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에스티나 로고

제이에스티나 (026040) 주가 및 종목 정보

제이에스티나 실시간 주가

제이에스티나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3,280 원
변동량 ▲ 125.00 원
변동률 3.96%
거래량 606,997
거래대금 2,025,900,151 원

제이에스티나 일별 주가

제이에스티나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6/29/2025 3,150 3,285 2,950 2,965 275,252 845,507,350
6/30/2025 2,965 3,320 2,905 3,130 634,058 2,012,598,132
7/1/2025 3,140 3,400 3,060 3,345 576,634 1,886,478,706
7/2/2025 3,345 3,440 3,195 3,270 494,156 1,634,787,839
7/3/2025 3,210 3,260 3,120 3,140 133,869 424,256,719
7/6/2025 3,080 3,225 3,080 3,180 90,749 286,487,885
7/7/2025 3,240 3,255 3,135 3,200 131,334 418,883,120
7/8/2025 3,205 3,240 3,060 3,180 96,570 304,747,324
7/9/2025 3,180 3,255 3,130 3,155 83,590 264,485,345
7/10/2025 3,275 3,470 3,165 3,280 606,997 2,025,900,151

관련 테마

  • 개성공단 : 주얼리와 핸드백 사업, 손목시계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대표적인 개성 공단 입주 기업으로 개성 공단 관련주 및 대북 경협주에 편입됨
  • 남북경제협력 : 주얼리와 핸드백 사업, 손목시계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대표적인 개성 공단 입주 기업으로 개성 공단 관련주 및 대북 경협주에 편입되었음
  • 패션/의류 : J.ESTINA 브랜드로 주얼리와 핸드백 사업, ROMANSON 브랜드로 손목시계 사업 등을 여우이

제이에스티나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541억 1262위 16,503,790 1.88% 생활용품/잡화 의류/패션잡화 3,775 1,391

제이에스티나 기업 개요

제이에스티나는 1988년 4월 설립된 기업으로 J.ESTINA 브랜드로 주얼리와 핸드백, ROMANSON 브랜드로 손목시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주)엔피크리에이티브, ㈜로만손개성공단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주얼리 제품 판매로 발생하고 있으며 핸드백 제품이 뒤를 잇고 있다. 브랜드 리뉴얼에 따른 신제품 발표, 로고 단순화를 진행 하였으며 스타 마케팅과 온라인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최신 제이에스티나 관련 뉴스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국내증시코스피 지수는 0.58% 상승한 3089.65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무역 협상 기대감 지속 및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트럼프 관세 우려 지속 등에 하락했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58% 상승한 3089.65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무역 협상 기대감 지속 및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트럼프 관세 우려 지속 등에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3089.64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3088.4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 한때 3133.5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이후 장 후반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폭을 줄여나갔고 결국 3089.65에서 거래를 마감했다.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6·3 조기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된 뒤 '중통령'(중소기업계 대통령)으로 불리는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회장이 지난해 총선과 이번 대선 과정에서 중립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여왔다는 지적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중대재해처벌법 문제다. 김 회장은 지난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개정 등을 요구하며 경제단체로서는 드물게 전국 순회 집회를 여는 등 실력 행사에 나섰다. 당시 중기중앙회 등은 '중대재해처벌법이 기업주 처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처벌보다는 산업재해 예방 위주로 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서울을 시작으로 수도권과 호남, 영남 등지에서 대규모 순회 집회를 열었다. 국회 앞마당에서 열린 서울 집회에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참석해 중기중앙회 입장을 지지하는 등 중대재해처벌법을 주도적으로 통과시킨 민주당을 압박하는 모양새였다. 중기중앙회는 또 중대재해처벌법이 헌법에 어긋난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선거 국면마다 불거진 김기문 회장 편향성 논란4월 총선을 코 앞에 두고 이처럼 중기중앙회가 이례적으로 집단행동에 나서자, 중소기업계 내부에서조차 '정치 편향' 등의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일부 중소기업 단체들은 집단행동에서 자신들의 이름을 아예 빼달라고 요구하거나 집회 불참 방침을 밝혔다. 편향성 우려는 조기 대선 국면에서도 불거졌다. 중기중앙회는 지난 4월 30일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를 초청해 '규제개혁 간담회'를 열었다. 당시 한 총리는 대선 출마 여부를 놓고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던 때였다. 당연히 이날 행사에 이목이 총집중됐다. 김기문 회장은 인사말에서 "요즘 한 대행께서 대선에 나온다는 뉴스가 많다"며 "기업인 대다수는 보수냐 진보냐에 별로 관심 없다. 여야의 정쟁과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으로 국민과 기업인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행사 다음 날 한 전 총리는 총리직 사퇴를 선언했고 그다음 날에는 대선 출마까지 전격 선언했다. 반면 중기중앙회는 일주일 뒤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경제단체장 간담회에는 불참했다. 한덕수 초청 간담회 김 회장, 이재명 후보 간담회는 불참지난달 8일 경총 등 경제단체가 당시 이재명 후보를 초청해 규제 혁신 등을 놓고 간담회를 가졌는데, 평소 '경제 6단체'를 강조해 온 김 회장과 중기중앙회는 참석하지 않았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경총 등으로부터 간담회를 함께 하자는 제안을 받았지만 거절했다"며 "(대기업 위주인 경총 등과 함께하면) 중소기업 문제가 묻힐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후 이 후보와 중소기업계 간의 별도 간담회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선 이후 지금까지 별도 간담회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다만 지난 13일 열렸던 이재명 대통령과 경제단체, 기업인 간담회에는 김 회장이 경제 6단체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김 회장은 이 자리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대통령께서 현장을 찾아 격려도 하고 간담회도 가져달라"고 거듭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경제계는 규제 완화를 요구했다. 이 대통령은 규제 개선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도 '생명과 안전에 대한 규제는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계가 전국 집회까지 벌이며 줄기차게 요구해 온 중대재해처벌법 완화에 선을 긋는 대답인 셈이다. '중국산 시계 국산 둔갑' 등 여파 김 회장 리더십 타격이 대통령은 중소기업계의 큰 요구 중 하나인 최저임금이나 근로시간제 개편에 대해서도 윤석열 정부와 달리 마냥 친기업적이지는 않다. 중소기업계 한 관계자는 "대선 기간 이 대통령에게 최저임금 구분 적용 등을 계속 건의했지만, 이 대통령은 '상대가 있는 문제는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중기중앙회장 '4선'을 이룬 김 회장의 리더십도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이 중소기업계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차기'를 바라보기 쉽지 않은 데다가 올해 들어 터진 '제이에스티나'의 중국산 시계 국산 둔갑 행위로 지탄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제이에스티나는 김 회장이 운영하는 기업으로, 옛 '로만손 시계'다. 제이에스티나는 중국산 시계를 국산으로 둔갑시켜 판매한 혐의로 최근 기소됐고, 김 회장도 벌금 처분을 받았다. 중소기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중국산 가짜 제품 때문에 어려움을 겪어 왔는데 중소기업계를 대표하는 사람이 중국산 제품을 국산으로 둔갑시켜 팔았다는 자체가 망신스러운 일'이라고 꼬집었다.

증시 '신고가 풍년' 5종목 중 1개꼴…정책 수혜株 '활활'이달 상장종목 70% 올라…증권·지주사·신재생에너지·남북경협·지역화폐株 등 52주 신고가"정책주 내 순환매 가능성, 반도체·엔터주 주목…실적·매크로 불확실성 상존"(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 = 이달 들어 새 정부 정책 기대감에 국내 증시가 고공행진을 하면서 전체 상장 주식 5개 종목 중 1개 꼴로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6월 들어 지난 13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장중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스팩·리츠 제외)은 모두 444개로 집계됐다.이는 현재 거래 중인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전체 상장 종목(2천559개)의 17%에 달한다.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260개, 코스닥시장에서 184개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52주 신고가 비율은 코스피가 29%로 코스닥(11%)을 앞섰다.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정책 수혜 기대가 큰 종목들이 줄줄이 52주 신고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대표적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상법 개정 등을 통한 '코스피 5000' 달성 등을 강조하면서 증시 부양

제이에스티나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74,433,968,530 -1.23% -2,602,941,211 -346.70% -1,495,491,944 -288.77%
2023.4Q 75,362,474,833 -3.23% -582,699,119 -122.58% 792,213,904 -39.42%
2022.4Q 77,880,470,000 15.82% 2,580,912,600 52.80% 1,307,771,500 -95.58%
2021.4Q 67,332,600,000 12.22% 1,355,507,100 109.88% 17,615,825,000 227.66%

순매수량

개인: -15,300

기관: -2,000

외인: 14,394

누적 순매수량

개인: 35,933

기관: 52,551

외인: -82,573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1 -15,300 -2,000 14,394
2025-07-10 12,294 8,891 -21,185
2025-07-09 -8,143 5,575 2,568
2025-07-08 -2,667 3,486 -819
2025-07-07 3,670 7,600 -11,020
2025-07-04 2,123 5,579 -7,625
2025-07-03 90,982 7,454 -94,922
2025-07-02 -23,482 7,742 13,899
2025-07-01 -50,215 8,224 42,778
2025-06-30 62,388 - -61,009
2025-06-27 -9,213 - 9,105
2025-06-26 29,845 - -26,011
2025-06-25 3,145 - -6,717
2025-06-24 -96,010 -2,262 97,438
2025-06-23 -17,904 2,262 19,538
2025-06-20 -20,287 - 19,172
2025-06-19 -3,183 - 3,469
2025-06-18 9,231 -55 -11,385
2025-06-17 85,613 - -86,194
2025-06-16 -83,715 55 83,585
2025-06-13 -20,946 - 20,598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1 -51,774 52,551 -343
2025-07-10 -36,474 54,551 -14,737
2025-07-09 -48,768 45,660 6,448
2025-07-08 -40,625 40,085 3,880
2025-07-07 -37,958 36,599 4,699
2025-07-04 -41,628 28,999 15,719
2025-07-03 -43,751 23,420 23,344
2025-07-02 -134,733 15,966 118,266
2025-07-01 -111,251 8,224 104,367
2025-06-30 -61,036 - 61,589
2025-06-27 -123,424 - 122,598
2025-06-26 -114,211 - 113,493
2025-06-25 -144,056 - 139,504
2025-06-24 -147,201 - 146,221
2025-06-23 -51,191 2,262 48,783
2025-06-20 -33,287 - 29,245
2025-06-19 -13,000 - 10,073
2025-06-18 -9,817 - 6,604
2025-06-17 -19,048 55 17,989
2025-06-16 -104,661 55 104,183
2025-06-13 -20,946 - 20,598

제이에스티나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50,495,085,396 18.79% 81.21%

제이에스티나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주얼리 70.3%
핸드백 21.09%
손목시계 8.61%

제이에스티나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430 (0.24%)

최근 공매도 잔고: 38,427 (0.23%)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7-11 3,280 1,430 0.24%
2025-07-10 3,155 3,224 3.86%
2025-07-09 3,180 6,783 7.02%
2025-07-08 3,200 7,672 5.84%
2025-07-07 3,180 6,009 6.62%
2025-07-04 3,140 3,067 2.29%
2025-07-03 3,270 2,922 0.59%
2025-07-02 3,345 2,771 0.48%
2025-07-01 3,130 564 0.09%
2025-06-30 2,965 5,645 2.05%
2025-06-27 3,100 4,371 2.76%
2025-06-26 3,170 3,269 1.42%
2025-06-25 3,325 2,977 0.40%
2025-06-24 3,300 612 0.03%
2025-06-23 3,040 498 0.14%
2025-06-20 3,080 2,742 0.41%
2025-06-19 3,285 10,731 1.77%
2025-06-18 3,365 3,004 0.70%
2025-06-17 3,440 5,446 0.63%
2025-06-16 3,550 1,328 0.13%
2025-06-13 3,365 4,468 0.22%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7-09 3,180 38,427 0.23%
2025-07-08 3,200 38,427 0.23%
2025-07-07 3,180 38,427 0.23%
2025-07-04 3,140 38,427 0.23%
2025-07-03 3,270 38,565 0.23%
2025-07-02 3,345 38,565 0.23%
2025-07-01 3,130 38,565 0.23%
2025-06-30 2,965 38,578 0.23%
2025-06-27 3,100 38,427 0.23%
2025-06-26 3,170 38,427 0.23%
2025-06-25 3,325 38,427 0.23%
2025-06-24 3,300 38,427 0.23%
2025-06-23 3,040 38,427 0.23%
2025-06-20 3,080 71,148 0.43%
2025-06-19 3,285 69,627 0.42%
2025-06-18 3,365 74,313 0.45%
2025-06-17 3,440 70,548 0.43%
2025-06-16 3,550 38,839 0.24%
2025-06-13 3,365 74,404 0.45%
2025-06-12 3,185 70,920 0.43%
2025-06-11 3,185 38,427 0.23%

제이에스티나 업종 내 비교

의류/패션잡화 업종(75개) 연간 기준

항목 제이에스티나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520.695 2,779.39 51위
PER(최근4분기) -71.727 12 72위
PBR 1.102 0.84 19위
ROE(최근4분기) -3.579 -2.02 57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3.17 2.89 18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3.497 2.08 64위
순이익률(최근연도) -2.009 -1.74 57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5.597 97.21 58위
매출액(최근연도) 744.34 5,952.18 56위
영업이익(최근연도) -26.029 451.22 58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4.955 287.54 54위