토지신탁은 1996년 4월 설립된 기업으로 부동산신탁업을 영위하고 있다. 부동산 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토지신탁사업과 담보신탁, 관리신탁, 처분신탁, 분양관리신탁, 대리사무 등의 비토지신탁사업 그리고 도시정비사업, REITs, 투자사업, 해외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차입형 토지신탁 상품의 높은 매출비율에서 수익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하여 REITs, 도시정비사업, 기업형 임대주택사업 등의 분야를 강화하고 있으며, 펀드 투자 및 임대관리회사, 자산운용사에 대한 지분 출자 등 자기자본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최신 한국토지신탁 관련 뉴스

KLPGA투어 2기 김상열(사진)호 첫 번째 시즌이 종착역을 향해 달려 가고 있다.지난 16일 개막한 상상인·한경 와우넷 오픈(총상금 12억원)까지 마치면 총 31개 대회 일정 중 3개 대회(광남일보·해피니스 오픈, S-OIL 챔피언십, 대보 하우스디 챔피언십)만 남는다.올 시즌은 총 대회수 31개, 총상금 346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지금껏 12억9401만원의 상금을 획득해 시즌 상금 순위 1위에 오른 홍정민(23·CJ)을 비롯해 2위(12억8735만원) 노승희(24·요진건설), 3위(12억816만원) 유현조(20·삼천리)까지 3명이 12억원 이상을 벌어 들였다.KLPGA투어 사상 한 시즌에 12억원 이상 상금을 획득한 선수가 3명이나 배출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해에도 10억원 이상 선수가 사상 최초로 4명이나 배출됐지만, 12억원 이상은 윤이나(22·솔레어)가 유일했다.이 숫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상금 4위(11억942만원) 방신실(21·KB금융그룹)이 초읽기에 들어갔고, 상금 순위 5위(9억6726만1436원) 이예원(22·메디힐)도 4개 대회에서 2억3000여만원만 추가하면 ‘12억 클럽’에 가입하게 된다.6위(8억2566만5833원) 이동은(20·SBI저축은행), 7위(7억5660만원) 이다연(28·메디힐), 8위(7억5351만8160원) 성유진(25·대방건설)도 ‘10억 클럽’ 진입 가능성이 있다. 상상인·한경 와우넷 오픈은 우승 상금 2억1600만원, 최종전 대보 하우스디 오픈은 2억5000만원으로 상금 배분율이 높아 그 결과에 따라 순위 또한 지각변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내년 시드 유지를 위한 마지노선인 상금 순위 60위 획득 상금도 1억5055만8380원으로 적잖은 금액이다. 61위에서 80위까지 상금도 1억원 이상이다.선수들의 수입이 크게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총상금 규모의 확대다. 올해 총상금 10억원 미만 대회는 넥센·세인트나인 마스터즈의 9억원이 유일하다. 이 대회도 내년 총상금 규모를 10억원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가장 많은 총상금 규모인 15억원 대회도 4개나 된다.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 KB금융 스타 챔피언십,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 그리고 시즌 마지막 메이저대회 하이트진로 챔피언십이다.걸출한 신인들이 끊임없이 유입돼 투어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이른바 ‘메기효과’도 투어의 질적 성장을 가져왔다. 대표적인 선수가 김민솔(19·두산건설)이다.그는 올해 2부인 드림투어가 주활동 무대였다. 그러다 추천 선수로 출전했던 지난 8월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에서 우승을 거뒀다. KLPGA투어 출전에 제한이 풀리자 지난 10월초 동부건설·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에 출전해 시즌 2승을 거뒀다. 11개 대회에 출전해 두 차례 우승 포함 ‘톱10’에 4차례나 입상했다.획득 상금은 3억480만6667원으로 30위, 대상 포인트는 235점 획득으로 15위, 신인상 포인트는 1236점을 누적시켜 독보적 1위다. 하지만 그의 기록은 다승 부문을 제외하곤 하나도 공식 기록에 반영되지 않는다. KLPGA투어의 공식 일정 절반 출전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민솔이 올 시즌 남은 4개 대회에 모두 출전하더라도 총 15개 대회에 그쳐 절반 이상인 16개 대회에 1개 대회가 모자란다.이런 이유로 ‘출전 제한’ 대신 ‘성과 중심’으로 평가 체계를 전환해야 한다는 여론이 나온다. 비록 ‘장외 신인왕’에 머물렀지만 김민솔의 등장은 내년 KLPGA투어 흥행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내년 시즌에도 상금액 증액을 예고한 대회가 다수다. 신규 대회 창설 움직임도 감지된다. 이래저래 제2기 김상열호의 2년차가 되는 2026년 시즌은 지금껏 경험해보지 못한 역대급 시즌이 될 게 확실해 보인다. 선수들과 팬들이 갖는 기대도 함께 커지고 있다.정대균 골프선임기자

KLPGA투어 2기 김상열호 첫 번째 시즌이 종착역을 향해 달려 가고 있다.16일 개막한 상상인·한경 와우넷 오픈(총상금 12억 원)을 마치고 나면 총 31개 대회 일정 중 3개 대회(광남일보·해피니스 오픈, S-OIL 챔피언십, 대보 하우스디 챔피언십)만 남는다.올 시즌은 총 대회수 31개, 총상금 346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선수들의 주머니도 그만큼 두둑해졌다.지금껏 12억9401만원의 상금을 획득, 시즌 상금 순위 1위에 오른 홍정민(23·CJ)을 비롯해 2위(12억8735만원) 노승희(24·요진건설), 3위(12억816만원) 유현조(20·삼천리)까지 3명이 12억원 이상을 벌어 들였다.KLPGA투어 사상 한 시즌에 12억원 이상의 상금을 획득한 선수가 3명이나 배출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10억원 이상 선수가 사상 최초로 4명이나 배출됐던 지난해에도 12억원 이상은 윤이나(22·솔레어)가 유일했다.경우에 따라서는 2021년에 박민지(27·NH투자증권)가 수립한 KLPGA투어 한 시즌 최다 상금 기록(15억2137만 원) 경신도 배제할 수 없다.물론 ‘12억 클럽’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우선 상금 4위(11억942만 원) 방신실(21·KB금융그룹)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다. 상금 순위 5위(9억6726만1436원) 이예원(22·메디힐)도 4개 대회에서 2억3273만8564원만 추가하면 ‘12억 클럽’에 가입하게 된다.6위(8억2566만5833원) 이동은(20·SBI저축은행), 7위(7억5660만 원) 이다연(28·메디힐), 8위(7억5351만8160원) 성유진(25·대방건설)도 가능성이 없는 게 아니지만 그보다는 ‘10억 클럽’ 가입에 쪽에 더 무게가 실린다.상상인·한경 와우넷 오픈은 우승 상금이 2억1600만 원, 최종전 대보 하우스디 오픈은 2억5000만원으로 상금 배분율이 높아 그 결과에 따라 순위 또한 지각변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내년 시드 유지를 위한 마지노선인 상금 순위 60위 획득 상금도 1억5055만8380원으로 적잖은 금액이다. 61위에서 80위까지 상금도 1억원 이상이다. 이를 일반 직장으로 치환하자면 KLPGA투어는 연봉 1억원 이상의 직원을 80명이나 보유한 꿈의 직장이 되는 셈이다.그렇다면 선수들의 수입 규모가 작년에 비해 커진 가장 결정적 원인은 뭘까.그것은 두 말할 나위없이 커진 총상금 규모, 즉 질적 팽창 때문이다. 올해 치러진 총상금 10억원 미만 대회는 넥센·세인트나인 마스터즈의 9억원이 유일하다. 이 대회 또한 내년에는 총상금 규모를 10억원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가장 많은 총상금 규모인 15억원짜리 대회도 자그만치 4개나 된다.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 KB금융 스타 챔피언십,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 그리고 시즌 마지막 메이저대회 하이트진로 챔피언십이다.걸출한 신인들이 끊임없이 유입돼 투어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이른바 ‘메기효과’도 투어의 질적 성장을 가져온 요인 중 하나다. 대표적인 선수가 김민솔(19·두산건설)이다.그는 올해 2부인 드림투어가 주활동 무대였다. 그러다 추천 선수로 출전했던 지난 8월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에서 우승을 거뒀다. 이후 KLPGA투어 출전에 제한이 풀렸다. 이른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 신세가 된 것.그리고 그는 지난 10월초 KLPGA투어 유일의 변형 스테이블 포드 방식으로 치러진 동부건설·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에서 시즌 2승째를 거뒀다. 11개 대회에 출전해 두 차례 우승 포함 ‘톱10’에 4차례나 입상했다.획득 상금은 3억480만6667원으로 30위, 대상 포인트는 235점 획득으로 15위, 신인상 포인트는 1236점을 누적시켜 독보적 1위다. 하지만 아쉽게도 김민솔의 기록은 다승 부문을 제외하곤 하나도 공식 기록에 반영되지 않는다.KLPGA투어가 정하고 있는 공식 일정 절반 출전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민솔이 올 시즌 남은 4개 대회에 모두 출전하더라도 총 15개 대회에 그쳐 절반 이상인 16개 대회에 1개 대회가 모자란다.김민솔의 사례를 들어 KLPGA투어가 ‘출전 제한’이 아닌 ‘성과 중심’으로 평가 체계를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는 여론이 만만치 않은 가운데 비록 ‘장외 신인왕’에 머물렀지만 김민솔의 등장은 내년 KLPGA투어 흥행에 상당한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미 내년 총상금액을 증액할 뜻을 밝힌 대회가 다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게다가 신규 대회가 1~2개 정도 늘어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이래저래 제2기 김상열호의 2년차가 되는 2026년 시즌은 지금껏 경험해보지 못한 역대급 시즌이 될 게 확실해 보여 선수 및 팬들이 갖는 기대는 크다.정대균 골프선임기자 golf5601@kmib.co.kr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가 ‘춘추전국시대’로 접어들면서 다승왕 경쟁이 매년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투어 최초로 5명의 공동 다승왕을 배출했는데 올해도 비슷한 양상으로 펼쳐져 시즌 최종전이 끝나야 다승왕이 확정 될 것으로 보인다. 나란히 3승을 쌓으며 다승 공동 1위를 달리는 홍정민(23·CJ), 방신실(21·KB금융그룹), 이예원(23·메디힐

한국토지신탁은 서울 양천구 신월동 '신월시영' 재건축 단지의 사업시행자 지정신청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한토신에 따르면 지난 8월 7일 정비구역 지정고시 이후 8월 말부터 동의서 징구를 시작해 약 40일 만에 양천구청에 동의서 접수까지 완료했다. 앞서 신월시영 재건축 단지는 올해 5월 한토신과 신탁방식 재건축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추진해왔다. 한토신 관계자는 "재건축 준비위원회의 적극적인 협조와 주민들의 사업 추진에 대한 높은 의지 덕분에 단기간에 사업시행자 지정 신청을 마쳤다"고 밝혔다. 신월시영 재건축은 재건축사업을 통해 기존 2256가구를 3149가구로 짓는 사업이다. 재건축 준비위원회와 한토신은 연내 사업시행자 지정고시를 받는다는 계획이다. 이후 내년 초 정비사업위원회를 구성해 통합심의 관련 업

한국토지신탁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36,337,804,592 -12.50% 33,943,466,106 8.67% -18,860,386,903 -146.23%
2023.4Q 270,086,082,704 - 31,235,368,989 - -7,659,608,662 -

순매수량

개인: 116,362

기관: -54,704

외인: -63,758

누적 순매수량

개인: -3,055,047

기관: 3,253,560

외인: -425,54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7 116,362 -54,704 -63,758
2025-10-16 67,914 12,664 -100,270
2025-10-15 -51,617 10,456 41,161
2025-10-14 -40,261 -39,684 106,525
2025-10-13 -130,148 82,780 66,532
2025-10-10 -154,721 45,528 108,073
2025-10-02 369,986 -42,117 -322,576
2025-10-01 -69,230 231,106 -91,739
2025-09-30 -780 69,895 -68,785
2025-09-29 -465,160 236,520 229,220
2025-09-26 -60,603 238,367 -173,654
2025-09-25 -105,059 60,477 44,572
2025-09-24 39,101 108,035 -147,141
2025-09-23 137,829 75,670 -206,821
2025-09-22 -176,732 50,425 126,267
2025-09-19 22,813 108,805 -132,033
2025-09-18 -95,393 15,933 81,401
2025-09-17 -320,966 121,016 201,338
2025-09-16 -245,426 115,276 131,710
2025-09-15 -141,110 -35,494 173,659
2025-09-12 162,927 -132,174 -3,370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17 -1,140,274 1,278,780 311
2025-10-16 -1,256,636 1,333,484 64,069
2025-10-15 -1,324,550 1,320,820 164,339
2025-10-14 -1,272,933 1,310,364 123,178
2025-10-13 -1,232,672 1,350,048 16,653
2025-10-10 -1,102,524 1,267,268 -49,879
2025-10-02 -947,803 1,221,740 -157,952
2025-10-01 -1,317,789 1,263,857 164,624
2025-09-30 -1,248,559 1,032,751 256,363
2025-09-29 -1,247,779 962,856 325,148
2025-09-26 -782,619 726,336 95,928
2025-09-25 -722,016 487,969 269,582
2025-09-24 -616,957 427,492 225,010
2025-09-23 -656,058 319,457 372,151
2025-09-22 -793,887 243,787 578,972
2025-09-19 -617,155 193,362 452,705
2025-09-18 -639,968 84,557 584,738
2025-09-17 -544,575 68,624 503,337
2025-09-16 -223,609 -52,392 301,999
2025-09-15 21,817 -167,668 170,289
2025-09-12 162,927 -132,174 -3,370

한국토지신탁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776,604,344,668 46.00% 54.00%

한국토지신탁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신탁계정 86.44%
고유계정 13.56%

한국토지신탁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3,351 (2.13%)

최근 공매도 잔고: 86,051 (0.03%)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17 1,304 13,351 2.13%
2025-10-16 1,338 15,177 3.44%
2025-10-15 1,344 766 0.20%
2025-10-14 1,326 4,618 0.73%
2025-10-13 1,336 117 0.02%
2025-10-10 1,340 5,119 0.41%
2025-10-02 1,382 16,246 1.88%
2025-10-01 1,414 21,424 1.96%
2025-09-30 1,403 9,723 2.08%
2025-09-29 1,410 6,335 0.66%
2025-09-26 1,380 28,709 2.92%
2025-09-25 1,399 20,571 4.28%
2025-09-24 1,397 46,548 6.04%
2025-09-23 1,395 24,357 2.75%
2025-09-22 1,409 684 0.13%
2025-09-19 1,405 5,259 0.82%
2025-09-18 1,414 14,242 1.68%
2025-09-17 1,426 40,682 3.34%
2025-09-16 1,401 12,708 1.35%
2025-09-15 1,401 1,491 0.16%
2025-09-12 1,393 102 0.01%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0-15 1,344 86,051 0.03%
2025-10-14 1,326 85,317 0.03%
2025-10-13 1,336 92,339 0.04%
2025-10-10 1,340 96,310 0.04%
2025-10-02 1,382 96,310 0.04%
2025-10-01 1,414 96,310 0.04%
2025-09-30 1,403 91,667 0.04%
2025-09-29 1,410 89,093 0.04%
2025-09-26 1,380 89,093 0.04%
2025-09-25 1,399 89,093 0.04%
2025-09-24 1,397 89,159 0.04%
2025-09-23 1,395 89,093 0.04%
2025-09-22 1,409 79,852 0.03%
2025-09-19 1,405 79,852 0.03%
2025-09-18 1,414 79,852 0.03%
2025-09-17 1,426 79,852 0.03%
2025-09-16 1,401 79,852 0.03%
2025-09-15 1,401 79,852 0.03%
2025-09-12 1,393 79,852 0.03%
2025-09-11 1,424 79,852 0.03%
2025-09-10 1,397 79,852 0.03%

한국토지신탁 업종 내 비교

부동산 업종(29개) 연간 기준

항목 한국토지신탁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3,378.306 3,427.21 10위
PER(최근4분기) 25.777 7.43 6위
PBR 0.3 0.81 28위
ROE(최근4분기) -1.685 0.24 23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5.232 7.97 22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4.362 32.15 22위
순이익률(최근연도) -7.98 -5.94 22위
부채비율(최근연도) 91.2 135.69 22위
매출액(최근연도) 2,363.378 699.99 2위
영업이익(최근연도) 339.435 195.45 8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88.604 72.79 29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